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번뇌를 끊음이라는 번뇌를 끊음 없다는…… -- 의상화엄의 단혹설
著者 박보람 (著)=Park, Bo-ram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76 n.0
出版年月日2015.12
ページ255 - 279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강의초빙교수
キーワード斷惑=Severing of delusion; 華嚴=Huayan doctrine; 義湘=Ŭisang; 『一乘法界圖』=Seal-diagram symbolizing the dharma realm of the One vehicle; 舊來斷=Severing from time long past
抄録번뇌를 끊어 해탈을 이룬다는 불교 공통의 단혹설과 법계의 모든 법이 다예로부터 부처님이라는 의상화엄의 舊來成佛說은 모순되는 것처럼 보인다.
의상화엄은 이러한 상충을 의상 특유의 舊來斷說로 변용하여 불교 전통의 단혹설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있다.
그러나 의상화엄의 단혹설 자체도 ‘번뇌를 끊음’과 ‘번뇌가 본래 없음’ 등의 서로 모순되는 부분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연구들은 내용을 떠나 어느 쪽을 선택하든 한 쪽을 취하고 다른 한 쪽을 버린다는 점, 그리고 의상화엄의 단혹설을 고정된 자성을 지닌 어떤 것으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글은 이처럼 상반되기도 하는 각 부분들[別相]을 서로 연결했을 때 각구절을 원융하게 포섭하는 모습[總相]이 단혹설에 대한 의상의 본뜻이라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의상에게 단혹은 단편적으로 이것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해인삼매에 일시에 드러나 법계의 모든 법을 포섭하고 있는 법계의 법으로서, 중중무진하는 연기의 연쇄 속에서 파악될 때에만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글에서는 이러한 의미를 의상의 「법계도인」을 번뇌 버전으로 모방한 「一乘煩惱圖」를 그려 나타내 보였다.

It seems to be contradictory between the Buddhist theory on severing of delusion and the Ŭisang’s Hwaeom doctrine on achieving Buddhahood from time long past(舊來成佛), which means that all dharmas in the dharmadhatu are buddhas as they are. By his unique theory of severing of delusion from time long past(舊來斷), Ŭisang manages to reconcile this conflict and uphold the buddhist traditional theory on severing of delusion in his own way.
His theory on delusion, however, also includes inconsistent elements in itself, such as ‘severing of delusion’ or ‘no delusion by nature.’ Former researches on this are basically same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y take one position by rejecting the other one whatever they accept, which seems to be contradictory to Ŭisang’s intention when considering his theory on ‘non-abiding’(無住) and the Seal-diagram symbolizing the dharma realm (『一乘法界圖』) because they consider his theory on delusion as something with fixed nature.
This article explains that Ŭisang’s intention on severing of delusion maybe reside in the characterstic of the whole(總相) perfectly interfusing these inconsistent-looking elements(別相). Severing of delusion cannot be defined as something with fixed nature whatever it is but has meaning only when it is located in the limitless chain of dependent arising and recognized as a dharma including all dharmas of the dharmadhatu happened in the ocean seal samādhi(海印三昧) at a time. In this article, this explanation is illustrated by the Seal-diagram symbolizing delusion of the One vehicle(一乘煩惱圖) imitating Ŭisang’s the Seal-diagram symbolizing the dharma realm of the One vehicle(『一乘法界圖』).
目次Ⅰ. 위대한 유산 257
Ⅱ. 코끼리 만지기(二十八角五十六字) 259
1. 舊來成佛-舊來斷 259
Ⅲ. 코끼리 그리기(圖合詩一印) 272
Ⅳ. 이 코끼리(一乘煩惱) 275
ISSN12250945 (P)
ヒット数188
作成日2021.10.19
更新日期2021.10.1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526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