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동남아 테라와다의 정체성 확립과 바왕가(bhavaṅga) 개념의 전개 (3) -- 『빳타나(Paṭṭhāna)』제2권 용례 ①~⑰을 중심으로=Observations on the Term Bhavaṅga in the Paṭṭhāna (vol.2, Chaṭṭhasaṅgāyana)
著者 김경래 (著)=Kim, Kyung-rae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55
出版年月日2018.06
ページ247 - 274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キーワード『빳타나』=Paṭṭhāna; 바왕가=bhavaṅga; 尋=vitakka; 伺=vicāra; 喜=pīti; 樂=sukha; 捨=upekkhā
抄録본연구는 동남아 테라와다 전통이 정립한 아비담마 개념인 ‘바왕가(bhavaṅga)’의 전개사를 다루는 세 번째 논문이다. 논자는 바왕가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빠알리(Pāli) 문헌을 검토함으로써, 테라와다 전통이 정립한 고유한 아비담마 체계의 특징 및 전개사를 추적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향후 ‘초기불교’의 (전승자들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대변자로 여겨지고 있는 테라와다 전통의 성립과정과 역사성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조망해보고자 한다.
앞서 논자는 초기의 바왕가 개념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넷띠빠까라나(Nettipakaraṇa)』와 『뻬따꼬빠데사(Peṭakopadesa)』에서 발견되는 바왕가 용례들을 검토했다. 그 결과, 초기 바왕가 개념은 윤회를 활성화 시키는 ‘존재(bhava)의 요소(aṅga)’, 특히 12연기의 항목들을 지칭하는 용어였음을 확인했다. 이후 『밀린다빵하(Milindapañha)』에서 바왕가는 꿈꾸지 않는 깊은 수면상태를 지칭하는 용어로 규정된다. 그리고 이 용례들을 기점으로 바왕가는 심법의 범주에서만 다루어지게 되며, 더 나아가 심의 비활동 상태와 연속성을 변호하는 특수용어로 거듭나게 된다. 바왕가가 아비담마 전문용어로서 인식과정이론에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빳타나(Paṭṭhāna)』에 이르러서였다. 『빳타나』제1권에는 바왕가가 총 10회(8문장) 언급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바왕가는 심법으로서 ‘이숙-무기심’에 해당하고, 전향과 바왕가심에게 무간연으로 조건이 되어준다.
이상의 논의들에 이어 본 논문에서는 『빳타나』제2권의 용례들 중 심소법과 관련된 17가지 문구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바왕가가 다섯 가지 ‘禪의 요소들’ 중 네 가지 심소법들(伺, 喜, 樂, 捨)과 함께 일어날 수 있으며, 삼계와 출세간에서 모두 발생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aims to evaluate the abhidhamma terminology ‘bhavaṅga’ which is found in the abhidhamma treatise Paṭṭhāna (Vol.2). Throughout this series of articles, I shall scrutinize the history and identity of the Theravāda tradition in Southeast Asia.
The first written mention of the term bhavaṅga is in the Nettipakaraṇa and Peṭakopadesa. These two texts convey the earliest usage of the term which defines it as a factor (aṅga) of existence (bhava) or the twelve link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The Milindapañha shows us the next step for the doctrinal development of the term. The term bhavaṅga in this text is described as a non-active state of mind, rather like a dreamless deep sleep.
The Paṭṭhāna is the first text that describes bhavaṅga as a sophisticated abhidhamma terminology for the cognitive process. The occurrences of bhavaṅga in the Paṭṭhāna Vol.1 and 2 reveal that it is the resultant indeterminate (vipākaavyākata) as well as conditioning for the adverting (āvajjana), the death consciousness (cuti-citta), or rebirth consciousness (upapatti-citta) as the proximate condition (anantara-paccaya).
Furthermore, the bhavaṅga possibly arises with four kinds of the mental factors (cetasikā) which are called the sustained application (vicāra), the zest (pīti), the pleasant (sukha) and the equanimity (upekkhā). Given that these mental factors are the constituents of meditation (jhāna), the bhavaṅga arises throughout the spheres, namely, from the sense-sphere to the supramundane.



目次I. 서론 248
II. Context 250
III. 심소법과의 결합: 용례 ①~⑰ 259
IV. 결론 267
ISSN15980642 (P)
ヒット数134
作成日2021.07.02
更新日期2021.07.0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860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