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제바달다의 5法 고찰Ⅰ -- 5법 중 ‘衣’와 ‘住’의 항목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I on 5 Methods of Vinaya Piṭaka -- Centering on "Clothing" and "Residence" in 5 methods
著者 廉仲燮 (著)=Youm, Jung-seop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50 n.0
出版年月日2008.02
ページ7 - 38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철학과 강사
キーワード5법=五法=5 methods; 분소의=糞掃衣=Pāṃsu-kūla; 납의=衲衣=Patched Clothes; 삼의=三衣=Three Clothes; 수하좌=樹下坐=Sitting under the tree; 노좌=露坐=Sitting on the road; 파승가=破僧伽=Saṅgha-bheda
抄録제바달다의 파승가는 파법륜승이 붓다 재세시 밖에는 일어 날 수 없는 사건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불교사상 유일한 파승가라고 할 수 있는 중요한 사건이다. 율장 類의 전적들은 이러한 파승가의 핵심으로 5법의 내용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것을 주된 문제로 파악하고 있다.
율장관련 전적들이 파승가의 핵심을 5법으로 기록하고 있다는 것은 5법이 충분한 검토 의의를 확보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5법에 관한 현존 자료들은 파승가를 전하는 전적들에 그 항목만이 단편적으로 밖에 드러나지 않고 있어 그 의미 파악에 있어서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5법에 대한 종합적 접근의 일환으로써 먼저 5법의 등장전적과 출입관계를 고찰한 후, 그 항목적 타당성을 정리하여 5법에 관한 명확성을 확보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5법의 항목적 출입의 정리와 아울러서 그것이 붓다와 어떠한 관점적 대립각을 형성하고 있는지에 관해서 파악해 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제바달다 파승가의 내포의의와 붓다 재세시의 교단적 상황에 대해서도 보다 폭넓은 입각점을 확보하게 된다.

Considering that the cakrabheda must occur during the lifetime of Buddha, Saṅgha-bheda of Devadatta is the only Saṅgha-bheda in the Buddhist history and is important in that meaning. Documents related to the Vinaya Piṭaka describe 5 methods as the essence of this Saṅgha-bheda, reckoning them the main problem.
As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Vinaya Piṭaka describe 5 methods as the essence of Saṅgha-bheda, it is meaningful enough to examine the 5 methods. But the present data on the 5 methods are remained only partially in the traditions of Vinaya Piṭaka. So, there is a difficulty in comprehending their meanings.
In this study, as a way of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5 methods, we will first consider the occurring cases of this 5 methods and their contexts, and then check the validity for each item to establish the clear identity of 5 methods. Through this, we will come to understand the occurring contexts of 5 methods for each item and to find out in what concepts they came to be at odds with Buddha.
Moreover, we will get a broader view point on the implication in Saṅgha-bheda of Devadatta and the situation of Buddhism during the lifetime of Buddha.



目次Ⅰ. 序論 9
Ⅱ. 5法의 등장전적과 출입관계 11
1. 5법의 등장전적 11
2. 5법의 출입관계 14
Ⅲ. 衣의 항목에 관한 고찰 19
1. 糞掃衣와 衲衣 19
2. 三衣와 기타 22
Ⅳ. 住의 항목에 관한 고찰 25
1. 露坐와 樹下坐 25
2. 촌락거주적인 측면 30
Ⅴ. 結論 32
ISSN12250945 (P)
ヒット数84
作成日2021.11.23
更新日期2021.11.2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8101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