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분황 원효와 인각 일연의 화엄학과 선학 이해 ― 각승(角乘) 가풍과 경초(莖草) 선풍을 중심으로=Understanding Huayan and Seon Thoughts from the Perspectives of Bunhwang Wonhyo and Ingak Ilyeon ― Focusing on “riding a horned cow(角乘)” Seon tradition and “stems and grass (莖草)” Seon tradition
著者 고영섭 (著)=Ko, Young-seop (au.)
掲載誌 불교철학=Journal for the Study Buddhist Philosophy=佛教哲學
巻号v.12 n.0
出版年月日2023.04
ページ117 - 180
出版者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Institution for World Buddhist Studies
出版サイト http://www.duwbs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キーワードEntering the world of sentient beings and working with them; Entering the body of a cow and attaining enlightenment; Bodhisattva Seon tradition=보살 선풍; 경초 가풍=“stems and grass”(莖草) Seon tradition; 각승 가풍=“riding a horned cow” (角乘) Seon tradition; Ingak Ilyeon=인각 일연; Bunhwang Wonhyo=분황 원효; 이류중행; 피모대각
抄録이 논문은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와 인각 일연(麟角一然, 1206~1289)의 화엄학과 선학 이해를 통해 두 사람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을 구명해 본 글이다. 통일신라 전후기의 원효와 고려 후기 몽골 간섭기의 일연은 어떻게 살았고 어떤 생각을 하고 살았을까? 원효는 철학자이자 사상가로서 고구려와 백제와 신라 삼국의 통일 전후기에 한민족의 고통과 갈등을 체감하면서 저술하고 강론하며 대중교화의 삶을 살았다. 일연은 역사가이자 사상가로서 몽골 침입으로 위기에 직면한 고려 후기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한민족의 고통과 갈등을 체감하면서 수행하고 저술하며 사서를 편찬하는 삶을 살았다. 이들 두 사람은 시대를 달리했지만 1) 출생지가 같고, 2) 출가자임에도 불구하고 충성과 효도를 소홀히 하지 않았으며, 3) 화엄사상과 선사상 중심으로 자신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을 펼쳤고, 4)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고승들이자 국사였기에 서로 만나 대화하고 소통할 수 있었다. 원효와 일연은 각기 화엄과 선법의 가풍으로 자신의 살림살이를 온축하고 사고방식을 구축했다.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을 찬술하여 시각과 본각의 이각을 원만히 아우르는 각승 가풍을 보여주었다. 그는 지관 쌍운의 기신학과 무장무애의 화엄학, 감분 불이(龕墳不二)의 기신학과 무이 중도(無二中道)의 선법 및 ‘나무 불타’의 이름을 일컫게 하여 대중교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와 달리 일연은 대승 보살의 일승 화엄과 생계 불감(生界不减) 불계 부증(佛界不增)의 선법으로 경초 선풍을 보여주었다. 그는 몽골의 침탈로 무너져가는 민족혼을 수립하기 위해 민족의 사서인 『삼국유사』를 간행하여 한민족의 정체성 수립과정에 크게 공헌하였다. 원효는 ‘일미관행(一味觀行)의 요체’를 반야 중관에 상응시키고, ‘십중법문(十重法門)의 종지’를 유가 유식에 상응시켜 중관학의 이제설과 유식학의 삼성설을 통섭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는 김유신의 군사고문으로서 전쟁의 현실에도 참여하여 지혜를 보탰다. 일연은 대승 보살의 일승 화엄과 생계 불감 불계 부증의 선법을 피모대각(被毛戴角)의 이류중행(異類中行)으로 펼쳐 보살 선풍을 보여주었다. 또 그는 『삼국유사』 찬술을 통해 효행을 선행으로 결합한 효선(孝善)사상을 보여주었다. 그리하여 원효의 각승 가풍과 일연의 경초 선풍으로 계승된 보살 선풍은 이후 한민족의 정신적 성숙과 문화적 성숙의 자양분이 되었다.

This thesis investigates Bunhwang Wonhyo’s (617-686) and Ingak Ilyeon’s (1206-1289) ways of living and thinking through their understanding of Huayan and Seon thoughts. How did Wonhyo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pre- and post-unification and Ilyeon of the Goryeo period, during the Mongol invasion, live and think? As a philosopher and thinker, Wonhyo lived a life of public edification by writing and lecturing while feeling the pain and conflicts of the Korean people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As a historian and thinker, Ilyeon practiced, writed, and penned historical books while experiencing the pain and conflicts of the Korean people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when the country was confronted by in this emergency due to the Mongol invasion. Although the two men lived in different eras, because 1) they share the same place of origin, 2) they did not neglect loyalty and filial piety despite being monks, 3) they spread their lifestyles and ways of thinking, focusing on Huayan philosophy and Seon thoughts, and 4)they were the most representative high priests and advisers to kings in Korean history, they shared many commonalities. Wonhyo and Ilyeon managed their lives and developed their ways of thinking using the traditions of Huayan and Seon thoughts, respectively. Wonhyo wrote Treaties on Vajrasamādhi-sūtra (金剛三昧經), showing wisdom that harmonically encompasses initial and original enlightenment. He reconciled with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thought, which emphasizes “concurrent application of stabilizing and insight meditation,” and Huayan thought, which emphasizes “being without hindrance or impediment.” He also reconciled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thought, focusing on the non-dualism of the shrine and the grave, and the Seon thought of the non-dualistic middle way. Furthermore, he greatly contributed to popular edification by making people chant “I take homage to Buddha.” On the other hand, Ilyeon promoted Bodhisattva’s One vehicle Huayan thought, while also showing the Seon tradition of “stems and grass” in which phenomenal and metaphysical realms neither increase nor decrease. He published Overlooked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 national history book aimed at fostering the national spirit that was crumbling due to the Mongol invasion,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orean people’s identity. Wonhyo corresponded to prajnācontemplation of the middle-way school as the essence of “one taste observation practice” and the consciousness-only school as “ten-fold aspects of dharma.” Thus, he attempted to converge the two-truth theory of the middle-way school with the theory of the three natures of cognition of the consciousness-only school. Additionally, as a military advise
目次Ⅰ. 풀어내는 말 119

Ⅱ. 사상적 만남과 통로 123

Ⅲ. 원효의 화엄과 선법 133

Ⅳ. 일연의 화엄과 선법 144

Ⅴ. 각승 가풍과 경초 선풍 158

Ⅵ. 매듭짓는 말 174
ISSN25863843 (P)
DOI10.23168/JSBP.2023.04.30.04.
ヒット数36
作成日2024.01.14
更新日期2024.01.1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9141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