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玄奘 譯 『반야심경』의 성행 내력=The History of the Popularity of Xuanzang’s Translation of the Prajñāpāramitāhṛdaya Sūtra
著者 최기표 (著)=Choe, Gi-pyo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81 n.0
出版年月日2017.02
ページ131 - 159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금강대학교 불교문화학부 교수
キーワード현장=Xuanzang; 반야심경=Prajñāpāramitāhṛdayasūtra; 唐梵飜對字音般若波羅蜜多心經=TangFan fandui ziyin Banruo boluomiduo xinjing; 관세음보살=Avalokiteśvara; 서유기=Xiyouji 131
抄録서분과 유통분이 생략된 小本 반야심경의 한역본은 구마라집의 것과 현장의 것 두 가지가 전해지고 있다. 두 사람의 번역본이 모두 존재할 경우 보통 구마라집의 한역이 읽히는 데 비해 반야심경만은 오로지 현장의 한역본이 독송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반야심경』은 널리 알려진 ‘觀世音菩薩’이라는 번역어 대신 ‘觀自在菩薩’로 시작한다. 이는 한국은 물론 중국, 일본, 대만 등 한문경전을 사용하는 국가의 공통적인 현상이다.
이러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단서로서 현장의 제자인 窺基 등의 기록이있다. 기록에 따르면 현장이 인도로 떠날 때 중국 국경을 벗어나기 전 병든승려로 화현한 관세음보살이 범어 반야심경을 구술해 주었고 현장은 구법여행 도중 난관을 만날 때마다 이 경전을 암송하여 위험을 벗어날 수 있었다는것이다.
이러한 사연이 대중들에게 알려진 뒤 이 짧은 『반야심경』은 널리 애송되었다. 현장의 인도 구법여행을 소재로 삼은 『西遊記』에서도 현장은 중국 변방에서 ‘반야심경’을 전수 받았고 이 경전의 가피로 온갖 재난을 벗어나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반야심경에 대한 주석서는 현장이 번역한 직후에 여러 가지가 찬술되었지만 구마라집의 번역본을 저본으로 한 것은 없다. 현장의 小本 번역 이후 大本 반야심경도 다수 번역되었으나 여전히 현장의 번역본을 저본으로 삼고 있다. 현장이 번역한 『반야심경』이 성행한 데에는 이 경전을 관음보살에게 구술 받았고 현장이 이 경전 구술의 영험으로 구법여행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는 신기한 사연이 결정적 원인이 되었다.

The short version of the Prajñāpāramitāhṛaya sutra can be found in two Chinese translations, by Kumārajīva and Xuanzang (玄奘). When a Buddhist text is translated into Chinese, it is usually the translation by Kumārajīva which is preferred. Perhaps the only exception is the Prajñāpāramitāhṛayasūtra, since it is exclusively Xuanzang's translation which is commonly used for chanting. For this reason the Prajñāpāramitāhṛayasūtra begins with the word GuanzizaiPusa (觀自在菩薩) instead of the more common GuanshiyinPusa (觀世音菩薩), both words being translations for Bodhisattva Avalokiteśvara. This is a common phenomenon in countries that use Buddhist scripture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namely: China, Korea, Japan, and Taiwan.
A clue which offers an explanation for this phenomenon can be found in a record by Xuanzang’s disciple Kuiji (窺基). According to Kuiji, when Xuanzang left for India, before crossing the border, the bodhisattva Avalokiteśvara manifested himself in the guise of a sick monk and orally transmitted the Prajñāpāramitāhṛaya sūtra in Sanskrit to him. During his journey for seeking the Dharma, whenever Xuanzang encountered difficulties, he was able to extricate himself from danger by reciting this sūtra. After this event became widely known by the public, the short version of the Prajñāpāramitāhṛaya sūtra in its Chinese translation by Xuanzang became widely chanted.
The Ming novel Xiyouji (西遊記 ; “Journey to the West”), which is based on Xuanzang’s journey to India seeking the Dharma, depicts Xuanzang as having undertaken his perilous journey for the sole purpose of seeking the Prajñāpāramitāhṛaya sūtra. All the commentaries written on the Prajñāpāramitāhṛayasūtrause Xuanzang’s translation as the base text.
目次Ⅰ. 문제의 제기 133
Ⅱ. 玄奘이 범어 반야심경을 전수한 사연 136
Ⅲ. 전수 사연의 타당성 검토 139
1. 慈恩和尙 서문의 신빙성 139
2. 범본 반야심경의 신빙성 143
3. 경전 전수 사연의 전파 146
Ⅳ. 주석서의 동향 149
Ⅴ. 결론 153
ISSN12250945 (P)
ヒット数60
作成日2021.10.02
更新日期2021.10.0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406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