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Ālambanaparīkṣā 제1송 해석의 문제=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n the 1st verse of Ālambanaparīkṣā
著者 김성옥 (著)=Kim, Seong-ock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88 n.0
出版年月日2018.11.30
ページ153 - 178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조교수
注記
キーワード알람바나빠릭샤=Ālambanaparīkṣā; 현장=Xuanzang; 진제=Paramārtha; 호법=Dharmapāla; 의정=Yijing; 조복천=Vinītadeva
抄録진나(陳那, Dignāga)가 저술한 알람바나빠릭샤(Ālambanaparīkṣā)의 번역으로는 현장의 『관소연론』과 진제의 『무상사진론』이 전한다. 논서의 제명이 사뭇 다르다는 점과 함께, 양자의 번역은 제1송의 도입부에서 상당히 문제적인 차이점을 보여준다. “안[식] 등의 식은 외부대상을 소연으로 한다”는 외경실재론자의 주장을 제시함에 있어서, 현장은 5식으로 설명하는 반면에, 진제는 6식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진제는 의식을 포함한 6가지 인식대상 모두를 논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현장은 5식의 인식대상을 논박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본 것이다.
호법(護法)의 주석인 의정역 『관소연론석』과 조복천역 『관소연론석소(ĀPṬ)』를 살펴보면, 의정은 ‘안[식] 등’에 대하여 ‘오식신을 포함한다’고 해석한 반면에, 조복천은 ‘눈과 귀를 비롯하여 마음[意]까지를 포함한다’고 해석한다. 5식으로 설명하는 ‘현장-의정’의 계열과 6식으로 설명하는 ‘진제-조복천’의 계열이 서로 구분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자의 해석에서 의식의 문제가 완전히 배제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의정역 『관소연론석』에서 의식을 포함하여 6식을 언급하지 않은 것은 다만 의식이 전5식의 경우처럼 ‘한결같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된다. 즉 의식은 세속유와 승의유 모두를 반연하는 까닭이다. 따라서 ‘수고로이 의식을 다루지 않았다’는 것은 일부의 의식이 포함되지만, 이를 논변하는 것이 번거로워 다루지 않았다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호법의 주석을 통해 제1송에서 제시되는 인식의 두 가지 조건, 이 문제에 대한 진나의 입장은 경량부가 제시한 두 가지 조건을 논박하고자 했던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대상은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진나의 의도는 그들이 제시하는 두 가지 조건이 잘못된 견해의 원인임을 지적하기 위하여, 그들의 논리를 차용하고 있는 것이다. 오히려 그들이 제시한 두 가지 조건에 부합하는 것은 인식 내부에 있는 것, 이른바 소연(所緣)임을 논증하고자 하는 것에서 진나가 본래 지닌 유식학적 면모를 읽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인식의 두 가지 조건을 수용하는 듯한 그의 태도는 경량부를 논박하기 위해 그들의 논리를 차용했던 것임을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The Ālambanaparīkṣā, written by Dignāga, was translated into the Chinese works of the Guan suoyuan lun (觀所緣論) by Xuanzang and the Wuxiang sichen lun (無相思塵論) by Paramārtha. With the difference of the titles, the translations of the two shows a considerable problematic difference at the beginning part about the first verse. In suggesting the claims of outside-realist that "the ālambana of cognition (e.g., a visual) is an external object", Xuanzang described the five types of consciousness, while Paramārtha described the six types of consciousness. This difference is due to Paramārtha’s assumption that it is necessary to dispute all the six objects of cognition including mental consciousness, while Xuanzang assumed it enough to dispute the five objects of cognition.
When we look at the translations of the commentary by Dharmapāla, while Yijing interpreted that it includes the fivefold assembly of consciousness in the Guan suoyuan lunshi (觀所緣論釋), Vinītadeva interpreted that it subsumes the mind (意), including eyes and ears and so on, in the Ālambanaparīkṣāṭīkā. There is some difference in interpretations between the line of ‘Xuanzang-Yijing’ explaining with the five kinds of consciousness and the line of ‘Paramārtha-Vinītadeva’ explainig with the six kinds of consciousness.
Nevertheless, we can notice that the problem of the mind consciousness is not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former. The reason for omitting the mind consciousness was that it is not ‘consistent like one [一向]’ such as the previous five kinds of consciousness (前五識). For the mental consciousness perceived both the ultimate existence and conventional existence.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commentary that “the mental consciousness is not treated with a trouble”, should be interpreted to involve a kind of mental consciousness naturally, but it was too burdensome to discuss.
And we can find that the position of Dignāga about the two conditions of cognition in the first verse has the purpose to refute the two conditions suggested by the Sautrāntika. The external object are not able to meet both conditions of cognition. Dignāga's intention only borrows their logic to point out that the two conditions are the cause of the wrong view. Rather than the two conditions correspond with the inside part of cognition, that is to say the grasped part, namely ālambana (所緣), Dignāga's original intention as a Yogācāra philosopher can be noticed from the point of refuting the two conditions. Therefore,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his motive, which seems to accept the two conditions of cognition, was to borrow the logic intentionally in order to dispute the Sautrāntika.
目次Ⅰ. 서론 155
Ⅱ. 현장과 진제의 차이 156
Ⅲ. 의정과 조복천의 해석 160
Ⅳ. 인식의 두 가지 조건 166
Ⅴ. 결론 174
ISSN12250945 (P)
DOIhttp://dx.doi.org/10.22255/JKABS.88.6
ヒット数49
作成日2021.09.12
更新日期2021.09.1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3035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