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불교사회복지실천의 영성관점 확립을 위한 시론=A study on the spirituality-perspective in the practice of Buddhist social work
著者 이혜숙 (著)=Lee, He-sook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22
出版年月日2009.04
ページ297 - 328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キーワード영성관점 평정; 상의상관성; 초개인심리치료; 실증주의; 강점관점; 마음챙김기반; 심리치료; Spirituality- perspective; Equanimity; Inter-relatedness; Transpersonal psychotherapy; Strengths- perspective; Mindfulness-based psychotherapy; Positivism
抄録
사회복지실천(social work practice)에 있어서 영성관점은, 1970년대를 전후로 서구사회가 동양사상과 문화를 재발견하면서 기존의 실증주의적·기술지향적 실천에 대한 반성의 한 결과이다. 여타 임상이론들이 인간을 충분히 설명해주지 못한다는 비평과 함께, 영성 관점은 모든 인간에게 본질적으로 잠재하는 영적 성품에 주목한다. 그 성품이란, 인간 성장에 스스로 에너지를 제공하는 ‘본질로서의 영성’이고, 어떤 초월적인 것(혹은 타자)과의 관계 속에서 삶의 의미를 넓혀 가는 ‘차원에서의 영성’이다. 영성관점은 인간이 개체적 자아를 넘어서 서로 연관되어 존재함을 깨닫는 전환적 경지를 내포한다. 이는 불교의 ‘佛性’이나 ‘緣起法’ 교의에 근접한 개념으로서, 필자가 ‘불교사회복지는 필연적으로 영성관점을 가진다’고 보는 근거이다. 사회복지실천에서 영성관점에 의한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취약점 대신에 강점을 신뢰하며, 클라이언트의 자기초월적이고 관계지향적인 성장을 지원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영성은 초월적 의미를 가지고 종교와 밀접한 것으로도 생각되지만, 종교와 동일한 것은 아니다. 그동안 사회복지실천에서 적용했던 영적 기법들은 일견 종교적으로 보이는 儀禮나 춤·음악·명상 등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과학적 실증주의자들은 영성관점이 모호하다고도 지적하였지만, 점점 다양한 실천기법들이 개발되고 적절한 평가에 대한 논의가 늘고 있다. 향후 불교사회복지의 영성관점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독자적인 사정 및 개입의 기술·효과적인 적용과 평가·불교이론 적용의 체계화 등을 과제로 삼고, 무엇보다도 실천현장과 긴밀해져야 한다.


The spirituality–perspective among modern social work practice theories resulted from the West’s rediscovery of Eastern culture and religion. It was a kind of reaction to the positivist’s technique–n oriented social work. As Spirituality has been increasingly considered essential to understanding the whole person, descriptions of it contained various themes. One theme is a person’ s extreme experience with a transcendent dimension of reality. The other refers to spirituality originating from the deepest potential of the person. Spirituality–perspective has an open– ended goal to the counseled person’s development subjectively. It seems Buddha and Nature are interrelated with one another, mostly in transcendental transformation. Although positivist social workers and scholars have criticized the spirituality– perspective as being vague for a theoretical base of social work practice, various intervention techniques have developed. Aside from social work, the spirituality has the tendency to be more therapeutic in areas such as psychiatry, psychology, and nursing. In the case of Buddhist social work, spirituality anticipates more in–depth applications than any other clinical theory. However, the progress is dull in reality. Even though the theoretical system of spirituality–perspective has been built in principal, there is a lack of application in social work fields and so in reality, feedback cannot be obtained from experiences. Here I emphasize that Buddhist social work practice based on spirituality–perspective needs to develop its ow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kills and to explore a more preferable target population, which will make the perspective more applicable into the fields.
目次I. 시작하는 말 300
1. 논의 목적 300
2. 논의 방법 300
II.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영성관점 303
1. 역사적 배경 303
2. 개념 정의 305
3. 적용과 평가문제 307
III. 영성관점의 불교적 조명 310
1. 논리체계의 불교적 보완 310
2. 개입기술의 개발 314
3. 발전을 위한 주요과제 317
IV. 끝맺는 말 320
ISSN15980642 (P)
ヒット数106
作成日2021.05.12
更新日期2021.05.1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4118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