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Buddhist Rituals and It’s Thoughts in the Goryeo Dynasty=고려시대의 불교의례와 그 사상
著者 양은용 (著)=Yang, Eun-yong (au.)
掲載誌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巻号v.49 n.0
出版年月日2011.09
ページ227 - 244
出版者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出版サイト http://www.wth.or.kr
出版地Iksan-si, Korea [益山市,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英文=English
ノート저자정보: 원광대학교 한국문화학과 교수(ilsan@wku.ac.kr)
キーワードBuddhism in Goryeo= 고려불교; Buddhist rituals= 불교의례; Gwaui(ritualistic) Taoism= 과의도교; Bulseol Palgwanjaegyeong=팔재계경=佛說八齋戒經; Palgwanhoi= 팔관회; 왕즉불사상=the thought of identity of king and Buddha
抄録고려시대(918-1392)는 민족적 정체의식이 확립된 시기이다. 고려왕조가 제도나 인물 등은 신라를 계승하면서도 건국이념은 국호를 고구려(고구려-발해)의 상승을 분명히 하고 있는데서 드러난다. 오늘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국명이 Korea인 것을 보면 대외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도 이 시기라 할 수 있다.
태조는 불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아 적극적인 보호정책을 폈고, 이 정책은 고려말까지 일관되었다. 고려불교는 선교양종(禪敎兩宗)의 융성기로 특히 불교의례가 성행하였다. 이는 한국도교의 흐름에 있어서 고려도교가 특히 의례를 발달시켜 과의도교(科儀道敎)로 불리는 것과도 통한다. 의례의 주체가 왕실로, 주로 호국의례(護國儀禮)로써 설행되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불교관련 의례 가운데 연등회(燃燈會)와 팔관회(八關會)는 왕실5례 중의 하례잡의(賀禮雜儀)로 운영되었다. 「훈요」에서는 연등회를 불교의례로, 팔관회를 민속의례로 규정하고 있다. 팔관회에서는 첫째 왕의 행차와 조하를 받는 위의, 둘째 외국 내객들의 조공의식, 셋째 다과주식(茶菓酒食) 등의 공양, 넷째 국찰과 태조진전에 거동하여 행향(行香)하는 의식, 그리고 다섯째 백희가무(百戱歌舞) 즉 각종 예술행사 등이 베풀어지고 있다.
팔관회는 원류가『팔재계경(八齋戒經)』에 관련한 행사로, 재가신자가 1일1야 동안 살·도·음(殺盜淫) 등의 8계를 지키는데서 유래한다. 이것이 인도-중국을 거쳐 고구려-신라-태봉-고려로 계승된 것이다. 그런데 신라에 수용된 팔관회는 전몰장병의 천도와 관련하여 호국의례로 행해졌고, 점차 정치적 성격을 띄게 되었다. 이 팔관회가 태봉을 거쳐 고려에 이르러서는 설행주체인 왕의 존재를 천하에 공시하는 상징적 행사가 되었다. 이런 팔관회에서 왕이 국찰에 참배하여 향을 올리는 것을 상례로 하고 있는 것은 불교의 왕조적 위상을 말해준다.
고려시대에 설행된 불교의례에는 법회(法會)·도량(道場)·재회(齋會)·법석(法席) 등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의례에 반승(飯僧)을 겸하는 등 다양하게 행해졌다. 전후 34대왕 475년간에 설행된 불교의례는 83종 1038회나 나타난다. 평균으로 보면 1왕이 30회, 매년 2회 정도 설행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러면 이들 불교의례를 설행하는 호국사상의 본질은 무엇인가?『 고려사』악지(樂志)에는 팔관회 등에서 불렸을 것으로 보이는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경배악(傾杯樂)」·「풍입송(風入松)」등이 그것이다. 이들 노래에는「해동천자(海東天子)는 당금제불(當今帝佛)」이라 전한다. 왕즉불(王卽佛)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호국불교사상을 전개하고 있는 것이다.

The era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AD) was a very important period for the establishment of ethnic identity in Korean history. It imitated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Shilla’s, However, the spirit and ideology of it’s foundation had succeeded to those of Goguryeo(including Balhae), which is clear from the name of nation. Considering the official name of nation, Korea, it seems that it was internationally acknowledged during the period.
Goryeo took Buddhism as the governing ideology and provided active patronization policy by King Taejo. The policy was consistent until the end of the dynasty. In the flow of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the practice(Seon, 禪) and the theories of tenets(Gyo, 敎) were developing together, and especially Buddhist rituals flourished.That phenomenon might be connected with the development of rituals of Taoism at the time, which were called Gwaui(科儀, ritualistic) Taoism. Rituals were hosted by the royal court and mostly performed as patriotic rituals.
Among the representative rituals, Yeondeunghoi(燃燈會) and Palgwanhoi(八關會) were settled and performed as the sundry rituals of the celebration service among the five ceremonies in Goryeo royal court. In the“Hunyo”(訓要), Yeondeunghoi is clarified as a Buddhist ritual, and Palgwanhoi as secular folklore. Palgwanhoi consisted of 1) the ceremony of king’s appearing and accepting congratulations, 2) the ceremony of being presented with tributes by foreign envoys, 3) the ceremony of serving foods, such as tea, cookies, alcohols, and cuisines, 4) the ceremony attending to temple and the shrine of King Taejo, and burning incense, and 5) the ceremony of Baekhigamu(百戱 歌舞, various entertainments, dances and songs).
Palgwan ritual derived from Bulseol Palgwanjaegyeong(佛說八齋戒 經) that a Danwol(檀越, Skt. danapati, Eng. donor) of Buddhist laity keeps eight kinds of discipline, the Paljaegye(Skt. asta-·ngas、l-la, Pa-li atthangasl la) during one day and one night. It was transmitted to Goryeo from India and China, through Goguryeo, Shilla and Taebong.
In Shilla, it was performed as the patriotic ritual as well as comforting service of deceased soldiers,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political character. In Taebong and Goryeo, Palgwanhoi became the symbolic event of the proclamation of enthronement of a king who was the host. The formal process of king’s attendance to temple and burning incense in Palgwanhoi shows the royal status of Buddhism at the time.
In Goryeo dynasty, Buddhist events were performed in the various forms of Beobhoi(sermon and service), Doryang(service ritual), Jaehoi(memorial service), Beobseok(sermon of venerable monk) and the others; Together with those events, serving fo
目次Ⅰ. Introduction 230

Ⅱ. Nation and Buddhism in Goryeo Dynasty 232

Ⅲ. Buddhist Rituals and the Thought of Identity of King and Buddha 236

Ⅳ. Conclusion 240
ISSN17381975 (P)
ヒット数23
作成日2024.04.21
更新日期2024.04.2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9704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