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붓다고사의 행적에 대한 연대기의 서술과 의도 -- Mahāvaṃsa 37장 215-246송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life of Buddhaghosa Described in the Mahāvaṃsa
著者 김경래 (著)=Kim, Kyung-rae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63 n.0
出版年月日2012.08.31
ページ415 - 441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 박사
キーワード붓다고사=Buddhaghosa; 아비담마=Abhidhamma; 주석서=Aṭṭhakathā; 마하왕사=Mahāvaṃsa; 마하위하라=Mahāvihāra
抄録붓다고사(Buddhaghosa)는 테라와다 전통의 정체성을 확립한 최고의 주석가로 평가 받는다. 그의 저서 『위숫디막가(Visuddhimagga, 淸淨道論)』는 佛法의 정법여부를 판단하는 잣대로서 현재까지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는다. 또한 그가 재구성한 빠알리 주석서(Pāli-aṭṭhakathā)는 붓다의 가르침을 이해하기 위한 해설서로서 三藏과 함께 빠알리 문헌의 순수성을 상징한다.
빠알리 문헌들 중 붓다고사의 일생을 엿볼 수 있는 문헌들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그 중에서 논자가 선택한 주 텍스트는 마하위하라의 관점에서 저술된 연대기 『마하왕사(Mahāvaṃsa, 37.215-246)』로서, 여기에는 마하위하라가 추구하던 위대한 주석가의 모
습이 가장 분명히 드러나 있다.
연대기를 중심으로 관련 빠알리 문헌들(삼장주석 序文, 『위숫디막가』, 『붓다고사우빳띠』 등)을 검토한 결과 확인할 수 있었던 점들은 다음과 같다: ①그가 Veda와 빠딴잘리, 상키야-요가 등 브라만 전통을 학적토양으로 삼고 있었다는 점, ②빠니니 문법을 중심으로 한 산스끄리뜨에 능통했다는 점, ③마하위하라의 관점을 답습하며 빠알리 체계를 고수했다는 점, ④빠알리 문헌에 언급된 붓다고사는 동명이인으로서 다수의 저자가 그의 이름을 차용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 등. 이상의 특징들은 붓다고사가 마하위하라가 요구한 상징적 인물로서 삼장해석의 주체가 아닌 ‘도구’에 불과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ravāda tradition were established by Buddhaghosa in the 5th century CE. His literary output also developed Pāli language and literature.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f his life.
Buddhaghosa’s life is described in texts such as the Mahāvaṃsa, Sāsanavaṃsa, and Buddhaghosuppatti. However, only the Mahāvaṃsa is worth critical examination because the Mahāvaṃsa is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some of which were transmitted in Sri Lanka during the 13th Century CE.
According to the Mahāvaṃsa chapter 37, verses 215 to 246, Buddhaghosa was a member of the Brahman caste in the Magadha area. He was impressed with Abhidhamma and decided to become a disciple of the Buddha in order to study and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bhidhamma. Having better assimilated it, he wrote Abhidhamma works like Atthasālinī. Later he traveled to Sri Lanka and compiled the Commentaries(Pāli-aṭṭhakathā) under the influence
of Mahāvihāra elders.
It is interesting that the description of Buddhaghosa in the Mahāvaṃsa supports the authority of the Mahāvihāra fraternity. Magadha, his birthplace, is the fountainhead of the Mahāvihāra's religious purity. The Abhidhamma, which
converted him Buddhism, represents the exclusive doctrine of the Mahāvihāra fraternity. His work, Atthasālinī, in particular secured the authoritative transmission of them.
We also must investigate why he has been described only in Pāli literature(Mahāvihāra's literature), and if or why his doctrinal perspectives may be inconsistent between his considerable works. Might it be because numerous other monks who wrote assumed his name to add credence to their own written opinions? These clues suggest that the name of Buddhaghosa was a commentarial tool for satisfying Mahāvihāra's religious needs.
目次I. 서론 418
II. 브라만 전통의 영향 419
III. 불교로의 전향과 아비담마 422
IV. 싱할리 주석서(Sīhalī-aṭṭhakathā) 계승 426
V. 스리랑카에서의 활동 431
VI. 주석제작 이후의 행적 436
VII. 결론 438
ISSN12250945 (P)
ヒット数80
作成日2021.11.15
更新日期2021.11.1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7518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