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깨달음의 사회화’에 관련한 몇 가지 고찰=Remarks on Buddhist Engagement with Society
著者 조성택 (著)=Cho, Sung-taek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24
出版年月日2009.12
ページ7 - 55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注記
キーワード깨달음=enlightenment; 조계종= Jogye Order; 참여불교=engaged Buddhism; 사회철학=Social philosophy; 불교윤리=Buddhist Ethics; 법의 불교=dhammic Buddhism; 업의 불교=kammic Buddhism; 근대불교=modern Buddhism; 대승윤리=Mahayana ethics
抄録
초기불교 이래 중생제도(衆生濟度)는 불교의 근본 사명 가운데 하나였으며 이러한 사명은 대승불교 전통에 와서 더욱 강조되어 심지어 “모든 중생을 다 제도할 때까지 나 자신의 깨달음을 미루겠다”고 하는 극단적인 선언으로까지 이어졌다. 중생제도가 중생들의 ‘안녕(hita)과 행복(sukha)’을 포함하여 궁극적인 구원을 의미하는 만큼 중생제도의 실천만큼 분명한 깨달음의 사회화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깨달음의 사회화는 교리적으로 내면화되어 있는 불교의 근본정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깨달음의 사회화’라는 점을 두고 불교는 내외로부터 지속적인 비판을 받아왔다. 전통시대 동아시아에서 불교의 ‘비사회적 성격’에 대한 유학자들의 비판은 논외로 한다하더라도 근대 이후에도 불교는 사회적 참여에 대한 소극성으로 비판을 받아왔다. 그런 한편 ‘깨달음의 사회화’라는 문제는 불교 내부의 문제제기이기도 하였다. 요컨대 불교가 출세간적 가치에 매몰되어 세간에서 벌어지고 있는 불의와 사회적 모순, 그리고 중생들의 일상적 고통을 돌보고 있지 않다는데 대한 자기반성이며 비판인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국불교를 중심으로 사회참여에 대한 불교의 소극성의 연원을 교리적·역사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나아가 불교적 사회참여 이론을 정립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론적 틀을 제안하고자 한다.


One of Buddhism’s fundamental missions since early times has been to “save people in the world” while pursuing individual enlightenment. The emphasis on “saving people” was even more pronounced in Mahayana Buddhism, leading adherents to postpone their individual pursuit of salvation for the sake of “saving all the living beings in the world.” Since “saving people” addresses spiritual enlightenment as well as welfare and happiness in this world, this practice is the most distinct in terms of “engaging society.” Nevertheless, Buddhism faces challenges brought by its relatively disengaged role in social issues within Buddhist and secular society.
This paper seeks to reexamine the historic and doctrinal passivity of Buddhist engagement in society while focusing on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especially the Jogye Order. Furthermore, the paper suggest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developing Buddhist social engagement.
目次I. 들어가는 말 10
I-1. 문제의 소재 10
I-2. '깨달음의 사회화 13
II. 왜 참여하지 않는가? 16
II-1. 조계종의 역사적 정체성 17
II-2. 禪的 깨달음의 초월적 성격에 관하여 21
III. 개혁종단의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의 성격과 한계 25
IV. 결론: 法의 불교(dhammic Buddhism) 와 業의 불교(kammic Buddhism) 44
ISSN15980642 (P)
ヒット数104
作成日2021.05.13
更新日期2021.05.1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4412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