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랑카섬 국가종교의 내부분열에 대한 비판적 小考 -- Dīpavaṃsa 19章에 묘사된 Abhayagiri-vihāra의 기원을 중심으로=The Origin of the Abhayagiri Monastery as Describedin the Dīpavaṃsa
著者 김경래 (著)=Kim, Kyung-rae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44
出版年月日2015.09
ページ101 - 127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注記
キーワード아바야기리 사원=Abhayagiri monastery; 마하위하라=Mahāvihāra; 테라와다=Theravāda; 디빠왕사=Dīpavaṃsa; 마하왕사=Mahāvaṃsa; 랑카섬=the Isle of Laṅkā; 연대기=Chronicle=Vaṃsa
抄録마하왕사 (Mahāvaṃsa) 를 비롯한 빠알리 문헌들은 스리랑카 테라와다 내부분열의 원인을 아바야기리 사원 (Abhayagiri-vihāra) 의 등장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들에 따르면, 아바야기리 사원은 왓따가마니 아바야 통치기에 건립되었으며, 왕권의 후원 을 받아 인도본토의 급진적인 사상을 수용하면서 당시 기득권이었던 마하위하라 세력을 압도했다고 한다. 그러나 현존하는 빠알리 문헌을 제외하면, 1,000 년 이상 독자적인 교단을 형성했다고 알려진 아바야기리 사원에 대한 실질적인 증거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빠알리 문헌을 제작한 것이 마하위하라 세력이었다는 점을 감안한 다면, 아바야기리 사원과 관련된 일반론들은 면밀한 재검토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기존에 통용되던 역사관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기 위해 논자가 선택한 텍스트는 디빠왕사 (Dīpavaṃsa) 이다 . 현존하는 빠알리 문헌 중 최초로 ‘Abhayagiri’ 라는 고유명사를 언급하고 있는 이 텍스트는 여타의 빠알리 문헌들과 달리 당대의 상황을 비교적 건조한 관점으로 담아내고 있다. 이를 정리해보면 , 자이 나 수행자 ‘기리’ 가 살던 곳에 ‘아바야기리’ 라는 명칭이 붙여졌고, 이후 왓따가마니 아바야가 이 지역 수행자들을 후원했다고 한다. 그러나 디빠왕사 는 Abhayagiri 라 는 지명만을 언급할 뿐 , ‘ 아바야기리 사원 (Abhayagiri-vihāra)’ 이라는 복합어를 직접 언급하지 않고 있음은 물론, 이 사원이 정확히 언제 , 누구에 의해 건립되었는지에 대 해서도 아무런 단서를 남기지 않고 있다. 이러한 서술방식은 왓따가마니 통치기에 아바야기리 사원이 분파의 거점으로서, 그리고 독립된 사원세력으로서 인식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origin of the Abhayagiri monastery in ancient Sri Lanka. According to the Mahāvaṃsa, which has been transmitted by the Mahāvihāra fraternity, the Abhayagiri Monastery was built by the king Vaṭṭagāmani Abhaya, and is where a Jain ascetic named Giri dwelt. Since then, for over a thousand years, the dwellers of Abhayagiri Monastery had been a main rival to those of Mahāvihāra. The verses described in the Dīpavaṃsa, however, have quite different information from that of Mahāvaṃsa. While the Mahāvaṃsa is a Mahāvihāra-centred chronicle, the Dīpavaṃsa, the oldest chronicle among the extant Pāli texts, is a collection of unofficial history. Therefore, the descriptions from the latter possibly illuminate the origin of a fascinating monastery, rather than the advent of an evil monastery of the Mahāvihāra fraternity.
Chapter 19 of Dīpavaṃsa describes not only the origin of the name for (paññatti, vohāro), but also the stone stupa (silāthūpa) of Abhayagiri. Nevertheless, the origin of Abhayagiri Monastery is still ambiguous since the verses are awkward in Pāli grammar and structure. Hermann Oldenberg, who edited and translated the Dīpavaṃsa in 1879, tried to understand the problematic passages by comparing them to the Mahāvaṃsa. Lance Cousins criticised the Oldenberg interpretation, and suggested alternative understandings for them. This article, in order to reveal the actual evidence of the origin of the Abhayagiri Monastery, scrutinizes the relevant verses of chapter 19 in the Dīpavaṃsa by critically examining the understandings of Oldenberg and Cousins.

目次I. 서 론 102
II. Mahāvaṃsa 에 근거한 해석과 그 문제점 106
III. Dīpavaṃsa 19장 분석 110
IV. 결 론 120
ISSN15980642 (P)
ヒット数145
作成日2021.06.11
更新日期2021.06.1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6878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