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의 공통적 요소 -- 무애행과 정토사상을 중심으로=The Common Elements of Tiantai and Wonhyo's Thought: With Emphasis on Unobstructed Action 無礙行 and Pure Land 淨土 Thought
著者 이병욱 (著)=Lee, Byung-wook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42
出版年月日2015.03
ページ29 - 58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キーワード계율관=the viewpoint of the precepts=戒律觀; 중도=中道=the middle way; 무애도=the unobstructed path=無礙道; 무애행=無礙行=unobstructed action; 유심=唯心; 정토설; 내면의 세계; 정토=the inner world pure land=淨土; mind-only theory of pure land=唯心淨土
抄録이 논문은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의 공통적 요소에 대해 검토하려는 글이다. 그런데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은 그 범위가 넓기 때문에 연구범위를 무애행(無礙行: 無礙道)와 정토사상에 한정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천태의 무애도와 원효의 무애행을 비교하는데, 여기에는 천태와 원효의 계율관을 비교하는 것도 포함된다. 천태의 계율관은 중도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원효의 계율관도 공(空)의 관점을 지키면서도 유(有)의 관점을 버리지 않는 것, 곧 중도의 맥락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점에서 천태의 계율관과 원효의 계율관에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천태의 무애도와 원효의 무애행은 그 정신에서 일치하는 것이다. 천태의 무애도는 탐욕 그대로 도(道)라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이 관점에서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서는 탐욕을 긍정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원효는 계율의 측면에서 조명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원효의 무애행은 계율의 측면을 강조한 것이다. 이는 외형적으로 볼 때 계율을 어긋나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내면의 세계가 진실한 것이라면 계율을 어기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천태가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서 탐욕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원효에서는 계율을 지키는 내면의 세계가 중요하다는 점으로 바뀐다. 그렇지만 천태와 원효, 둘 다 외형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내면의 세계가 중요하다고 본 점에서는 일치한다. 3장에서는 천태의 정토사상과 원효의 정토사상을 비교한다. 천태의 정토사상에서는 공(空)을 자각하는 것이 정토에 태어나는 것이라고 한다. 이것도 일종의 유심(唯心)정토설이라고 할 수 있다. 원효의 정토사상은 정토를 4단계로 나누어서 접근한다. 원효도 부처의 경지를 정토라고 하고 있으므로 원효도 유심정토설을 주장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천태와 원효는 계율관, 무애행(무애도), 유심정토설에서 서로 공통되는 측면이 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elements in common between Tiantai thought and Wonhyo's thought, limiting the scope of study to the concepts of unobstructed action 無礙行 and pure land 淨土 thought. I first compare the Tiantai viewpoint of the precepts 戒律觀 to that of Wonhyo's. The Tiantai view of the precepts is that of the middle way 中道, while Wonhyo maintains the standpoint that the precepts are in fact empty 空 but that one should not abandon the perspective that they exist 有. In effect, Wonhyo espouses the same middle way perspective of Tiantai.
Second, the spirit of the Tiantai concept of the unobstructed path 無礙道 is identical to Wonhyo's idea of unobstructed action 無礙行. The unobstructed path of Tiantai thought starts with the view that desire is itself the way 道, affirming the desire to save sentient beings. Wonhyo in turn highlights this view from the standpoint of the precepts. Although one's actions may outwardly appear to violate the precepts, if one's inner world is true then one has not truly violated the precepts. Thus the Tiantai affirmation of the desire to save sentient beings changes for Wonhyo to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inner world in keeping the precepts. Nevertheless, both Tiantai and Wonhyo agree on the importance of the inner world rather than the outward form. Finally, I compare Tiantai and Wonhyo's pure land thought. The Tiantai view is that to understand emptiness 空 is to be born in the pure land. Meanwhile, Wonhyo divides the pure land into four grades, classifying the level of Buddhahood as pure land. Thus, we see that both Tiantai and Wonhyo's thought espouse a mind-only theory of pure land 唯心淨土.
目次Ⅰ. 서론 30
Ⅱ. 천태의 무애도와 원효의 무애행 32
Ⅲ. 천태의 정토사상과 원효의 정토사상 44
Ⅳ. 결론 51
ISSN15980642 (P)
ヒット数92
作成日2021.06.09
更新日期2021.06.0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6601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