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담연사상과 의천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 -- 화엄사상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mon and Differing Points in Chan-jan’s and Uichon’s Thought ─With Emphasis on the Viewpoint of Hua-yen Thought
著者 이병욱 (著)=Lee, Byung-wook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23
出版年月日2009.08
ページ53 - 92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キーワード무성유정=無性有情=wu-hsing yu-ching; 『십불이문』=十不二門=Shi-pu er-men; 청량의 사상=Ch'eng-kuan 's thought; 종밀의 『원각경소』=宗密 圓覺經疏=Tsung-mi's "Yüan-chüeh ching shu"; 원효의 화쟁사상=元曉 和諍思想=Wonhyo's hwajaing thought
抄録
이 논문은 화엄사상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담연과 의천 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려는 글이다. 담연은 화엄사상에 영향을 받았는데, 이 점은 그의 저술 『십불이문』에 잘 나타난다. 그러나 담연은 화엄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화엄사상에 대해 공세적 입장을 취한다. 그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다. 하나는 『화엄경』이 우월하다는 보는 교판론에 대해 비판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무정물에도 불성이 있다는 무성유정(無性有情)을 주장하는 것이다. 화엄종에서는 ‘무성유정’을 주장하지 못했는데, 천태종에서 ‘무성유정’ 을 주장한 것은 바로 화엄종보다 천태종이 우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라는 것이다. 이처럼 담연은 화엄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화엄사상에 비판적 입장을 취하였다.
의천은 청량의 사상, 종밀의 『원각경소』, 원효의 화쟁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현재 전해오는『 대각국사문집』은 일부분만이 남아있기 때문에 의천사상의 전체적 모습을 알기는 어렵다. 그래서 학계에서는 의천사상에서 징관의 사상을 강조하는 관점도 있고, 종밀의 『원각경소』를 강조하는 연구도 있으며, 징관과 종밀의 사상을 절충하려는 연구도 있다. 그렇지만 크게 볼 때, 의천이 징관, 종밀, 원효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점은 분명하다. 그리고 징관, 종밀, 원효의 사상은 크게 보면 화엄사상에 속하는 것이다. 이 점에서 의천은 화엄사상에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의천의 사상은 담연의 사상과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의천은 담연과는 달리 화엄사상에 대해 공세적 입장을 취하지는 않았다. 이 점에서 의천의 사상은 담연의 사상과 다르다.


Chan-jan(湛然) and Uichon(義天) are the thinkers of T’ien-t’ ai tsung(天台宗). In this paper, I will compare the common and differing points in Chan-jan’s and Uichon’s thought with emphasis on the viewpoint of Hua-yen thought. Chan-jan is influenced by Hua-yen thought.
It is well expressed in “Shi-pu er-men(十不二門)”. But he is not completely influenced by Hua-yen thought. He criticizes Hua-yen thought in two points. First, he criticizes chiao-p’ an(敎判), the idea that Hua-yen ching(華嚴經) is superior to other Buddhist scripture. Second, he insists on wu-hsing yuching(無性有情). Hua-yen tsung(華嚴宗) does not require wuhsing yu-ching(無性有情). On this point, Chan-jan insists that T’ien-tai tsung is superior to Hua-yen tsung.
Uichon is influenced by Ch’eng-kuan(澄觀)’s thought, Tsung-mi(宗密)’s “Yün-chüh ching shu(圓覺經疏)” and Wonhyo(元曉)’s hwajaing(和諍) thought. These three schools of thought are included in Hua-yen thought. Thus Uichon is influenced by Hua-yen thought. On this point, Uichon’s thought is common to Chan-jan’s thought. But he does not criticize Hua-yen thought. On this point, Uichon’s thought is different from Chan-jan’s thought.
目次I. 서론 56
II. 담연의 사상 58
1. 담연의 사상구조 58
2. 담연의 화엄사상에 대한 태도: 화엄사상의 영향과 비판
1) 화엄사상의 영향 61
2) 『화엄경』 우월의 교판론 비판 63
3) 무정물에도 불성이 있다는 주장: 화엄종의 볍성에 대한 비판 71
III. 의천의 사상 75
1. 의천사상을 바라보는 여러 가지 관점 75
1) 징관의 화엄사상의 영향 77
2) 종밀의 『원각경소』에 의지한 회통사상 79
3) 원효의 화쟁사상 수용 82
IV. 담얀사상과 의천사상의 비교 84
ISSN15980642 (P)
ヒット数121
作成日2021.05.12
更新日期2021.05.1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416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