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大覺國師의 遺骨安葬과 立碑過程 再考=The process of burying the remains of Uicheon(義天) and erecting a monument for him
著者 崔箕杓 (著)=Choi, Gi-pyo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44 n.0
出版年月日2006.02
ページ339 - 368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
キーワード대각국사; 의천=Uicheon; 경선원=Gyeongseonwon; 흥왕사 묘지; 영통사비; 선봉사비; gravestone of Youngtongsa; gravestone of Seonbongsa
抄録이 논문은 고려에 천태종을 세운 大覺國師가 입적한 뒤 유골이 안장되고 세 차례에 걸쳐 비가 건립된 과정과 그 이유를 추정해 본 글이다. 대각국사는 國淸寺에 초대 주지로 머물며 天台敎觀을 강의하기 4년만인 1101년 8월에 병이 도져 밀교 사찰인 摠持寺로 거처를 옮긴다. 아마 이곳에서 병의 치유를 위한 주술을 행하라고 肅宗 등이 강력히 권유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그는 결국 10월 5일에 입적하고 16일에 화장되어 靈通寺 동쪽 石室에 유골이 안치된다. 이 때 朴浩가 찬한 묘지석을 함께 묻는다. 2년 뒤 영통사 서북 모서리에 대각국사를 제사 지낼 사당으로 쓰일 敬先院이 완공되고 이곳에 국사의 부도를 만들어 동쪽 석실에 모셔져 있던 유골을 이장하였다. 이 무렵 尹瓘이 찬한 탑비도 이 자리에 함께 건립된다. 地勢에 좋지 않다는 이유로 마당으로 옮겨진 이 탑비는 1125년 무렵 윤관이 토벌했던 여진족이 강대한 金나라로 부상하여 고려에서 金에 대해 稱臣事大를 하게 된 것을 계기로 훼손되고 그 자리에 새로 宥和論者 金富軾이 찬술한 비문이 서게 된다. 김부식이 새로운 비명 찬술을 명 받은 4년 뒤인 1129년에 仁宗은 남숭산 선봉사에도 대각국사의 천태종 창종을 기리는 비를 세우고 그곳에 천태종 문도들이 대를 이어 주지할 것을 명한다. 이곳이 선택된 이유는 대각국사의 급작스런 入寂 뒤에 천태문도의 7할에 달하던 선종의 五山門徒들이 본산으로 돌아가면서 세가 약해진 천태종이 대규모 사찰인 국청사를 지켜낼 힘이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각국사의 뒤를 이어 천태종을 이끈 敎雄은 國淸寺에 몇 년 있지 못하였고 그 뒤를 이은 德素는 1143년에 국청사의 천태종 문도들을 흩어 버리고 자신은 울주 영축산으로 옮겼다.

This thesis estimated the process and reason that Uicheon(義天; 1055~1101) who founded the Tiantai(天台) School in Goryeo had his remains buried and his monument erected three times after he had died. He stayed as the first chief priest in Gukcheongsa(國淸寺) and moved to Chongjisa(摠持寺) because a relapse occurred in August 1101 four years after he gave a lecture on the teaching of the Tiantai school. It will be perhaps because King Sukjong(肅宗) and others powerfully persuaded his illness to be cured by a incantation there. However, he finally had died on Oct. 5, and had his remains cremated on 16 and laid in state in a stone chamber east of Youngtongsa(靈通寺). Two years later, Gyeongseonwon(敬先院) to be used as a shrine in which to hold a memorial service for him was completed around the corner in the northwest of the temple. His remains in the chamber were transferred to a sarira stupa for him built there. In those days also the gravestone on which Gwan Yun(尹瓘) wrote was erected with it. The gravestone moving to a yard for the reason why it was not good for geographical features was damaged around 1125 with it as a momentum that Jurchen(女眞) he conquered rose as a powerful Jin(金) and that Goryeo called Jin a ruller, and was newly replaced by the gravestone on which Bu-sik Gim(金富軾) as an appeaser wrote. In 1129, four years after he was ordered to write a new inscription, King Injong(仁宗) ordered a gravestone to be erected for praising the priest's foundation of the Tiantai school also in Seonbongsa(僊鳳寺), Namsungsan(南崇山) and the disciples of the school to preserve the Tiantai theory successively there. The reason why the place was chosen seems to be that Gukcheongsa, a large-scale temple, could not be kept by the school weakened as the disciples in the five famous temples in the Zen sect who amounted to 70% of the disciples of the school returned to the head temple of a Buddhist sect after the priest suddenly had died.
目次Ⅰ. 문제의 제기 3
Ⅱ. 入寂 및 遺骨 安葬 과정 4
1. 入寂의 과정 4
2. 遺骨 安葬과 墓誌石의 문제 8
Ⅲ. 敬先院 건축과 대각국사 浮屠의 건립 10
Ⅳ. 大覺國師碑가 세 차례 건립된 이유 14
1. 靈通寺에 비가 두 번 세워진 이유 14
2. 僊鳳寺에 비가 건립된 이유 19
Ⅴ. 결어 24
ISSN12250945 (P)
ヒット数49
作成日2021.12.21
更新日期2021.12.2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120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