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 (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 보물 제204호)의 내용과 특징=The Contents and Salient Features of ‘Myobeopyeonhwagyeong Gwanseeumbosalbomunpum Samhyeonwonchan Gwamun (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 National Treasure No. 204)’ |
|
|
|
著者 |
정영식 (著)=Jeong, Young-sik (au.)
|
掲載誌 |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
巻号 | v.52 n.0 |
出版年月日 | 2020.02.28 |
ページ | 79 - 103 |
出版者 | 韓國佛教研究院 |
出版サイト |
http://kibs.or.kr/xe/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성균관대학교 유교철학·문화콘텐츠연구소 연구교수 |
キーワード | 思孝=SiXiao; 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Myobeopyeonhwagyeong Gwanseeumbosalbomunpum Samhyeonwonchan Gwamun; 觀音菩薩=Avalokitesvara; 法華經玄贊=Beophwagyeonghyeonchan; 窺基=KuiJi |
抄録 | 중국 요(遼)나라의 승려인 사효(思孝, 11세기)는 『묘법연화경』제25품인 「관세음보살보문품」을 주석하여 『삼현원찬(三玄圓贊)』을 저술하였고, 또 이를 직접 과문(科文)하여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이하 ‘삼현원찬과문’이라 약칭)을 작성하였다. 그런데 『삼현원찬』은 현존하지 않고, 『삼현원찬과문』만이 우리나라에 남아 있어 보물 제 204호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삼현원찬과문』은 대단히 귀중한 문헌이며, 이를 통해서 『삼현원찬』의 내용을 추정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삼현원찬과문』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서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삼현원찬』은 규기(窺基, 632∼682)의 『법화경현찬(法華經玄贊)』과 깊은 관계에 있다. 규기는 『묘법연화경』을 나눌 때 팔품정종과(八品正宗科)와 팔품유통과(八品流通科)의 두가지 견해를 세우고, 또 팔품유통과에서 정종분(正宗分) 19품을 명일승경(明一乘境)·명일승행(明一乘行)·명일승과(明一乘果)로 3분하였다. 이러한 견해를 사효도 따르고 있다. 또 규기는 6門을 세워서 『법화경』을 주석했는데 사효도 마찬가지로 6문을 세우고 있다. 둘째. 사효는 『능엄경』 권6에서 관세음보살을 설명하는 개념인 2수승(殊勝)·32응현(應現)·14무외(無畏)·4묘덕(妙德)의 개념을 사용해서 「보문품」을 해석하고 있다. 『능엄경』 권6과 『묘법연화경』「보문품」은 그 내용도 다르고 등장인물도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능엄경』 권6에 나오는 개념을 가지고 「보문품」을 해석한 것이 특징이다. 『묘법연화경』이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3)에 의해 한역(漢譯)된 것이 4세기경이고 『능엄경』이 중국에서 찬술된 것이 8세기이므로, 후대에 등장한 『능엄경』의 개념을 사용해서 『묘법연화경』을 해석한 것이다. 이것은 관음신앙(觀音信仰)의 유행에 있어서 『능엄경』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보물 제204호로 지정되어 있는 본 간본은 원래 의천(義天, 1055∼1101)이 간행한 교장(敎藏)의 초간본(初刊本)으로서 1099년에 대흥왕사(大興王寺)에서 간행된 것이다. 그 후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세조(世祖, 1455∼1468재위)때에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복각(覆刻)된 것이라 추정된다.
SiXiao(思孝), a Buddhist priest of the Liao(遼) Dynasty who lived in the 11th century, wrote ‘Samhyeonwonchan(三玄圓贊)’, an interpretation of ‘Gwanseeumbosalbomunpum(觀世音菩薩普門品), which is the 25th verse of ‘saddharma-puṇdarika-sūtra(妙法蓮華經)’, and based on this, also wrote ‘Myobeopyeonhwagyeong Gwanseeumbosalbomunpum Samhyeonwonchan Gwamun(科文)’ (hereafter “Samhyeonwonchangwamun”). ‘Samhyeonwonchan’ is no longer existent, and ‘Samhyeonwonchangwamun’ is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No. 204 in Korea. It is a highly valuable document, based on which the contents of ‘Samhyeonwonchan’ can be presumed. First, ‘Samhyeonwonchan’ is closely tied to ‘Beophwagyeonghyeonchan(法華經玄贊)’ written by KuiJi(窺基; 632-682). KuiJi put forth two perspectives─Palpumjeongjonggwa(八品正宗科) and Palpumyutonggwa(八品流通科)─in classifying the contents of ‘saddharma-puṇdarika-sūtra’, and divided the 19th verse of Jeongjongbun(正宗分) in Palpumyutonggwa into three parts : Myeongilseunggyong(明一乘境), Myeongilseunghaeng(明一乘行), Myeongilseunggwa(明一乘果). SiXiao followed the same approach. KuiJi interpreted ‘Beophwagyeong’ based on six mun(門), and SiXiao did so too. Second, SiXiao interpreted ‘Bomunpum’ based on the concept of two suseung(殊勝), 32 eunghyeon(應現), 14muoe(無畏), 4myodeok(妙德) used in the volume six of ‘Śūraṁgama-sūtra’ to explain the Goddess of Mercy. The substance and characters of the volume six of ‘Śūraṁgama-sūtra’ and ‘Bomunpum’ of ‘saddharma-puṇdarika-sūtra’ are different. Nonetheless, it is notable that SiXiao interpreted ‘Bomunpum’ using concepts from the volume six of ‘Śūraṁgama-sūtra’. Since ‘saddharma-puṇdarika-sūtra’ was translated into Chinese by Kumārajīva(344~413) in the fourth century and ‘Śūraṁgama-sūtra’ was written in the eighth century, SiXiao interpreted ‘saddharma-puṇdarika-sūtra’ referring to the concepts of a later written ‘Śūraṁgama-sūtra’. This suggests that ‘Śūraṁgama-sūtra’ played a pivotal role for popularity of belief in Avalokitesvara. The printed ‘Samhyeonwonchangwamun’ (National Treasure No. 204) is the first edition of ‘Gyojang(敎藏)’ published by Buddhist priest Euicheon(義天; 1055~1101), and was published at Daeheungwangsa Temple in 1099. It is estimated that the book was reprinted at Gangyeongdogam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who reigned between 1455 and 1468─in Joseon Dynasty. |
目次 | Ⅰ. 서론 81 Ⅱ.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의 성격 82 1. 저자 사효(思孝)에 대해서 82 2.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의 간행과 성격 85 Ⅲ. 『삼현원찬과문』에 대한 분석 87 1. 『삼현원찬과문』의 구조 87 2. 『삼현원찬과문』의 내용적 특징 94 3. 보물 제204호의 간행경위 96 Ⅳ. 결론 99 |
ISSN | 12253154 (P) |
DOI | 10.34275/kibs.2020.52.079 |
ヒット数 | 339 |
作成日 | 2021.12.22 |
更新日期 | 2021.12.24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