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Madhyamaka in Tibet: Thinking Through the Ultimate Truth
著者 Duckworth, Douglas (著)
掲載誌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 =仏教学レビュー
巻号v.20
出版年月日2016.12.31
ページ171 - 197
出版者金剛大學
出版サイト https://www.ggu.ac.kr/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英文=English
ノートAuthor Affiliations: Temple University
キーワード중관학파=Madhyamaka; 유가행파=Yogācāra; 미팜=Mipam; 공=空=emptiness; 언설불가능=inconceivable
抄録본고는 티벳 중관 사상의 지배적인 해석적 줄기를 철학적으로 재구축한다. 논자는 마크 시더리츠(Mark Siderits)가 용수의 중관에 대한 관점으로 특징 지은 것, 특히 시더리츠가 용수에 대해 주장한 것처럼 궁극적인 진리는 논리를 여읜 것이라는 관점과 중관에 대한 티벳 중관학의 해석의 특징들을 구별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논자는 중관학파가 유가행파와 양립한다는 해석에 대하여 미팜(1846-1912)이 제시한 해석에 주목하여 입증한다. 미팜의 이론은 진제와 속제의 언설불가능한 통합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중관학파와 유가행파의 교각역 할을 한다.
논자는 모든 진리를 틀에 의지하는 것(framework-dependent)으로서 이해하는 해석 체계로서의 중관학파에 주목함으로써 불가해한 진리가 유가행파 및 중관학파와 양립가능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즉, 모든 진리가 중관학파의 특수한 틀과 관계되며, 틀에 의지하는 진리는 항상 관습적인 것 또는 상대적인 진리들일 뿐이며 틀에 의지하지 않는 진리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틀의 구조 자체는 생각과 표현의 범위를 넘어서는, 즉 “틀에 규정될 수 없는것(unframeable)” 것인데, 왜냐하면 개별적 진리는 필수적으로 어떤 특수한틀 안에 가둬지기 때문이다. 틀의 경계를 초월하고 완전히 틀 안에 가둬질 수 없는 것이 바로 궁극적 진리이다.
한편 공(空)은 중관학파에서 궁극적 진리에 관한 핵심적 은유이며, 언설 불가능한 (틀을 벗어난) 궁극성은 유가행파에서 “의타기”(paratantra)와 “알라야식”(ālayavijñāna)과 같이 다른 방식들로 나타난다. 불가해한 궁극성은 물론 유가행파에서도 유지되지만 중관학파의 해석과 갈등을 일으킬 필요는 없었다. 이는 일체가 공이기 때문이며, 또한 연기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고, 공이
공한 것과 마찬가지로 연기 역시 의존적이기 때문)이다.

This paper is a philosophical reconstruction of dominant interpretative strands of Madhyamaka thought in Tibet. I distinguish features of Tibetan interpretations of Madhyamaka from what Mark Siderits has characterized as the view of Nāgārjuna’s Madhyamaka, and in particular, his claim that for Nāgārjuna, an ultimate truth is an incoherent notion. In doing so, I make a case for an interpretation of Madhyamaka that is compatible with Yogācāra,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an interpretation offered by Mipam (1846-1912). Mipam’s presentation bridges Madhyamaka and Yogācāra by articulating an inconceivable unity of the two truths.
I will argue that an inconceivable ultimate is compatible with Yogācāra and Madhyamaka by drawing attention to Madhyamaka as a system of interpretation that acknowledges all truths as framework-dependent. That is, since all truths are relative to a particular framework in Madhyamaka, framework-dependent truths are always only conventional, or relative truths; there are no framework-independent truths. Yet the structure of the framework itself is “unframeable” (beyond the scope of thought and expression) because discrete truths are necessarily conceived within a particular framework. What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the framework (and cannot be completely enframed within it) is the ultimate truth.
Whereas emptiness is the principal metaphor for ultimate truth in Madhyamaka, the inexpressible (unenframed) ultimate is expressed in different ways in Yogācāra: in terms such as the “dependent nature” (paratantra) and the “basic consciousness” (ālayavijñāna). An inconceivable ultimate is certainly consistent with Yogācāra, but need not conflict with a Madhayamaka interpretation. This is because, while the ground of things is empty, it is also dependently arisen (and dependence is dependent, too, just as emptiness is empty).
目次1. Introduction 173
2. Conceivable and Inconceivable Ultimates 175
3. The Yogācāra of Madhyamaka 183
4. Conclusion 190
ISSN19752660 (P)
DOI10.29213/crbs..20.201612.171
ヒット数168
作成日2021.08.11
更新日期2021.08.1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107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