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한국불교학 40년, 중관학의 연구성과와 과제=The Research Products and Subjects of Madhyamaka Studies of Korean Buddhist Academic World
著者 남수영 (著)=Nam, Soo-young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68 n.0
出版年月日2013.12
ページ89 - 134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서울) 불교대학 강사
注記
キーワード한국불교학계=Korean Buddhist Academic World; 중관학의 연구성과=Research products of Madhyamaka Studies; 중관학의 연구과제=Research subjects of Madhyamaka Studies; 전통적인 연구분야의 계승=Succession of traditional research field; 새로운 연구분야의 개척=development of new research field; 초기중관학=Studies on the former Madhyamaka; 중기중관학=Studies on the middle Madhyamaka; 후기중관학=studies on the latter Madhyamaka; 문헌학적 연구=Philological research; 철학적 연구=Philosophical research; 해석학적 연구=Hermeneutical research; 비교사상적 연구=Thought comparative research; 세계불교학계의 인도불교 연구경향=Research tendencies on Indian Buddhism of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ic World
抄録본 논문은 한국불교학회 창립 이후 40년간 한국불교학계의 중관학 연구성과와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지만, 전체적인 연구성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시대 상한선을 조금 올려서 1950년부터 1980년까지와 1981년부터 2012년까지의 두 단계로 나누어 연구성과를 파악하고, 그것을 토대로 하여 앞으로의 중관학 연구과제를 고찰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50년부터 1980년까지 중관학에 대한 주요 연구성과는 김동화와 김잉석에 의한 중관학의 연구범위 형성, 정태혁에 의한 범어 『프라산나파다』 제24장 우리말 역주, 그리고 황산덕에 의한 한문 『중론』의 게송부분 우리말 번역이다. 1981년부터 1990년까지의 주요 연구자인 김인덕과 김하우는 삼론학과 중관학의 연구를 통하여 김동화와 김잉석의 연구를 계승하고, 후학들에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1991부터 2012까지는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다양한 연구성과가 발표되었으며, 그 시기 여러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경향은 전통적인 연구분야의 계승과 새로운 연구분야의 개척이라고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2012년까지의 원전번역성과를 보면 1) 용수의 저술에 대한 번역이 압도적으로 많고, 2) 개인적으로 번역한 것보다 정책적으로 번역된 것이 많으며, 3) 한문 번역이 범어나 티벳어 번역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관학의 연구는 시대적으로는 초기, 중기, 후기중관학의 연구로 구분할 수 있고, 내용적으로는 문헌학적, 철학적, 해석학적, 비교사상적 연구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런 구분에 따르면 한국불교학계의 중관학 연구는 내용적으로는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고 해도, 시대적으로는 초기중관학에 치중되어 있어서 균형 잡힌 연구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원전번역성과를 보아도 몇 권의 번역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용수의 저술에 대한 번역이어서 역시 불균형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한국불교학계의 중관학 연구는 초기중관학 만이 아니라, 중기 및 후기중관학에 대한 연구와 번역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카츠라 소류의 연구에 따르면 오늘날 세계불교학계의 인도불교 연구경향은 1) 티벳불전의 폭넓은 참조, 2) 불교연구의 국제화, 3) 불교연구방법론의 다양화, 4) 사본연구의 대중화, 5) 불교문헌의 전산화라고 한다. 그러므로 한국불교학계의 중관학 연구도 세계불교학계의 연구경향에 발맞추어, 1) 중기 및 후기중관학 관련 원전들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의 강화와 우리말 번역, 2) 한문 및 범어불전과 함께 티벳불전을 통한 중관학 연구, 3) 국제적인 교류, 그리고 4) 그에 대한 전산화 작업 등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그런 작업을 위해서는 정부, 대학교, 연구소, 학회 등 여러 기관의 폭넓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국불교학계의 중관학 연구의 양적 질적 성장을 위해서는 연구자 개인의 노력과 함께 정부와 대학교 등 여러 기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examining the research products and subjects of Madhyamaka Studies of the Korean Buddhist Academic World, during 40years after foundation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Present writer examined the research products of Madhyamaka Studies centered on period and person, raising up the upper limit of period to 1950, dividing the period into 1950∼1980 and 1981∼2012, to help reader's general understaning, and examined the research subjects of Mdhyamaka Studies based on that. So present writer knew the facts as follows.
The important research products of Madhyamaka Studies from 1950 to 1980 are the formation of research scope by Dongwha Kim(김동화) and Ingsuk Kim(김잉석), the translation of 24th chapter of Mūlamadhyamaka-kārikā(󰡔근본중송󰡕) from Sanskrit to Korean by Taehyuk Jung(정태혁), and the translation of whole verses of Chung-Lun from Chinese to Korean by Sanduk Hwang(황산덕). Induk Kim(김인덕) and Hau Kim(김하우), the important scholars from 1980 to 1991, succeed the researches of Dongwha Kim and Ingsuk Kim, and propagate it to younger scholars. The research products from 1991 to 2012 show that the various research papers and works published in various research fields, and the research tendencies of that time are a succession of traditional research field and a development of new research field. The translations of texts from 1981 to 2012 show that 1) the greater part of the translations are being on Nāgārjuna's works, 2) the translations for reasons of policy are much more than the translations for reasons of individual, and 3) the translations on Chinese works are much more than Sanskrit or Tibetan works.
But the Madhyamaka Studies are divided historically into the former, middle, latter Madhyamaka Studies, and divided theoretically into the philological, philosophical, hermeneutical, thought comparative studies. So, following that division, the research products of Madhyamaka Studies of the Korean Buddhist Academic World show that the balanced researches are required historically, even though theoretically in balanced status, for most of the research products are concentrated on former Madhyamaka, and the translation products also show that the balanced translations are required for most of the translations are concentrated on Nagarjuna's works. These show that the researches and translations of the middle and latter Madhyamaka are needed along with of the former Madhyamaka.
Following Katsura Shoryu(桂 紹隆)'s article, the research ten
目次I. 서론 92
II. 한국불교학계의 중관학 연구성과 93
1. 1950년부터 1980년까지의 연구성과 93
2. 1981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구성과 97
III. 해외의 연구동향 및 앞으로의 연구과제 125
IV. 결론 127
ISSN12250945 (P)
ヒット数57
作成日2021.11.03
更新日期2021.11.0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686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