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문학으로서 불교문학의 지형과 방법론=The Topography and Methodologies of the Studies of Buddhist Literature as Literature
著者 김종진 (著)=Kim, Jong-Jin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77 n.0
出版年月日2016.02
ページ21 - 49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조교수
キーワード불교문학=Buddhist literature; 비교문학=Comparative literature; 원전비평=Textual criticism; 연구사=History of research
抄録본고는 한국 불교문학 연구의 기원을 안확의 『조선문학사』(1922)에서 찾고, 이후 약 1백년 간 진행된 불교문학의 연구사를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가 원용하고 있는 방법론과 그 경향을 분석하는 한편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사는 시대와 장르를 중심으로 하여 1920년대~해방 이전, 해방 이후~1970년대, 1980년대~1990년대, 2000년대 이후로 구분지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문학연구가 연구자가 속해 있는 각 시기의 시대인식과 문학에 대한 기대 지평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각 시기 불교문학의 연구가 어떤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전개되어 왔는가를 검토하였다. 시대적 배경으로는 당시 한국문학에 대한 인식, 문학연구의 경향이 연구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의 불교문학연구가 방법론으로 일반 문학연구 방법론을 주도한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방법론적 고민이 개별 논문에 반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2000년 이후 다양화된 방법론적 고민을 검토하면서 장차 이 방면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방법론으로 원전비평적 연구, 비교문학적 연구, 심리학적 연구를 제언하였다. 현재 불교학 분야에서는 불교경전에 대한 문학성 탐구를 위주로 하고, 문학 연구 분야에서는 불교가 한국에 유입되면서 산출된 번역물, 창작물에 대한 구체적 연구를 위주로 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고, 양자의 통합적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공동의 관심사를 보여줄 수 있는 텍스트를 발굴하여 공동 강독, 번역, 연구를 진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methodologies us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ir trends. I then suggested future prospects. I wrote this paper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research into literature has evolved over time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Therefore I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ach period in which Buddhist literature developed. Through this I confirmed that Korean Buddhist literature did not influence the methodologies of general literature research, but that various methodological issues were reflected in individual research papers. Based on studies of methodologies conducted since 2000, I suggested textual criticism, comparative literature and the psychological approach as methodologies that may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research in this area. Today’s major trend in Buddhist studies is to inquire into the literary character of Buddhist scriptures.
Another trend is that this research is only on texts translated and created since Buddhism arrived in Korea. Therefore I suggest that to integrate these two trends we should find texts suitable to both these research trends and execute joint interpretation, translation, and analysis.
目次Ⅰ. 머리말 23
Ⅱ. 불교문학 연구의 지형 24
1. 20세기 전반 24
2. 1960~1970년대 27
3. 1980~1990년대 31
4. 2000년대 이후 34
Ⅲ. 방법론적 모색과 전망 38
Ⅳ. 맺음말 43
ISSN12250945 (P)
ヒット数85
作成日2021.10.09
更新日期2021.10.0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454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