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IoT 시스템 인과율에 대한 불교논리학적 해석=The Interpretation on the Causality of IoT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Logic
著者 박기열 (著)=Park, Ki-Yeal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84 n.0
出版年月日2017.12
ページ71 - 99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キーワード사물인터넷=IoT; 식별자=Identifer; 상호인과율=Inter-causality; 변충=Concomitance; 연기=Dependent origination
抄録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에 따르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를 기반으로 다양한 물리적(physical) 및 가상(virtual)의 사물들을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글로벌 서비스 인프라”라고 정의된다. 사물들 사이에 네트워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각 사물마다 식별자를 가져야 하는 동시에, 자신의 정보를 최신의 것으로 유지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갖추어야 한다. IoT에서의 네트워크(network)란 IoT 사물(A)과 IoT 사물(B)이 상호간에 인지하는 작용이다. 따라서 네트워크상에서는 IoT 사물은 식별자들 사이의 인지를 의미한다. 이것은 IoT란 식별자들 사이에서는 끊임없이 ‘원인⇔결과’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은 IoT 사물을 찰나적 존재로 규정하는 것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즉 찰나적 존재가 식별자에 의해서 동일한 흐름을 유지하는 것이 IoT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고는 이상과 같은 논지로 IoT에서의 식별자의 기능을 중심으로 IoT에 관한 일반적 이해를 도모한다. 나아가 IoT의 상호인과율과 불교의 연기(緣起)를 후기 유가행유식학파의 논리학(=위자비량)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불교의 근본교리인 연기법이 IoT 시스템에 여실히 적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According to TTA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IoT (Internet of Things) is defined as the infrastructure of the global service to offer the advanced service through connecting mutually diversified things that are not only physical but also virtual things. For networking among things, each thing has its own identifier and has a device to maintain its own latest information as well. The network of IoT means the activity between a thing(a) and a thing(b) of IoT for recognizing each other. In that activity, things of IoT can be expressed as nothing but their identifiers in the network. Thus, IoT is the incessant interaction among IoT things as ‘cause ⇔ its effect(=result).’ The interaction, however, is possible only in that things are assumed as momentary beings.
This paper,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part, aims at understanding the general conceptions of IoT revolving around the functions of the identifier. In the second part, the reinterpretation of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ogic of the Yogācāra School is made as an attempt to show that the interaction of IoT is not different from the interaction of dependent origination in Buddhism. The conclusion in this paper is that the rule of dependent origination might be clearly applied to the principle (=inter-causality) of IoT system.
目次Ⅰ. 서론 73
Ⅱ. 사물인터넷(IoT)의 이해 74
1. IoT 사물(things)의 본질적 특징 74
2. IoT 플랫폼(platform)과 사용자 78
3. IoT 사물의 식별자(identifier) 80
Ⅲ. 사물인터넷(IoT)과 상호인과율 84
Ⅳ. 사물인터넷(IoT)의 연기의 논리 89
Ⅴ. 결론 94
ISSN12250945 (P)
ヒット数46
作成日2021.09.21
更新日期2021.09.2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3765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