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에서 명과 무명을 밝히는 다섯 가지 문답[五重問答]=A Study on the Vidyā and Avidyā of the Five-fold Question and Answer in the Shi moheyan lun (釋摩訶衍論)
著者 김지연 (著)=Kim, Ji-yun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51
出版年月日2017.06
ページ1 - 29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注記
キーワード석마하연론=the Shi moheyan lun; 오중문답=Five-fold Question and Answer; 무명; 명; 유각문; 무각문; 불이마하연법; vidyā; avidyā; enlightenment; non-enlightenment; non-duality Mahāyān
抄録『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은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주석서이지만 혜원・원효・ 법장 등과 다른 독특한 해석을 보이는데, 본고에서 다루는 오중문답(五重問答)도 그 중하나이다. 이 문답은 일체행자(一切行者)・청정본각(淸淨本覺)・일법계심(一法界心)・삼자 일심마하연법(三自一心摩訶衍法)・불이마하연법(不二摩訶衍法)의 명(明)과 무명(無明)을 묻는데, 『석론≸은 앞의 네 가지 질문에는 모두 무명이라고 대답하고 마지막 한 가지에 대해서는 침묵한다. 이렇게 답한 이유를 찾기 위해 『석론≸ 전체에서 오중문답의 다섯 가지 개념들이 나타나는 부분을 찾아 고찰하였다. 『석론』의 오중문답에 대한 연구는 동아시아 불교의 중심이 되는 『기신론』에 기반하여 7~8세기에 나타나는 무명에 대한 이해를 부분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석론』은 앞의 네 가지 문답을 아직 깨닫지 못한 분별의 영역에 포함된다고 보아 ‘무명’이라고 답한다. 그러나 오중문답이 무명의 영역인 유각문(有覺門)에서 서술된 것을 통해 답은 이미 ‘무명’으로 정해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석론』은 오중문답을 설정하여 ‘명’과 ‘무명’을 구분하기 보다는, 독창적인 무명이해를 나타내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보인다. 또한 다섯 번째 문답에서 불이마하연법을 ‘명’이라고 밝히지는 않았 지만, 침묵함으로써 무명이 아니라는 사실을 암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석론』에서 ‘불이마하연법’은 바로 ‘불(佛)’이기 때문이고, 이것은 언어와 사유로는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오중문답을 마친 후 바로 무각문(無覺門)을 이어서 서술하는 흐름을 통해서도 가늠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중문답에는 불이마하연법 외의 다른 것은 무명 이라고 하는 독창적인 무명관과 무명으로써 명인 불이마하연법을 드러내려는 『석론』 의 의도가 담겨있다고 판단된다.

As the commentary of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the Shi moheyan lun (abbreviated as SML) develops different interpretations in many cases from other notes by Huiyuan, Wonhyo, Fazang, etc. The Five-fold Question and Answer is the one of them. It asks whether the five subjects are vidyā or avidyā; the practitioner, the pure original enlightenment, the mind of the single reality realm, the three oneself of one mind of Mahāyāna, non-duality Mahāyāna. The SML answers that the first four are avidyā, but keeps silent about the last. Therefore, I try to research the five subjects of the Five-fold Question and Answer shown in other parts of the SML to find the reason.
The SML explains that the first four are avidyā because they still remain in discrimination. He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answers are already decided as avidyā by the fact that the Five-fold Question and Answer is given from the aspect of being-enlightenment which is the realm of avidyā. From this, the intention of the SML is to express the creative understanding of avidyā than to divide the five subjects into vidyā or avidyā. Moreover, by keeping silent about the last question, the SML suggests that the non-duality Mahāyāna is impossible to illustrate with words because it is the Buddha.
Briefly, through the Five-fold Question and Answer, the SML tries to show own ingenious view that everything except the non-duality Mahāyāna is avidyā, and to reveal that the non-duality Mahāyāna is vidyā.
目次I. 들어가는 말 2
II. 『석마하연론』의 오중문답(五重問答) 5
III. 오중문답에 담긴 의의 20
IV. 나오는 말 24
ISSN15980642 (P)
ヒット数189
作成日2021.06.23
更新日期2021.06.2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811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