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인도어 사본 연구 현황과 과제: 국내학계를 중심으로=Current Situation and Assignment of Studies on Indic Manuscripts in Korea |
|
|
|
著者 |
이영진 (著)=Lee, Young-jin (au.)
|
掲載誌 |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巻号 | v.58 |
出版年月日 | 2019.03 |
ページ | 33 - 59 |
出版者 | 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
出版サイト |
http://www.kabs.re.kr/
|
出版地 | 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注記 | |
キーワード | 인도어=Indic language; 산스크리트=Sanskrit; 사본=Manuscript; 연구 현황=Current Situation; 사본 연구와 사상의 관계=Relationship between the manuscript study and philosophy; 학문 분야=Discipline; 시스템화=Systematization |
抄録 | 1820년대에 네팔 카트만두에서 발견된 산스크리트 사본을 기점으로 출발했던 인도어 사본 연구는 1990년대에 이르러 파키스탄과 아프카니스탄의 국경지대에서 출토된 간다리 사본, 그리고 티벳 / 자치구에 보관되어 있던 산스크리트 사본의 일부 공개로 제 2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불교학의 지형을 바꾸었고 바꾸고 있고 바꿀 이러한 사본연구는 유럽과 일본을 위시로 한 소위 불교학 선진국의 주류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렇지만 국내의 상황은 땅을 갈고 씨앗을 뿌려 이제 막 새싹이 올라오고 있는 단계에 해당한다. 이 논문은 아직 이십년이 되지 않은 국내의 인도어 사본에 대한 연구사를 정리하고, 학문후속세대의 연구를 소개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 1장에서는 불교의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던 인도어 사본 연구의 1세대와 전문적인 사본 연구 집단으로 대표되는 2세대로 나누어 연구 성과와 현재 진행 중인 연구를 다루었다. 또한 1세대와 2세대의 중간 기점에는 ‘울너 필사본의 카탈로그 작성 및 DB 구축 사업’이 있었는데, 이 프로젝트가 자생(自生) 적인 연구자를 길러내고 이후 후속세대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소개하였다. 2장에서는 국내학계에서 사본 연구를 정착하는데 가장 큰 장애가 되고 있는 “사본 연구와 인도/불교 사상의 연구는 완전히 별개이다”는 선입견에 반하는 예를 십지경 사본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 3장에서는 인도어 사본 연구를 인도/불교학의 하나의 학문분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 우리는 현시점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관해 제안하였다. 이를 간략히 요약하자면, 인도어 사본 연구를 ‘개인 연구자’ 위주에서 ‘시스템’으로 정착시켜야 비로소 인도어 사본 연구가 국내에 뿌리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The studies on Indic manuscripts that started with finding Sanskrit manuscripts in Kathmandu, Nepal in the 1820s has begun its second golden age by working on the Gāndhārī manuscripts and Sanskrit manuscripts preserved in Tibet. However, the situation in Korea is still in the earliest stage where the seeds, which were planted by scholars who had studied abroad in the early 2000s, are being sprouted.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works that have been done by Korean scholars for the last twenty years and introduce ongoing researches of the next generation. In the first chapter, I divided the scholars into two groups and introduce their works: first generation whose primary duty was to introduce the Indic manuscript study to Korea and the second generation that mainly consists of manuscript specialists. In the second chapter, I have shown a couple of cases from my studies on the Daśabhūmikasūtra ( 十地經 shidijing), in order to break down or reduce the prejudice that the manuscript study and the studies on Buddhism are entirely different and irrelevant. In the third chapter, I have made some suggestions on how to establish the Indic manuscript study as a discipline in the field of Buddhist Studies or Indian Philosophy in Korea. At present, the most urgent matter is to establish a system in which the manuscript specialists should continue to research their works and educate the next generation by hiring them. |
目次 | Ⅰ. 국내 학계의 연구현황 34 Ⅱ. 작은 차이가 큰 차이를 만든다 42 Ⅲ. 이제는 시스템으로 50 |
ISSN | 15980642 (P) |
ヒット数 | 181 |
作成日 | 2021.07.05 |
更新日期 | 2021.07.05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