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나를 바라보는 두 시각, 여래출현과 여래장=Two Perspectives on ‘I’: the Manifestation of the Tathāgata and Tathāgatagarbha |
|
|
|
著者 |
박보람 (著)=Park, Bo-ram (au.)
|
掲載誌 |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仏教学レビュー
|
巻号 | v.10 |
出版年月日 | 2011.12 |
ページ | 93 - 126 |
出版者 | 金剛大學 |
出版サイト |
https://www.ggu.ac.kr/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동국대학교 소속 |
キーワード | 여래장=tathāgatagarbha; 여래출현=manifestation of the Tathāgata=如來出現; 알라야식=ālayavijñāna; 여래성기=arising of the tathāgata’s nature=如來性起; 여래장불=tathāgatagarbha-buddha; 내 몸=my body; 화엄=Hwaŏm or Huayan=華嚴; 지론종=Dilun school=地論宗; 법상; 지엄=Zhiyan=智儼; 의상=Ŭisang=義湘; 여래장경=Tathāgatagarbhasūtra; 승만경=Śrīmālāsūtra; 능가경=Laṅkāvatārasūtra; 보성론 |
抄録 | 세상의 모든 종교와 철학 체계들은 ‘나’를 바라보는 나름대로의 시각을 지니고 있다. 불교 또한 ‘나’에 대해 ‘무아설’을 기반으로 다양한 설명을 해왔다. 이 글은 이 가운데 ‘나’를 긍정적인 입장에서 이해하는 여래장사상과 화엄교학의 여래출현사상을 비교・고찰하여 그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하였다. 인도에서 수행론적 요청에 의해 발생한 여래장사상이 의상계 화엄의 여래장불에 이르기까지 여래장사상은 시대와 지역의 사정에 따라서 다양한 변용을 거치면서 전개되었다. 여래장사상의 전개와 변용의 과정은 간략히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최초의 본격적인 여래장계 경전이라고 할 수 있는 『여래장경』에서 수행 내지 열반의 가능성으로서 상정된 여래장이 『승만경』에서는 열반뿐만 아니라 생사와 열반 모두의 의지처로서 확대된다. 그러나 열반의 의지처인 여래장이 어떻게 생사의 의지처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은 『승만경』이 아니라 『능가경』의 여래장=알라야식이라는 주장에 의해 대답이 가능하다. 이것이 동아시아에 수입된 후 지론종에 의해 수행론적 차원보다는 생사와 열반, 즉 염오법과 청정법 모두의 존재론적 근거로서 변용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화엄교학의 실질적 토대를 마련한 지엄은 여래장을 자신의 법계연기 체계에 포섭시키면서도 열반보다는 생사의 의지처에 중심을 두어 받아들인다. 반면에 같은 화엄교학에 속하는 의상계 화엄교학은 생사든 열반이든, 존재론적 차원이든 수행론적 차원이든 어떤 근거로서 상정되는 여래장의 경우 모두 삼승설로서 배격한다. 즉 어떤 차원에서든 기체설로서 이해될 수 있는 여래장설의 완전한 폐기를 주장한 것이다. 동시에 한편으로 의상계 화엄은 삼승의 여래장을 여래장불로 변용하여 일승설로서 포섭한다. 즉 여래장을 여래출현으로서의 여래장불로 이해함으로써 여래장설의 기본 명제인 ‘일체중생은 여래장을 지닌다’가 의상계 화엄교학에서는 ‘내 몸이 여래장불이다’로 변용된다. 이와 같이 여래장설은 발생→수입→변용을 거쳐서 의상계 화엄에 이른 후 폐기와 포섭이라는 두 측면을 통해 일체중생은 내 몸으로, 여래장은 여래장불로 변화하여 바로 이 자리에 출현하게 된다.
All religions and philosophy have their own perspective on ‘I’. Buddhism also has explained about ‘I’ in diverse ways based on no-self theory. This paper aimes at examining by comparison the meanings of tathāgatagarbha(如來藏) and the manifestation of the tathāgata(如來出現), which all understand ‘I’ through ‘my body’ in the affirmative. The tathāgatagarbha theory which had originated from the practical needs in India has been developed out undergoing various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s and the regions. This transformation would be summarized like the followings. The Tathāgatagarbhasūtra, the first sūtra on the tathāgatagarbha theory in fact as well as in name, describes tathāgatagarbha as the possibility or basis of practice or nirvaṇa. In the Śrīmālāsūtra(『勝鬘經』), the following sūtra of the Tathāgatagarbhasūtra, tathāgatagarbha becomes foundation of birth and death as well as nirvana. This sūtra, however, does not explain how tathāgatagarbha which is originally the base of nirvaṇa can be the base of birth and death as well, which came to be answered in the Laṅkāvatārasūtra(『楞伽經』) by assuming that tathāgatagarbha was same as ālayavijñāna that was already well known as the foundation of birth and death. After this tathāgatagarbha theory had been transmitted to the East Asia, this also came to be changed from the practical base into the ontological base of both defiled and pure dharmas in the Dilun school(地論宗). Zhiyan(智儼, 602~668CE) who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Huayan school included the tathāgatagarbha theory into his system of dependent co-arising of the dharma-realm(法界緣起) but he seems to interpret it as the base of birth and death rather than nirvaṇa. On the contrary, the Hwaŏm school of Ŭisang(義湘, 625 ~ 702 CE) and his disciples regarded the tathāgatagarbha theory which could be any kind of base or foundation of birth and death or nirvaṇa, and whether practical or ontological base as the Three Vehicles’ theory and rejected it. In other words, they asserted the complete aboliton of the tathāgatagarbha theory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a kind of dhātu theory in any case.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embraced the tathāgatagarbha theory of the Three Vehicles doctrine by transforming it into the tathāgathagarbhabuddha theory of the One Vehicle doctrine. By understanding tathāgatagarbha as the tathāgatagarbha-buddha which is the manifestation of the tathāgatha, the basic proposition of the tathāgatagarbha theory, “all sentient beings have tathāgatagarbha” are changed like this, “my body is the very tathāgatagarbha- buddha” in the Hwaŏm school of Ŭisang and his disciples. Therefore the tathāgatagarbha theory went the process of occurrence, transmittion, transformation, aboliton and embracement and, due to these processes, all sentient beings become my body and tathāgatagarbha are changed into the tathāgatagarbha-buddha as the manifestation of the Tathāgata. |
目次 | 1. ‘나’, 여래출현인가, 여래장인가? 95 2. 여래장사상의 인도적 맥락 98 3. 여래장사상의 동아시아적 변용 101 4. 여래출현사상의 여래장사상 변용과 비판 106 5. 내 몸, 여래출현인 여래장불(如來藏佛) 115 6. 맺음말 119
|
ISSN | 19752660 (P) |
DOI | 10.29213/crbs..10.201112.93 |
ヒット数 | 180 |
作成日 | 2021.08.06 |
更新日期 | 2021.08.13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