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律藏에 있어서 袈裟의 변천과 의미=Transformation and Significance of Kaṣāya in Vinaya Piṭaka
著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60 n.0
出版年月日2011.08.31
ページ165 - 200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조계종 교수 아사리
キーワード袈裟=kaṣāya; 律藏=Vinaya Piṭaka; 割截衣=ragged clothes; 糞掃衣=excreted clothes=pāṃsu-kūla; 壞色; 통천; 3衣=3 clothes; 5衣=5 clothes; 染色=dyeing; 僧祇支=saṃkakṣikā; 厥修羅=kusūla; magnolia color; wholly un-seamed clothes
抄録가사와 관련해서 불교는 糞掃衣·壞色·3衣·割截衣 등의 개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은 분명 서로 다른 층차와 차이점들을 내포하고 있는 부분들이었다. 가사에 내포된 다양한 의미들은 가사의 발전과 전개과정에서 수용된 개념들이 한데 혼재된 상태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이러한 개념들의 성립층차와 來源을 고찰하여 일목요연한 정리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붓다의 가사수용에서부터 불교복제의 완성에 이르는 全 단계를, 律藏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분소의의 수용 → ②통천의 허용 → ③3衣의 성립 → ④할절의의 완성 → ⑤5衣의 성립 → ⑥가사색의 다양화와 종교복제의 제도화.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분소의는 불교에서도 4依에서와 같이 수행자의 표상으로 인식되기는 하였지만, 그것이 폭넓은 지지를 받은 것은 아니라는 점에 대해 인식해 보게 된다. 이는 당시의 도시문화적인 시대의 변화요구를, 붓다의 중도주의라는 사유의 유연한 입각점이 수용한 결과이다.
분소의의 변화적인 요청은 결국 통천의 수용을 거쳐, 할절의라는 불교복식의 형식적인 완성을 초래하는 動因이 된다. 물론 여기에는 불교교단의 안정과 체계화에 따른, 다른 교단과의 차별성 부여 역시 내부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였다고 하겠다. 그리고 이러한 할절의의 정립직전에 3衣라는 복제분화가 성립하여, 결국 ‘할절의의 3衣’라는 불교의 복제규정은 완성을 이루게 된다. 물론 이의 전후로 띠와 끈, 고리 등의 부가 조항과, 붓다 만년에 출가하게 되는 여성들의 신체적인 특징을 고려한 2衣의 추가 등이 있지만, 이는 모두 할절의의 3衣를 보완하는 측면이라고 하겠다. 그리고 할절의의 3衣를 바탕으로 해서 부파불교에 오게 되면, 색에 의한 표상을 통해 각 부파적인 차별성을 강조하게 된다.

In relation with kaṣāya, Buddhism has a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excreted clothes, magnolia color, 3 clothes and ragged clothes. These were apparently different in their concepts. Such diverse meanings in kaṣāya have been incorporated during its development process and passed down in confusion. 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a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fundamental difference of these concepts and their origins for the clear arrangement.
According to Vinaya Piṭaka, the whole process of Buddha's acceptance of kaṣāy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①Acceptance of excreted clothes→②Allowance of wholly un-seamed clothes→③Establishment of 3 clothes→④Completion of ragged clothes→⑤Establishment of 5 clothes→⑥Diversification of kaṣāya color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religious clothes.
In this study, it turned out that the excreted clothes were recognized as the symbol of monk like 4 clothes in Buddhism, but did not received wide supports. It was because the flexible viewpoint based on Buddha's moderation had accepted the contemporary urban cultural request for the reformation.
The transformation request on the excreted clothes became a motive to accept the wholly un-seamed clothes and finally bring out the ragged clothes for the formal completion of Buddhist clothing. In here, of course, there was an internal cause to distinguish itself from other denominations in the course that Buddhism got stabilized and systemized. Right before the establishment of ragged clothes, 3clothes system was established in Buddhism. Thus, the Buddhist clothing system as '3 clothes of ragged clothes' was completed.
Before and after this, the items about belt, string and ring were regulated and 2 clothes were added in consideration of bodily characteristics of women who started to leave home at Buddha's old age. But, all these can be thought to be the complement for 3clothes of ragged clothes. Based on the 3 clothes of ragged clothes,the School Buddhism came to emphasize the differentiation of each school through the display of colors.

目次Ⅰ. 序論 166
Ⅱ. 불교가사의 시원 168
1. 佛傳의 가사 연원 168
2. 초기의 糞掃衣 170
3. 통천의 수용과 문제점 174
Ⅲ. 불교가사의 형성 181
1. 율장의 가사 연원 181
2. 三衣의 형성과 복제의 완성 184
Ⅳ. 結論 194
ISSN12250945 (P)
ヒット数72
作成日2021.11.16
更新日期2021.11.16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757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