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眞諦(Paramārtha)의 삼성설 해석과 阿摩羅識(amala-vijñāna)=Paramārtha’s Trisvabhāva theory and the Concept Amalavijñāna
著者 안성두 (著)=Ahn, Sung-doo (au.)
掲載誌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巻号v.42 n.0
出版年月日2015.02.28
ページ101 - 150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サイト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キーワード진제=Paramārtha; 삼성설; 아말라식=amalavijñāna; 진실성; 무변이성; 비전도성; 삼무성론; 결정장론; 무루식; thusness=tathatā; transformation of the basis=āśraya-parivṛtti; Idea Only=vijñaptimātratā; constructed nature=parikalpita-svabhāva; dependent nature=paratantra-svabhāva; perfected nature=parinișpanna-svabhāva
抄録본 연구의 주제는 인도의 번역승인 眞諦가 창안한 阿摩羅識(*amala-vijñāna) 개념을 그의 문헌 속에서 검토한 것이다. 아말라식이 언급되는 진제의 번역문헌은 모두 4종이다. 본고에서는 이것들을 아말라식이 주로 전의의 대체어로 사용되는 『결정장론』(A)과 단순한 번역이 아닌 해설문헌의 성격을 가진 『삼무성론』과 『전식론』, 『십팔공론』(B)의 두 그룹으로 구분했다.
A에서 아말라식은 거의 전의 개념과 외연이 겹친다. 여기서 아말라식은 수행도의 맥락에서, 즉 번뇌의 대치와 관련하여 사용되기도 하며, 또한 무루식이며 청정법의 ‘근거’라고 보는 관점이 나타나 있다. 반면 B에서 아말라식의 기술은 A와는 달리 유식성과 삼성설 중의 진실성을 다루는 중에서 언급된다. 먼저 유식성의 맥락에서 논의할 때 유식성을 임시적인 것과 극청정한 것으로 구분하고 궁극적인 것을 아말라식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리고 아말라식은 삼성 중에서 진실성으로 규정되는데, 진실성이 가진 두 측면인 ‘무변이성’과 ‘무전도성’ 중에서 ‘무변이성’의 측면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런 무변이성은 자연스럽게 진여의 무차별성과 관련되어 A에서의 ‘근거’적 측면과 연결된다. 진제가 해설문헌(B)에서 전의 개념과 별도로 아말라식 개념을 도입한 이유는 바로 진여의 이 불변적 상태를 전의로 함축되는 변화 개념과 구별하기 위해서라고 보인다.

The theme of the present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amalavijñāna in the works of Paramārtha (C.E. 499-569), who relates this concept with the perfected nature (parinișpanna-svabhāva) in some of his translation. This concept is used in four works:As suggested by Michael Radich (2008), I think, it is useful to devide these works in two groups: to one group (A) belongs and to the other (B) belong other three works. In A, the concept amalavijñāna is substituted for the concept “transformation of the basis (āśraya-parivṛtti)”, which is designated in the Yogācāra-texts both to be resulted by the elimination of the ‘badness (daușṭhulya)’ or kleśas and to be the uncontaminated factors which function as the basis for the purified factors. In contrast, the *amalavijñāna in B are dealt closely with the concept “Idea Only (vijñaptimātratā)” and “the perfected nature (parinișpanna-svabhāva)” among the three natures. In the context of Idea Only, these three texts devide the concept of perfected nature into two states: provisional and ultimately purified state. The first one is the state, in which the object of consciousness is eliminated, but the objectifying consciousness is still there. The latter is in turn the state, in which not only the objectified aspect, which is termed as the constructed nature (parikalpita-svabhāva), but also its counterpart, consciousness itself, defined by Paramārtha as the dependent nature (paratantra-svabhāva), is totally absent. This state of the perfected nature is now identified with *amalavijñāna. In this context, it should be mentioned that the perfected nature has, according to the Saṃdhinirmocanasūtra VI.6, two aspects, that is, Thusness (tathatā) and path (mārga), what is also attested in some passages of the text corpus B. My suggestion is that Paramārtha introduces the new concept amalavijñāna in order to define the unchangeable character (avikāra) of tathatā itself, and thereby differentiating it from the path aspect of the ultimate realit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raditional concept of āśraya-parivṛtti plays such a double role in the early Yogācāra texts, in the sense that in it the function of cutting off the kleśas and Thusness is included. But, from the viewpoint of the word meaning of āśraya-parivṛtti, one does not escape from the impression that it concerns mainly with the “changing” aspect of the reality, not reality itself. In this context, it may be reasonable for Paramārtha to introduce a new concept to designate the unchanging aspect of the ultimate reality, which functions as a role for spiritual basis.
目次Ⅰ. 들어가는 말 103
Ⅱ. 진제의 아말라식과 전의(āśraya-parivṛtti) 106
1. 진제의 『결정장론』에 나타난 아말라식의 용례 109
2. 『결정장론』에서 사용된 아말라식의 용례와 의미에 대한 요약, 해설 122
Ⅲ. 『삼무성론』 등의 해설문헌에 나타난 아말라식 용례와 진제의 삼성 해석 124
1. 『삼무성론』과 『전식론』, 『십팔공론』에서 아말라식의 용례 124
2. (B)그룹 문헌에 나타난 아말라식에 대한 설명의 요약 138
Ⅳ. 결론 140
ISSN12253154 (P)
ヒット数112
作成日2022.01.15
更新日期2022.01.1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262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