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알라야식의 기원에 관한 최근의 논의 -- 람버트 슈미트하우젠과 하르트무트 뷔셔를 중심으로 =Recent Discussions of the Introduction of the Ālayavijñāna |
|
|
|
著者 |
김성철 (著)=Kim, Seong-cheol (au.)
|
掲載誌 |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巻号 | v.26 |
出版年月日 | 2010.08 |
ページ | 7 - 45 |
出版者 | 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
出版サイト |
http://www.kabs.re.kr/
|
出版地 | 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抄録 | 슈미트하우젠은 〈삼마희다지〉에 나타나는 도입문을 근거로 알라야식이 “[물질적 감각 기관에] 부착해 있는 식”이라는 의미에서 멸진정의 가교로서 최초로 도입되었다고 한다. 그 후 그 개념의 유용성으로 인해 다른 유관개념을 통합하면서 개체존재의 근거로 나아가 모든 현상의 근거로까지 발전하였다. 이러한 슈미트하우젠의 가설에는, 도입의 맥락이 된 멸진정이라는 주변적 상황과 도입의 결정적 근거가 된 『법시비구니경』의 문장과 관련한 문제 등을 되짚어 볼 때, 전적으로 수긍하기 힘든 면이 존재한다. 뷔셔는 이러한 슈미트하우젠의 가설을 비판하고 알라야식이 『해심밀경』의 새로운 철학적 기반 위에서 “잠재적인 식”이라는 의미에서 도입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슈미트하우젠의 도입문에 대한 그의 비판은 ‘a(vi)pariṇata’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 기반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그가 주장하는 『해심밀경』의 도입문에 대한 이해에서도 그는 잘못된 맥락에서 해석하고 있다. 알라야식 도입의 가장 결정적인 열쇠가 되는 슈미트하우젠의 도입문에 대한 비판과 자기자신이 제시한 도입문의 해석에서 보이는 오류로 말미암아 그의 논지 전체가 설득력이 떨어지게 된 것이다. 따라서 우리에게는 알라야식의 도입을 보다 더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 있는 두 도입문의 재해석, 혹은 도입의 새로운 맥락을 탐구해 나갈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Prof. Schmithausen insisted that Ālayavijñāna was introduced as a kind of “gap-bridger” of the nirodhasamāpatti in the sense of “the mind sticking in [the material sense-faculties]” on the basis of his Initial Passage found in the Samāhitā Bhūmi . Once introduced, Ālayavijñāna developed from a “gap-bridger” into the very basis of personal existence and even of all phenomena integrating all other related notions, because of its convenience. However, in light of the nirodhasamāpatti ’s peripheral situation an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passage of Dharmādinnasūtra , which was Schmithausen’s decisive evidence of the introduction of the new mind, his working hypothesis is not fully satisfactory. Dr. Buescher criticized Schmithausen’s hypothesis and insisted that Ālayavijñāna was introduced in the sense of “latent consciousness” on the basis of new philosophical/ hermeneutical background of Saṃdhinirmocanasūtra . Buescher’s criticism, however, was based on his misunderstanding of the term “a(vi)pariṇata ” of Schmithausen’s Initial Passage, as well as on his misinterpretation of the context of his own Initial Passage from Saṃdhinirmocanasūtra . Because of the errors mentioned above, Buescher’s refutation on Schmithausen’s hypothesis is not persuasive enough. This would mean that there is still a necessity to reinterpret the two Initial Passages or investigate a new context of the introduction of Ālayavijñāna. |
目次 | 서론 10 1. 슈미트하우젠의 알아야식 기원설 11 1) 현대 학자들이 제시한 알라야식 도입의 맥락 11 2) 알라야식의 선구개념과 유관개념 13 3) 슈미트하우젠의 방법론적 기준 16 4) 문헌의 연대 구분 17 (1) 『해심밀경』에 대한 『유가사지론』 〈본지분〉의 선행성 17 (2) 유가론의 성립순서(§ 1.6.7)는 크게 셋으로 나눌 수 있다. 18 5) 슈미트하우젠이 제시한 도입문 18 (1) 도입문의 내용과 이유 19 ① 도입부이 §1.7의 첫 번째 조건을 만족시키는 이유 20 ② 도입부이 §1.7의 두 번째 조건을 만족시키는 이유 25 ③ 도입문에서 제시된 알라야식의 의의 26 6) 도입문의 해석에서 나타나는 슈미트하우젠의 방법론상의 특징 27 2. 슈미트하우젠에 대한 뷔셔의 비관과 새로운 도입문 28 1) 슈미트하우젠의 도입문에 대한 비판 29 2) 뷔셔의 도입부 32 (1) 뷔셔의 도입문이 슈미트하우젠의 방법론적 기준1을 만족시키는 이유 33 (2) 뷔셔의 도입문이 슈미트하우젠의 방법론적 기준2을 만족시키는 이유 35 (3) 뷔셔의 도입문 해석에 대한 몇 가지 의문점 36 결론 - 제3의 도입문은 존재하는가? 39 |
ISSN | 15980642 (P) |
ヒット数 | 138 |
作成日 | 2021.05.14 |
更新日期 | 2021.05.17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