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담연원징선사어록(湛然圓澄禪師語錄)』의 선관인식(禪觀認識) 및 종문인식(宗門認識) 고찰=The Viewpoint of Zen AwarenessShown in Zhanran-Yuancheng(湛然圓澄)’s Chanzong-huowen(禪宗或問)
著者 김호귀 (著)=Kim, Ho-gui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46
出版年月日2016.03
ページ95 - 120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注記
キーワード담연원징; 선종혹문; 선관; 종문; 선종; 유교=Confucianism; 도교=Taoism; 염불; 주력; 간경; 예배; 수증관; zen sects; dogmatic Buddhism; Zhanran-Yuancheng; Chanzong-huowen; practices; harmony
抄録명대 말기에는 당․오대․송대와는 달리 원대를 거치면서 형성된 종교다원주의의 정책에 힘입어 종교들 사이에도 다양한 사상의 혼융이 이루어졌고, 불교 자체에서도 종파들 간의 융합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갔다. 더욱이 선종의 경우에는 교학의 관계는 물론이고 수행법의 경우에도 정토수행을 비롯한 여타의 다양한 수행법이 혼재되면서 출가와 재가 그리고 여인의 수행과 이교인(異敎人)의 불교수행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인 양상으로 드러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명말 불교의 상황은 여러 가지 종파와 삼교의 사상이 융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시대였다. 수행의 측면은 물론이고 신앙과 사상의 측면에서도 불교만이 아니라 도교와 유교 등 삼교가 상호 영향을 끼치면서 조화의 모습을 보여주는 시대였다. 이러한 시대에 담연원징은 조동종의 선사로서 『선종혹문』(『담연원징선사어록』 제8권 수록)이라는 저술을 통해서 선의 수증관 및 선의 교화행에 대하여 다양한 설명을 보여주고 있다. 선의 수증관으로는 외연을 넓혀서 좌선수행과 정토수행․주력수행․간경수행․예배수행 등 기타수행에 대한 상황을 일러주었고, 선의 교화행으로는 선이 대중에게 다가가려는 제스처로서 재가인의 수행을 비롯하여 여인의 수행과 불교 이외에 유교의 수양 및 도교의 수심 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고 있다.
『선종혹문』을 통해서 원징은 선의 입장에서 당시에 유행하고 있는 종파 및 기타 유교와 도교 등에 대한 관점인 선관인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자신이 속해 있는 선종에 대한 종문인식의 자각을 통하여 선종 자체의 정체성 및 선종과 기타 교학을 비롯한 여타의 종교에 대한 입장을 종합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때문에 이를 통하여 선종과 명대 말기에 번성했던 기타의 사상에 대한 교섭이 어떤 것이었는가에 대하여 엿볼 수가 있다.

Under the policy of religious pluralism, the late Ming Dynasty showed active intercommunicative flow of thoughts among various religions. The harmony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flourished in this soil. Buddhism itself was not an exception of this phenomenon and enjoyed diversity in thoughts and practices. The Zen School, in particular, not only kept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octrinal School, but also adopted diverse methods of practice for diverse people such as women, pagans, monastics, and laity. The practice for Pure Land was also used in that school.
This atmosphere is well reflected in Zhanran-Yuancheng(湛然圓澄)’s Chanzong-huowen(禪宗或問). Chanzong-huowen is composed of three parts and 57 items. The 57 items show questions and answers on various themes. He widened the boundary of practice through introduction of sitting meditation, repetition of the sacred name of Amitabha, mantra and dharani practice, chanting, and reading Buddhist scriptures. Through this, he tried to approach all walks of life including women, and presentedexplanation of the essence of Confucianism and Taoism in the relation with Zen.
On the standpoint of Zen, he first review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Zen and other Buddhist sects, Confucianism, and Taoism. He alsodemonstrate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dentity of Zen itself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doctrinal school and other religions.
Chanzong-huowen shows Zhanran-Yuancheng’s effort to clarify the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Zen, and at the same time, to establish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Zen and other thoughts.
目次I. 서언 96
II. 『선종혹문』의 주제와 구성 98
III. 원징의 선관인식(宗門認識)과 그 관점 103
IV. 원징의 종문인식(宗門認識)과 그 입장 108
V. 결어 116
ISSN15980642 (P)
ヒット数179
作成日2021.06.16
更新日期2021.06.16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740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