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성자 비묵띠세나의 고뜨라種性 개념에 대한 해석 -- ṣaṇṇāṃ pāramitānāṃ dharmatālakṣaṇo viśeṣaḥ를 중심으로=Interpretation of the Notion of ‘Gotra’ by Ārya-Vimuktiṣeṇa: focusing on the phrase “ṣaṇṇāṃ pāramitānāṃ dharmatālakṣaṇo viśeṣaḥ”
著者 이영진 (著)=Lee, Young-jin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49
出版年月日2016.12
ページ233 - 254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キーワード성자 비묵띠세나; 대덕 비묵띠세나; 현관장엄론; 고뜨라=種性=gotra; 법계=法界=dharmadhātu; 육처수승; 법처=法處; dharmāyatana; ṣaḍāyatanaviśeṣa; Ārya-Vimuktiṣeṇa; Bhadanta-Vimuktiṣeṇa; Abhisamayālaṅkāra
抄録이 논문의 목표는 성자 비묵띠세나가 『현관장엄론』을 주석하면서 채택한 보살의 ‘고뜨라(種性)’의 정의인 “ṣaṇṇāṃ pāramitānāṃ dharmatālakṣaṇo viśeṣaḥ”를 살펴보는 것이다. 필자가 아는 한, 이 개념은 이후 대덕 비묵띠세나, 하리바드라, 라트나까라샨티, 아바야까라굽타 등의 『현관장엄론』 주석가들에게 전해지지 않은 성자 비묵띠세나의 독창적인 해석이다.
이 구문은 ‘[보살의 고뜨라는 그들이 붓다가 되는 길에서 계발하고 닦아야 하는] 육바라밀과 관련한 [성문과 벽지불보다] 뛰어남(viśeṣa)으로 법성(法性 dharmatā)로 특징지어진다’로 이해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의미가 통할 것이다. 그렇지만, ‘[보살의 고뜨라]는 육처 중의 법성으로 특징지어진다’는 티벳역, 성자 비묵띠세나와 대덕비묵띠세나의 또 다른 고뜨라에 대한 정의인 ‘법계는 특수함(viśeṣa)에 의하여 고뜨라가 된다’를 고려할 때, 앞선 정의에 대해 좀 더 신중한 고려를 해야만 할 것이다. 또한 ‘법계가 보살 수행의 소연(所緣 ālambana) 혹은 성자들이 지니는 출세간법의 소연연(所緣緣 ālambanapratyaya)으로 작용한다’는 설명을 고려할 때, 더욱 그러할 것이다.
필자는 이 문맥에 관련한 다른 주석서, 특히 ‘육처수승’(六處殊勝 ṣaḍāyatanaviśeṣa)에 대한 주석 중 쫑카파(Tsong kha pa)에게 전해 내려온 익명의 주석을 참조하여 이 구문을 “ṣaṇṇām āyatanānāṃ dharmatālakṣaṇo viśeṣaḥ”로 교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개선된 성자의 ‘고뜨라’에 대한 정의는 『보살지』 등의 초기 유가행파 문헌들에 나타난 [본성주]종성([本性住]種性 [prakṛtistha]gotra)에 대한 재해석으로, ‘법계’라는 개념을 ‘고뜨라’로 도입하고자 하는 시도의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paper tries to elucidate Ārya-Vimuktiṣeṇa’s exclusive definition of bodhisattvas’ ‘gotra’, which is given in the phrase “ṣaṇṇāṃ pāramitānāṃ dharmatālakṣaṇo viśeṣaḥ” in his commentary on the Abhisamayālaṅkāra. This notion has not been handed down to his successive Indian commentators such as Bhadanta-Vimuktiṣeṇa, Haribhadara, Ratnākaraśānti and Abhayakāragupta, as far as I know.
The phrase can be interpreted as ‘“[bodhisattvas’ gotra] indicates superiority [to śrāvakas and pratyekabuddhas] with regard to six-perfections [which must be developed and practiced by them on the path to becoming a Buddha, and it is] characterized by or defined as the true nature of dharmas.’ This interpretation would make sense in itself. However, considering its Tibetan translation “[Bodhisattvas’ gotra] is characterized by or defined as the true nature of dharmas of the six sense-spheres,” and another definition of the gotra by Ārya as well as Bhadanta, that is, “the viśeṣa (here, particularity) by which dharmadhātu is to be called gotra,” we need to have a second thought about this understanding. It is more so when considering that the dharmadhātu functions as objective support (ālambana) of the bodhisattvas’ practice or as object-condition (ālambanapratyaya) of supramundane dharmas of the Noble ones.
Referring to other commentaries related to this context, especially to a comment on the compound of ‘ṣaḍāyatanaviśeṣa’ by an anonymous commentator which has been handed down to Tsong Khapa, I suggested that we should amend the phrase to “ṣaṇṇām āyatanānāṃ dharmatālakṣaṇo viśeṣaḥ” resorting to its Tibetan translation. Ārya’s unique definition, which is revised based on my suggestion, is considered to be a reinterpretation of the [prakṛti] gotra theory represented in the early Yogācāra texts such as the Bodhisattvabhūmi and so on, in accordance with their agenda; in other words, introducing a new concept of dharmadhātu as gotra.

目次Ⅰ. 들어가며 234
Ⅱ. 성자 비묵띠세나의 보살 고뜨라에 대한 정의 238
Ⅲ. 소연(所緣)으로 작용하는 법계 244
Ⅳ. 맺음말 248
ISSN15980642 (P)
ヒット数102
作成日2021.06.22
更新日期2021.06.2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7915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