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大乗起信論』 成立問題に関する近年の動向をめぐって=On a Recent Study of the Origin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Great Vehicle
著者 大竹晋 (著)=오타케 스스무 (au.)
掲載誌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 =仏教学レビュー
巻号v.12
出版年月日2012.12
ページ9 - 43
出版者金剛大學
出版サイト https://www.ggu.ac.kr/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日文=Japanese
ノート저자정보: 하나조노 대학/불교대학
キーワード대승기신론=Awakening of Faith in the Great Vehicle; 진제=Zhendi; 담연=Tanyan; 지론종=the Dilun school
抄録전통적으로 『大乘起信論』은 眞諦(499-569)의 번역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실은 이것이 眞諦가 중국이 입국하기 이전에 지어진 菩提流支(?-508-537-?)의 강의록 『金剛仙論』처럼, 地論宗 北道派와 南道派의 분열 전인 초기 地論宗 문헌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이 타케무라 마키오竹村牧男 등 근래의 연구자들에 의해서 밝혀졌다. 그런데 최근 아라마키 노리토시荒牧典俊는 眞諦가 중국에 입국한 것보다 후(564-570년경)에 『大乘起信論義疏』의 저자인 地論宗 南道派 曇延(516-588)이 眞諦譯 『攝大乘論釋』의 영향에 기반하여 『大乘起信論』을 찬술했다고 주장하였다. 본고에서 필자는 이하의 것들을 지적하여 荒牧의 주장이 성립하지 않음을 증명한다.
(1) 荒牧는 『大乘起信論』과 같이 體 ・相 ・用 3개조를 사용하는 地論宗 南道派 문헌 S. 4303을 소개하고, S. 4303이 『大乘起信論』 보다 선행한다고 추측한다. 그러나 S. 4303이 法身 ・報身 ・化身을 순서대로 體 ・相 ・用에 배대시키는 데 반해, 『大乘起信論』은 法身을 體에, 報身 ・化身을 用에 배대시키며 相에는 아무 것도 배대시키지 않는다. 『大乘起信論』은 法身을 體에 報身 ・化身을 用에 배대시킨다는 점에서 『金剛仙論』과 일치한다. 따라서 실제적으로는 외려 『大乘起信論』이 S. 4303에 선행하는 것이다.
(2) 荒牧는 『大乘起信論』에서 설한 “眞如熏習” 사상이 眞諦譯 『攝大乘論』에서 설해진 “熏習” 사상의 영향을 받아 성립되었다고 추측하였다. 그러나 “眞如熏習” 사상은 이미 『金剛仙論』에서 설해진 것이다. 따라서 『大乘起信論』에 대한 眞諦譯 『攝大乘論』의 영향을 인정할 필요는 없다.
(3) 『大乘起信論』은 『楞伽阿跋多羅寶經』 『深密解脱經』 등과 같은 大乘唯識 문헌에 기반하여 五境의 동시적 顯現이나 六識의 동시적 生起를 설한다. 그런데 『大乘起信論』에 대응하는 그의 주석에서, 曇延은 聲聞乘 문헌에 기반하여 五境의 동시적 顯現이나 六識의 동시적 生起에 의문을 던진다. 그러므로 曇延은 『大乘起信論』의 저자가 아니다.
(4) 曇延은 『大般涅槃經』의 애호가였다. 그러나 『大乘起信論』에서는 『大般涅槃經』의 영향을 찾아볼 수 없다. 예를 들어 『大般涅槃經』을 대표하는 “佛性”이라는 용어는 『大乘起信論』 안에서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道宣의 『續高僧傳』에 따르면, 曇延은 『大般涅槃經』에 주석서를 쓰고자 할 때 꿈에서 馬鳴을 만나 경전의 의미를 배웠다고 한다. 이 일화에 기초하여, 荒牧는 曇延이 馬鳴의 이름에 기탁하여 『大乘起信論』을 찬술했다고 추측한다. 그러나 이 일화는 오히려 曇延이 주석서를 쓰기 전에 馬鳴이 如來藏思想의 전문가로 인식되었다는 것, 즉 馬鳴이 『大乘起信論』의 저자로써 알려져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曇延의 『大般涅槃經義疏』 보다 선행하는 慧遠의 『大般涅槃經義記』에서 『大乘起信論』 이 馬鳴의 저작으로 인용되고 있다는 사실로부터 판단한다면, 曇延이 주석서를 짓기 전에 『大乘起信論』은 馬鳴의 저작으로 이미 유통되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曇延은 『大乘起信論』의 저자가 아니다.

Traditionally,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Great Vehicle (AFGV) was regarded as a translation by Paramārtha (499-569). However, recent studies conducted by scholars such as Takemura Makio 竹村牧男 have found that the AFGV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such texts of the early Dilun 地論 school as Jingangxian lun 金剛仙論, a record of lectures of Bodhiruci (?-508-537-?), which preceded the split of the Dilun school into northern and southern branches, and also antedated Paramārtha’s arrival to China.
However, Aramaki Noritoshi 荒牧典俊 recently argued that the AFGV was composed by Tanyan 曇延 (516-588) from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after Paramārtha’s arrival to China, under the influence of Paramārtha’s Chinese translation of the Mahāyānasaṃgraha-bhāṣya (MSBh). In this article I will prove that Aramaki’s view cannot stand by pointing out the following facts:
1. Aramaki assumed that Stein 4303, a Dunhuang manuscript belonging to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used the same triad as the AFGV, namely, ti 體 (“substance”), xiang 相 (“character”) and yong 用 (“function”), and supposed that Stein 4303 preceded the AFGV. However, while Stein 4303 allots the body of dharma , the body of enjoyment and the body of transformation to ti , xiang and yong respectively, the AFGV allots the body of dharma to ti , and allots the body of enjoyment and the body of transformation to yong (i.e. the AFGV does not allot any concepts to xiang ). The way of allotment in the AFGV is in accordance with the Jingangxian lun's . Therefore, in fact, the AFGV must have preceded Stein 4303.
2. Aramaki assumed that the theory of “permeation of truth” in the AFGV was influenced by the theory of permeation in the MSBh. However, in fact, the permeation of truth had already been argued in the Jingangxian lun . Therefore, the influence of the MSBh on the AFGV should not be counted.
3. Depending on the Laṅkāvatāra-sūtra and the Saṃdhinirmocana-sūtra , both of which are Mahāyāna texts expressing the idea of consciousness-only, the AFGV asserted two theories: (1) the simultaneous emergence of the five sense objects (i.e. sights, sounds, scents, flavors and tactile sensations) in the storehouse-consciousness; (2) the simultaneous origination of the six consciousnesses (i.e. eye-consciousness, ear-consciousness, nose-consciousness, tongue-consciousness, body-consciousness and mind-consciousness) relying on the five sense objects. However, in his commentar
目次一 はじめに 11
二 体 ・ 相 ・ 用をめぐるS. 4303と 『大乗起信論』 15
三 熏習をめぐる真諦訳 『摂大乗論釈』と『大乗起信論』 20
四 『楞伽阿跋多羅宝経』 と 『深密解脱経』 とをめぐる曇延と 『大乗起信論』23
五 『大般涅槃経』 をめぐる曇延と 『大乗起信論』29
六 おわりに 34

ISSN19752660 (P)
DOI10.29213/crbs..12.201212.9
ヒット数141
作成日2021.08.06
更新日期2021.08.1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081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