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실상산문 홍척의 ‘조범모성(早凡暮聖)’에 대한 고찰 -- 『대승개심현성돈오진종론』(大乘開心顯性頓悟眞宗論)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Sudden transcend Worlding and Noble Ones (朝凡暮聖)’ of Hongcheck’s Silsang Seon School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Dacheng-kaixin-xianxing-dunwu-zhenzonglun (大乘開心顯性頓悟眞宗論)
著者 오용석 (著)=Oh, Yong-Suk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99 n.0
出版年月日2021.08.31
ページ35 - 62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
キーワード홍척=Hongcheock=洪陟; 실상산문=Silsang Seon School; 조범모성=朝凡暮聖=jo-beom-mo-seong; 『대승개심현성돈오진종론』=大乘開心顯性頓悟眞宗論=Dacheng-kaixin-xianxing-dunwu-zhenzonglun; 돈오=sudden enlightenment; 구산선문=Nine Mountains School of Seon; 서당 지장=Xitang-zhizang=西堂智藏
抄録본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홍척과 관련된 자료 및 당시 신라하대의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홍척의 선사상을 파악해보았다. 우선 홍척의 선사상에 접근하기 위해 기존의 실상산문과 관련된 선행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여 홍척의 선사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몇 가지 단서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홍척의 스승에 해당하는 서당 지장의 선에 나타난 특징과 홍척의 선사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봉암사(鳳巖寺) 지증대사적조탑비(智證大師寂照塔碑)의 ‘조범모성(早凡暮聖)’이라는 개념에 주목하여 홍척의 선사상에 나타난 절충적 선관을 논술하였다. ‘조범모성’ 즉 ‘아침의 범부가 저녁의 성인이 된다’는 말을 단순하게 무수무증의 돈법으로 이해할 수 있는가를 본 논문의 문제의식으로 삼았다. 왜냐하면 돈오란 아침의 범부에서 저녁의 성인이라는 시간적 매개가 적용되지 않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홍척의 ‘조범모성’이 가진 함의를 중심으로 그것의 출처를 『대승개심현성돈오진종론』(大乘開心顯性頓悟眞宗論)으로 보고 이 어록에 나타난 사상을 중심으로 조범모성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해 보았다. 『진종론』에 등장하는 조범모성은 단순히 아침의 범부가 저녁에 성인이 된다는 의미로 보기 어렵다. 여기서 아침과 저녁은 미혹와 깨침을 상징하는 수사(修辭)이지 시간적 배열 혹은 점차적 시간을 의미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범모성을 아침의 범부가 저녁에 성인이 된다는 의미보다는 몰록 범부와 성인을 초월한다는 의미 즉 미혹하면 범부요, 깨달으면 성인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홍척의 선법이 마조계의 서당 지장을 계승한 점에 방점을 둔 것이 아닌 홍척이 처한 역사적 현실을 반영한 절충적 선관을 드러내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Seon thought of Hongcheok (洪陟) is identified focusing on the existing sources related to him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later Silla period. First of all, in order to approach the Seon thought of Hongcheok,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existing Silsang Seon School are dentified and several clues necessary to understand Hongcheok’s philosophy are obtained.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of Xitang-zhizang (西堂智藏), the master of Hongcheok and his philosophy are examined. In particular, Hongcheok’s eclectic view is discussed regarding the concept of jo-beom-mo-seong (朝凡暮聖) as it appears on the epitaph for Seon Master Jijeung (智證大師碑文) at Bongamsa (鳳巖寺).
This study aims to solve the issue regarding whether or not jo-beom-mo- seong should be interpreted as ‘an ordinary person in the morning can be a saint in by the evening.’ This is debatable because sudden enlightenment is a concept that does not apply to a temporal medium in the same way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being ordinary in the morning and being saintly in the evening does. In this thesis the meaning of jo-beom-mo-seong is reemphasized based on Hongcheok’s definition as found in Dacheng-kaixin-xianxing-dunwu-zhenzonglun (大乘開心顯性頓悟眞宗論).
It has been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jo-beom-mo-seong as ‘an ordinary person in the morning can be a saint in by the evening.’ Here, morning and evening symbolize delusion and enlightenment, not a temporal arrangement.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eon thought of Hongcheok did not focus on the fact that he succeeded Xitang-zhizang of the Ma-zu (馬祖) lineage. It reveals that he had an eclectic view of Seon that reflected the historical reality of that time.
目次Ⅰ. 들어가는 말 37
Ⅱ. 실상산문과 관련된 선행 연구의 흐름 38
Ⅲ. 홍척의 조범모성(朝凡暮聖)의 선 43
1. 서당 지장의 선사상에 나타난 특징 43
2. 조범모성과 『대승개심현성돈오진종론』(大乘開心顯性頓悟眞宗論) 47
Ⅳ. 나가는 말 55
ISSN12250945 (P)
DOIhttp://dx.doi.org/10.22255/JKABS.99.2
ヒット数142
作成日2021.09.08
更新日期2021.09.0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2825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