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쌍쓰끄리땀 교육을 위한 교재들의 쟁점과 모색=Critical Review of Sanskrit Course Books with an Eye to the Future of Sanskrit Education
著者 강성용 (著)=Kang, Sung-yong (au.)
掲載誌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 =仏教学レビュー
巻号v.25
出版年月日2019.04.30
ページ79 - 103
出版者金剛大學
出版サイト https://www.ggu.ac.kr/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소속
キーワード쌍쓰끄리땀 교육=Sanskrit education; 쌍쓰끄리땀 교재=Sanskrit course book; 쌍쓰끄리땀 문법책=Sanskrit grammar; 빠니니전통; 역사비교언어학; G. Bühler; W. D. Whitney
抄録한국 학계는 물론이고 세계 학계에서도 쌍쓰끄리땀 교육이 본격적으로 논의된 일은 거의 없었다. 급변하는 고등교육의 환경과 매체지형의 근본적인 변화를 피할 수 없는 현실 속에서 쌍쓰끄리땀 교육에 대한 고민이 구체적이고 본격적으로 다 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판단으로 본 논문은 몇 가지 논의점을 제기하고자 하며, 아울러 교습자와 학습자에게 활용가능한 다양한 교재들을 소개하고 서평 방식의 비평을 제공하고자 한다. 우선 일반적인 ‘문법책’으로 분류되는 출간물들 중에서도 교재로서의 본격적인 체제를 갖춘 것들만을 대상으로 삼아, 그들이 체제 구성에서 피할 수 없는 문법서술에서의 구조적인 결정의 문제를 드러내고 또한 역사적 맥락의 문제를 밝힌다. 앞의 문제는 문법서술의 틀을 정하는 일에서 빠니니전통과 역사비교언어학의 갈림길을 맞게 되는 문제인데, 어느 한 쪽을 따르던 초기 교재들의 맥락과 의미를 되짚어 본다. 특히 휱니(Whitney)의 문법책 출간을 계기로 영미학계의 빠니니전통에 대한 부정적인 기류의 맥락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유럽전통을 전제로 한 교육과 인도 전통방식의 교육 사이에서, 제 자리를 찾지 못한 한국의 현 상황과 번역물로 채워져 있는 한국어 교재들의 현실을 살펴본다. 이에 보태어 한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영어권 교재들을 개별적으로 다루어 서평을 제시하고, 한국인 학습자의 교육이라는 맥락에서의 활용 가능성과 각 교재의 장단점들을 비판적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이제 단순한 음성파일 제공을 넘어서는 방식의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세계 학계의 흐름을 언급하고, 한국 학계에서 쌍쓰끄리땀 교육의 문제를 한국의 교육환경이라는 맥락 안에서 논의하고 나름의 해답을 찾아갈 필요가 있음을 제기한다.

The Sanskrit education has seldom been the main source of interest in the circle of professional Sanskritists worldwide, inculding Korea. However, confronting the drastic change of social settings around higher education
makes more serious consideration and discussion of Sanskrit education timely. This paper, concentrating exclusively on Sanskrit course books, points out some structural problems that are hardly avoidable for any Sanskrit course book. And a short genealogy of Sanskrit grammar books is introduced and contextualized, in order to reveal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widely used Sanskrit course books, and their specific features that deal with structural and practical problems of didactic presentations of the language. On the course, the meaning and stance of W. D. Whitneyʼs grammar book, used in western academia, is clarified and discussed to contextualize the Sanskrit Primer of Perry, which is an English translation of Bühlerʼs Leitfaden, but declared a separate publication based on Perryʼs subjective estimation. This marks a paradigm shift in the preparation of a course book that, at least nominally, departs from the Pāṇinian tradition.
Nowadays, textbooks show various attempts to find the optimal educational focus, while respecting and adopting advantageous aspects of the Indian traditions. So far, Korean textbooks (worth mentioning) have not yet developed, and so English publications are widely used in college level Sanskrit courses in Korea. Critical reviews of some frequently used English textbooks are included and mention is made of the practical applicability for Korean students of those individual materials. The latest trend of textbooks that reflect the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is introduced and the need for an open attitude to cope with this trend is raised.
目次I. 들어가는 말 80
II.1. 문법서술의 틀 문제 81
II.2. 목적과 맥락의 두 양 극단 84
III. 교재의 계보 86
VI. 한국어 교재들 89
VII.1. 영어 교재들의 큰 맥락 92
VII.2. 주요 영어 교재들 93
VIII. 매체환경의 변화와 쌍쓰끄리땀 교육의 미래 96

ISSN19752660 (P)
DOI10.29213/crbs..25.201904.79
ヒット数103
作成日2021.08.13
更新日期2021.08.1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118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