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스리랑카 국가종교의 분열과 아바야기리 세력 -- Nāgārjunakoṇḍa Inscription과 Atthasālinī를 중심으로=The First Schism in Medieval Sri Lanka -- With Reference to the Nāgārjunakoṇḍa Inscription and Atthasālinī
著者 김경래 (著)=Kim, Kyung-rae (au.)
掲載誌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巻号v.46 n.0
出版年月日2017.02.28
ページ155 - 178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サイト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초빙교수
キーワード마하위하라=Mahāvihāra; 아바야기리=Abhayagiri; 나가르주나 꼰다 비문=Nāgārjunakoṇḍa Inscription; 『앗타살리니』=Atthasālinī; 니까야=nikāya= ‘부파’=a fraternity; Laṅka-dīpa; Abhayagiri-vihāra; Tambapamni dipa
抄録논자는 본 논문을 통해 스리랑카 테라와다 전통에 등장했던 신비의 사원 아바야기리(Abhayagiri-vihāra)의 기원과 발전을 살펴보았다. 빠알리 문헌들의 증언에 따르면, 아바야기리 사원은 왓타가마니 아바야 통치기에 건립된 직후, 기득권인 마하위하라(Mahāvihāra) 세력과 경쟁관계를 형성했고, 그 결과 테라와다 최초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론은 좀 더 입체적이고 역사적인 재검토를 필요로 한다. 이에 논자는 현존하는 사료들을 비판적으로 비교․검토하여 아바야기리 사원의 연대기를 재구성해보았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텍스트는 나가르주나 꼰다 비문(Nāgārjuna- koṇḍa Inscription)과 『앗타살리니(Atthasālinī)』이다. 카즌스(Lance Cousins)는 이 두 텍스트를 근거로 아바야기리 세력이 CE 5세기 이전부터 확고한 ‘부파(nikāya)’로 확립되어 있었고, 당시 기득권이었던 마하위하라 세력의 견제를 받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논자가 이들 두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나가르주나 꼰다 비문에는 단지 ‘마하위하라’라는 소속이 언급되어 있을 뿐, 그 이상의 추가적인 함의는 발견되지 않았다. 『앗타살리니』 또한 인도 본토의 다양한 ‘부파(nikāya)’들이 존재했음을 증명해줄 뿐, 아바야기리의 존재는 암시해주지 않았다.
이상의 사료검토를 바탕으로 확립한 아바야기리의 기원과 전개과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다밀라 침략 이전 ‘아바야기리’라는 명칭(지명)이 생겼다. 이 지역은 종교적 거점으로 발전했고, 이 과정에서 아바야기리 사원이 건립되었다. 이 사원을 중심으로 한 세력은 점차 기득권인 마하위하라 세력과 모종의 대립관계를 형성했다. 그러나 빠알리 주석서가 확립되던 CE 5세기까지 이들은 마하위하라를 구심점으로 하는 단일 교단을 유지하고 있었다. 즉, 아바야기리 사원은 마하위하라 세력에 포함된 다수의 사원들 중 하나에 불과했다.

The article examines the two phrases from the Nāgārjunakoṇḍa Inscription and the Atthasālinī which Lance Cousins both regarded as pieces of actual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the Abhayagiri fraternity.
The first text is the Nāgārjunakoṇḍa Inscription, which mentions: ‘ācariyanaṃ theriyānaṃ vibhajavādānaṃ... mahāvihāravāsinaṃ vihāre’. Cousins rendered the phrase as ‘in the monastery...of the teachers of the Theriya school, the Vibhajjavādas...the Mahāvihāravāsins.’ Then he concluded that the inscriptional phrase implies that the members of Mahāvihāra fraternity wante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ir rival, namely, the Abhayagiri fraternity, in the third century CE.
The second text is the Atthasālinī, the commentary of the Dhammasaṅgaṇi, the first abhidhamma treatise. It says: ‘nikāy’antaraladdhīhi, asammissaṃ anākulaṃ; Mahāvihāra- vāsīnaṃ, dīpayanto vinicchayaṃ’. Cousins considered the term ‘nikāya’ here as ‘other fraternities’, and concluded that the three fraternities were already established in the fifth century CE in Sri Lanka.
These two texts only represent the existence of the Mahāvihāra in medieval Sri Lanka and the Buddhist schools(nikāya) in India. These texts, however, do not represent the existence of the Abhayagiri fraternity.
目次Ⅰ. 서론 157
Ⅱ. 나가르주나 꼰다 비문(Nāgārjunakoṇḍa Indscription): ‘Mahāvihāravāsinaṃ’ 160
Ⅲ. 『앗타살리니(Atthasālinī)』: ‘nikāya’ 164
Ⅳ. 결론: 아바야기리의 기원과 발전 169
1. 『解脫道論』: CE 3세기 이전 171
2. Dīpavaṃsa: CE 4세기 전후 171
3. Aṭṭhakathā와 Ṭīkā 및 Anuṭīkā: CE 5세기 이후 172
ISSN12253154 (P)
ヒット数36
作成日2022.01.15
更新日期2022.01.1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255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