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후기 빠알리 내러티브에 나타난 종교적 의도와 함축적 의미 -- 테라와다 아비담마의 기원을 중심으로 =The Origin of Abhidhamma and its Hermeneutics in the Pāli Narratives
著者 김경래 (著)=Kim, Kyung-rae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73 n.0
出版年月日2015.02
ページ229 - 253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강사
キーワード내러티브=Narrative; 아비담마=Abhidhamma; 칠론=Seven Treatises; 주석서=Commetaries; 마하위하라=Mahāvihāra
抄録빠알리 주석전통에 따르면 아비담마 七論은 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후 4∼5주째에 확립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한역 문헌들은 물론 빠알리 문헌들 속에서 조차 붓다의 깨달음 이후 행적에 대한 서술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붓다의 깨달음 이후 행적’을 다루고 있는 대조적인 문헌들의 비교연구를 통해 아비담마의 기원 내러티브들에 투사된 테라와다 전통만의 독특한 세계관과 서술의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비교 검토한 텍스트는 다음과 같다: 화지부(Mahīśāsaka)의 『五分律(T.22, no.1421)』, 법장부(Dharmagupta)의 『四分律(T.22 no.1428)』, 테라와다의 위나야(Vinaya) 『마하왁가(Mahāvagga)』, 맛지마 니까야 주석서(Majjhimanikāya Aṭṭhakathā)인 『빠빤짜수다니(Papañcasūdanī)』, 그리고 아비담마 제 1 논서 담마상가니 주석서(Dhammasaṅgaṇi Aṭṭhakathā)인 『앗타살리니(Atthasālinī)』.
이들의 비교연구를 통해 (역사적 진위여부와는 별도로) 마하위하라 전통이 아비담마를 중심으로 붓다의 행적은 물론 깨달음에 대한 내용까지도 재구성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석전통의 내러티브 성립과정과 그것이 지닌 함축적 의미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CE 5세기 주석전통을 주도한 마하위하라 세력은 아비담마 – 그들이 전승한 일곱 권의 논서들 - 의 기원을 붓다의 깨달음 이후 행적에 편입시켰다. 그리고 다양한 내러티브를 추가하여 아비담마 칠론이 천상설법을 거쳐 사리뿟따에 이르렀으며, 그의 제자들을 통해 붓다시대부터 전승되어 마하위하라에 정착되었음을 주장했다. 이로써 마하위하라 세력은 붓다의 깨달음의 요체이자 최상승의 가르침인 아비담마 칠론의 유일한 전승자로서 여타의 다른 세력들과는 비교할 수 없는 종교적 정당성과 순수성을 확립하게 되었다.

The Buddhist narrative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Buddhist countries. They did and have praised the Buddha’s virtue and instructed the Buddhist doctrines with interesting and easily understandable stories and metaphors. The Buddha’s past under the Bodhi tree after his awakening is one of those very examples.
The narrative of the Buddha’s past, after his awakening, is quite complicated historically since various texts discuss different stories. Among them, the Pāli commentarial tradition presents it in a forty-nine day format, and describes the seven abhidhamma treatises as organised by the Buddha during the fourth and fifth weeks after his awakening. The origin of seven treatises, however, is not found in the narratives from the other Buddhist texts, even from the early Theravāda tex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āli commentarial hermeneutics, this article compares the narratives of the Buddha’s awakening from the other four different Buddhist texts, namely the three vinaya texts of Mahīśāsaka, Dharmagupta and Theravāda, and the Pāil commentaries.
From a comparative study of the narratives, the implications of the Pāli commentaries are revealed as follows. The elders of the Mahāvihāra fraternity included the origin of abhidhamma into the narrative of the Buddha’s awakening in order to establish their own authority. Such a narrative guarantees them religious authority and purity since, by implication, they are the only ones who preserved the insights of the Buddha’s awakening.

目次Ⅰ. 서론 231
Ⅱ. ‘초기’문헌들의 내러티브 232
1. 『오분율』: 42일간의 행적 232
2. 『사분율』: 42일간의 행적 234
3. 위나야 『마하왁가』: 28일간의 행적 235
4. 문헌들 간의 차이점 237
Ⅲ. 주석서(Pāli-aṭṭhakathā)의 내러티브: 아비담마의 탄생 240
Ⅳ. 아비담마의 기원과 마하위하라(Mahāvihāra) 244
Ⅴ. 결론 249
ISSN12250945 (P)
ヒット数82
作成日2021.10.19
更新日期2021.10.1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533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