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동아시아 불교사상사 연구의 한 반성 -- 개념의 이미지와 역사적 현실 사이의 간극 =Reflexion on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s in East Asia -- a gap between the image of the idea and the historical reality
著者 석길암 (著)=Seok, Gil-am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87 n.0
出版年月日2018.08.31
ページ53 - 79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경주갬퍼스 불교학부 조교수
キーワード동아시아 불교=East Asian Buddhism; 사상사=History of Thoughts; 효=Filial Duty; 유교=Confucianism; 불성=Buddha Nature; 여래장=Tathagatagarbha; 평등=Equality
抄録본 논문은 동아시아 불교사상사 연구에 있어서, 기존의 연구 성과가 사상사와 현실 사이의 관계를 충분히 해명해주고 있는가 하는 점을 검토한 것이다. 불교사상사 연구에서 특정된 시점을 대표하는 개념 혹은 특정된 개념이 보여주는 특정된 시대의 이미지는 반드시 역사적 현실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사례 두 가지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첫째는 중국불교에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강조했던 불교의 효 개념이 가지는 이미지이다. 일반적으로는 중국불교의 효 개념은 중국 전통의 유교적 효 개념에 부합하는 것으로서 상정되고 서술된다. 중국 전통의 효 개념은 통치이념과 사회질서의 기반으로서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불교의 중국화 과정에서 부각된 불교의 효 개념 역시, 중국 전통의 효 개념과는 다른 보편적이고 개인적 윤리가치로서의 효 개념으로서 수용된 것임을 지적하였다.
둘째는 남북조 시대의 대표적인 불교사상으로 주목되는 불성ㆍ여래장 사상이, 그 사상이 본래 의도하고 있는 평등의 정신으로서 동시대에 대중적으로도 받아들여지고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하지만 불성ㆍ여래장 사상이 평등의 정신으로서 대중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한 것은 남북조의 마지막 무렵이며, 사회적으로 확산되는 것은 7세기 말 무렵임을 지적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사상사 연구의 성과로서 서술되는 사상사의 주요 개념이 가지는 이미지와 역사적 현실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사상사적 이미지가 동시대의 역사적 현실과 반드시 부합되는 것도 아님을 유의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그리고 그런 측면을 고려하여, 사상사 연구와 서술의 많은 부분들이 재검토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In this paper, I clarified how thoroughly existing research of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s in East Asia have explicated their relation with the historical reality. Studying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s, we cannot always find the representative ideas or the period images represented by the idea out of the specific time coincident with the historical reality. I focused my examination on two examples in this paper.
The first example is the image of Buddhist ‘filial duty’ emphasized in many different ways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The idea of Buddhist filial duty is generally thought and described to be coincident with the Chinese traditional idea of filial duty. However, we feel the image of the Chinese idea is the base for ruling idea and social order. So, I pointed out that the idea of Buddhist filial duty, different from the Chinese traditional, was accepted as the ethical, universal, and individual idea.
For the second illustration, I examined if the idea of Buddha Nature and Tathāgatagarbha, or representative thoughts in the Period of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were accepted as their original idea of equality in those days. Unfortunately, it was the late time of the Period of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at these thoughts began to be understood as their original ideas of equality, and it must be the late 7th century to find them spread to the whole society of China.
In conclusion, I explicated that the images of major ideas and the historical images of the ideas described by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thoughts do not always coincide with the historical reality, and thus, that many things about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oughts and the descriptions through the research need to be re-examined.
目次Ⅰ. 서론 55
Ⅱ. 불교의 중국 토착화 과정에서 ‘효(孝)’개념의 역할에 대한 평가 58
Ⅲ. ‘일체중생실유불성(⼀切衆⽣悉有佛性)’의 의미에 대한 대중적 인식 66
Ⅳ. 결론 73
ISSN12250945 (P)
DOI10.22255/JKABS.87.3
ヒット数124
作成日2021.09.12
更新日期2021.09.1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304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