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佛敎의 女性成佛論에 대한 檢討=A Study on a Theory of Women ’ s Becoming a Buddha in Buddhism
著者 李秀昌=Lee, Soo-chang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48 n.0
出版年月日2007.08
ページ7 - 34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경주 동국대 불교학과 강사
キーワード女性五障說=A theory of five hindrance of women; 正法減少說=A theory of diminution of the right teaching(true dhamma); 比丘尼 八敬法=Bhikkhunī’s aṭṭha garudhammā; 불교페미니즘=Buddhist Feminism
抄録붓다는 여인도 阿羅漢果를 증득할 수 있다고 분명히 말했다. 그러나 다른 불교문헌에서는 ‘여성은 다섯 가지가 될 수 없다(anavaksa)’는 ‘女性五障說’과 ‘正法減少說’ 및 ‘比丘尼 八敬法’ 등의 교설도 발견된다. 이러한 교설들을 근거로 불교는 여성을 차별하는 종교라고 오해하는 학자들도 있다.
이러한 오해의 주된 원인은 지금까지 ‘불교페미니즘(Buddhist Feminism)’의 시각에서 불교의 여성문제를 다루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날의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불교의 여성관을 비판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이 논문에서는 불교문헌에 나타난 성차별적 교설로 인식되고 있는 몇 가지 문제들을 인간학적 측면에서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현재 불교문헌에 남아 있는 여성 차별적 교설들은 그것이 붓다의 直說이든 후대에 삽입된 것이든 어떤 필요에 의해 언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율장이나 경전의 편찬자가 그것을 수록할 때에는 분명히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즉 그 문헌을 편찬할 당시에는 그 교설들이 나름대로의 가치와 의미를 갖고 있었을 것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그 교설들이 설해진 배경과 이유를 정확히 파악하게 되면 불필요한 오해를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사실 불교문헌에 나타난 여성에 관한 교설 중에는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에서 묘사한 부분도 있고, 긍정적인 측면에서 묘사한 부분도 있다. 전자를 근거로 붓다는 여성차별주의자였다고 단정하거나, 후자를 근거로 붓다는 남녀평등주의자였다고 단정하는 것은 붓다에 대한 올바른 평가라고 볼 수 없다. 겉으로 드러난 문맥만으로 판단하는 것은 그 교설을 설한 본래 의도를 놓칠 염려가 있다. 이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Buddha clearly said that women can also achieve the Arahatta-phala. But in other Buddhist literature, such theories as ‘a theory of five hindrance of women’ indicating ‘women cannot reach five stages(anavakāsa)’, a theory of diminution of the right teaching(true dhamma), Bhikkhunī’s aṭṭha garudhammā are found. On the basis of these theories, some scholars misunderstand that Buddhism discriminates women.
The central reason for this misunderstanding is that the woman’s problems of Buddhism are chiefly treated with the perspective of Buddhist feminism. Thus, to criticize the view of women in Buddhism with the perspective of today’s feminism is thought to be problematic. This paper examines several problems regarded as sexist theories in the literature of Buddhism from the viewpoint of humanics.
As a result, sexually discriminative theories that still remain in the literature of Buddhism have been mentioned for certain needs whether they were Buddha’s direct teachings or insertions of later periods. There must be some reasons in their own ways when compilers of Sutta Piṭaka or Vinaya Piṭaka included them. That is to say, at that time when the documents were compiled they might have their own values and meanings. Therefore, if the background and reason of these theories are correctly investigated, unnecessary misunderstanding will be reduced.
In fact, some theories related to women in the literature of Buddhism describe the negative aspects of women and others describe the affirmative aspects. So, concluding Buddha either as a sexual discriminator on the basis of the former or as an egalitarian on the basis of the latter is not a correct evaluation of Buddha. The original intentions for the teachings to be preached will be lost if we judge only with revealed context. We shouldn’t fail to notice this point.
目次Ⅰ. 머리말 9
Ⅱ. 佛敎의 女性觀에 대한 諸學說 檢討 12
Ⅲ. 女性 差別的 敎說에 대한 再解釋 18
1. 三從說과 女性五障說에 대한 해석 19
2. 波羅夷法의 ‘同罪異罰’에 대한 해석 25
Ⅳ. 맺음말 30
ISSN12250945 (P)
ヒット数52
作成日2021.11.30
更新日期2021.11.30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8558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