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開善寺 智藏과 三論學의 성립=Zhì-zàng(智藏) of Kāi-shàn-sì(開善寺) and the Formation of Sān-lùn(三論) Tradition |
|
|
|
著者 |
김성철 (著)=Kim, Sung-chul (au.)
|
掲載誌 |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
巻号 | v.54 n.0 |
出版年月日 | 2009.08 |
ページ | 157 - 183 |
出版者 | 한국불교학회 |
出版サイト |
http://ikabs.org/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동국대(경주) 불교학과 부교수 |
キーワード | 삼론=Sān-lùn; 지장=Zhì-zàng; 승랑=Seung-rang; 양무제; 파사현정; Liáng Wǔ-dì; Fă-lăng |
抄録 | 삼론학 문헌을 보면 비판의 대상이 되는 인물 가운데 대표적인 사람이 梁의 三大法師 가운데 開善寺 智藏임을 알 수 있다. 인용 횟수도 가장 많을 뿐만 아니라, 신삼론의 ‘十重二諦義’가 지장의 사상을 비판하기 위해 고안되었다는 점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신삼론 전통의 성립과정을 조명하기 위해서는 그 對蹠點에 있었던 지장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帝王卽如來佛’을 표방했던 北朝와 비교할 때 황권이 승권보다 취약했던 南朝에서, 梁武帝는 황권 강화를 위해 여러 가지 시도를 하는데, 金陵의 승려들 가운데 양무제의 정략에 가장 극렬하게 저항했던 인물이 지장이었다. 양무제는 황권과 관련하여 전혀 위험하지 않았던 ‘은둔자 僧朗’과 함께, 가장 위험했던 ‘저항자 智藏’ 역시 外護하였다. 양무제의 정략적 외호를 받았기에 兩大 학계는 후대까지 존속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사상적 입지가 달랐기에 梁 멸망 직후 승랑의 孫弟子인 법랑이 攝山에서 금릉으로 내려와 삼론가의 가장 강력한 라이벌이었던 지장의 사상을 논박하면서 破邪顯正의 방식이 삼론학의 특징으로 자리 잡는다. 지장은 삼론학의 성립과정에서 逆行菩薩과 같은 역할을 하였다.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Sān-lùn(三論) tradition is its vigorous critique on the theories of the other sects. In Sān-lùn treatises we can find that Zhì-zàng(智藏) of Kāi-shàn-sì(開善寺) wa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stood against Sān-lùn tradition. It can be proved by the frequency of the quotation from Zhì-Zàng’s ideas. Jí-zàng(吉藏) wrote that his teacher Fă-lăng(法朗) explained the meaning of Èr-dì(二諦) by dividing the content into ten chapters to criticize Zhì-zàng and the way of division was derived from Zhì-zàng’s idea. The reason why Zhì-zàng emerged as a representative monk in Liáng dynasty was intimately related with a kind of strategy of Liáng Wǔ-dì(梁無帝) to strengthen his politico-religious power against the monks of Liáng dynasty. Wǔ-dì intended to make a new rule of Dharma-seat in the palace and tried to be a chief supervisor of Buddhist Saṅga as a layman. But he gave up his intention, because of Zhì-zàng’s severe resistance. Zhì-zàng was the most dangerous monk in Jīn-líng(金陵). Unexpectedly Wǔ-dì praised Zhì-zàng’s bravery and scolded all the other monks for their being chicken-hearted. Wǔ-dì used Zhì-zàng’s resistance as an opportunity of suppressingthe monks in Jīn-líng. Wǔ-dì lectured Prajñāpāramita Sūtra and wrote commentaries on it. The prince Zhāo-míng(昭明) taught the meaning of Èr-dì to the venerable monks in Jīn-líng. In commenting on Prajñāpāramita Sūtra, Wǔ-dì introduced the interpretation of Seung-rang who educated his pupils only in Shè-shān(攝山). Wǔ-dì used Seung-rang’s idea as a new ideology to govern his empire. By the support of Wǔ-dì, both traditions of Seung-rang and Zhì-zàng can survive long. But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their interpretations of Buddhist philosophy. Soon after the collapse of Liáng dynasty, Fă-lăng came down from Shè-shān to Jīn-líng and criticised vigorously the theory of Zhì-zàng who has been the strongest rival of Sān-lùn tradition.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Sān-lùn tradition was formed by the counter-influence of Zhì-zàng.
|
目次 | Ⅰ. 삼론학 연구에서 개선사 지장의 중요성 158 Ⅱ. 양무제 부자와 개선사 지장의 정치적 관계 161 Ⅲ. 개선사 지장의 사상과 그에 대한 삼론가의 비판 166 1. 二諦와 中道 167 2. 부처와 열반 168 3. 十地와 수행 168 4. 諸法의 해석 169 Ⅳ. 삼론학의 성립과 개선사 지장의 역할 177 |
ISSN | 12250945 (P) |
ヒット数 | 206 |
作成日 | 2021.11.22 |
更新日期 | 2021.11.22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