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金剛界曼茶羅의 韓國的 變容에 관한 연구=A Study on Korean Change and Accept of Vajradhātu Maṇḍala
著者 김영덕 (著)=Kim, Young-duk (au.)
掲載誌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巻号v.34 n.0
出版年月日2011.02.28
ページ147 - 173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サイト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위덕대학교
キーワード金剛界曼茶羅=Vajradhātu maṇḍala; 三十七尊=The thirty-seven honorable ones; 金胎不二; 三種悉地; 五方佛=Vajradhātu five buddhas; 『Vajraśekhara-sūtra』; The position of non-dual of garbhadhātu and vajradhātu
抄録우리나라에 남아있는 밀교와 관련된 諸資料 가운데에 금강계만다라의 諸尊과 관련이 있는 흔적이 상당수 전해온다는 사실은 의미가 깊다. 종파적인 밀교의 전승이 끊어졌던 한반도이지만 인도 중기밀교의 핵심인 금강계만다라 37尊의 흔적이 도처에 현존함을 통해서 우리나라에 金剛界曼茶羅가 수용되고 나름대로 變容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그 변용된 방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금강계법은 중국에서 이미 행해졌던 金胎不二思想과 三種悉地思想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것은 당나라 때 『大日經』과 『金剛頂經』에서 그 핵심을 뽑아 金胎不二의 입장에서 찬술된 『三種悉地儀軌』의 내용과 방법을 계승한 것이다.
둘째, 금강계만다라의 37존 사상은 화엄과 정토를 비롯한 대승의 여러 교학과 어우러진 채 나름의 조화를 갖고 있다. 37존이 포함된 불화 등에서 그 예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진언집류에서는 37존 가운데에서도 금강계만다라의 핵심인 5방불 만이 생명을 지속한 가운데 해체되어 부분적으로 통불교교리에 흡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37존 가운데 5불이 중심이 되어 육자진언을 비롯한 대승불교의 諸陀羅尼와 합해져서 顯密雙修의 활용을 보이고 있다. 또한 陰陽五行 및 토속신앙을 흡수하여 대중들이 쉽게 다가설 수 있는 방편을 마련하고 있다.
넷째, 통불교적인 한국불교 양상에서 부족한 의례를 채우기 위해 밀교적 요소로서 금강계 5불 채택되면서 일부 변용되더라도 5智를 표방하는 5방불이라는 의미를 잃지 않은 채 통불교의 의례기능을 담당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금강계법의 핵심을 이루는 37존이 한국적으로 변용되어온 온갖 양상들은 결과적으로 究竟方便을 설하는 『대일경』 三句法門의 구체적 전개에 다름 아니다. 이것은 한국불교의 역사에서 불교가 그 교학적 전개에 못지않게 민중이 갖고 있는 구체적 관심사와 관련되어 전개되어 왔음을 말해준다. 즉 불교는 이념적인 면보다는 신앙실천적인 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강조되었으며, 대중적 요구에 밀접하게 호응하는 밀교적 요소는 불교의 전통계승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 왔던 것이다. 그 가운데 금강계만다라의 37존이 스스로의 형식을 무너뜨리면서도 究竟方便의 理想을 잃지 않은 채 전승되어 왔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It is quite significant that there are a considerable number of traces related to sacred images of vajradhātu maṇḍala among all materials about esoteric Buddhism that are remaining in Korea. Consequently, while the heritage of denominational esoteric Buddhism discontinued in Korea, it could be understood that vajradhātu maṇḍala has been accepted and somewhat changed through the present nationwide existence of the thirty-seven honorable images associated with it. The change and accept to patterns and styles of vajradhātu maṇḍala are as follows;First, dharma of vajradhātu is in harmony with thought of non-dual between garbhadhātu and vajradhātu already performed in China. This was inherited from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eremony book editing the core parts of the Mahāvairochana-sūtra and the Vajraśekhara -sūtra in the era of Dang dynasty in ancient China in the position of non-dual of garbhadhātu and vajradhātu.
Second, the thirty-seven honorable images from thought of vajradhātu maṇḍala is in harmony with various philosophy including philosophy of avatamsaka and sukhāvatī. Its examples are found in Buddhist paintings including thirty- seven honorable images. The bearing notion disappeared from maṇḍala really having the notion and changed to different patterns like Buddhist paintings. And, honorable images of esoteric Buddhism generalized accedes to the public's demands.
Third, the utilization of both practice of general and esoteric Buddhism is shown through the integration with Mahāyana Buddhism's dharanis as well as the Six Syllabled Mantra around thirty-seven honorable images including five Buddha images. Only vajradhātu five buddhas of thirty-seven honorable images lived on and were absorbed in doctrine of whole Buddhism, disintegrating into various parts.
Fourth, the selection of five Buddhas images to supplement lack of Buddhist ceremony in the Korean Buddhism made the original meaning disintegrate, playing a ceremonial function.
As a result, all change patterns of thirty-seven honorable images, core parts of dharma of vajradhātu, into the Korean ones are the same as the detailed teaching of three phrase in Mahāvairochana-sūtra, which shows that Buddhism has developed in the relation with the specific interests the public have with the educational development of Buddhism in the Korean Buddhism history; the religious practice aspect of Buddhism was emphasized than the ideological aspect. Accordingly, the factor of esoteric Buddhism responding to the public's demands has occupied the important position closely related to the traditional heritage of Buddhism. Above all, it is known that thirty-seven honorable images of vajradhātu maṇḍala have been inherited, destroying their own forms and keeping original ideals.

目次Ⅰ. 들어가는 글 149
Ⅱ. 金剛界曼茶羅 37尊 관련 諸資料 150
Ⅲ. 金胎不二와 三種悉地 155
Ⅳ. 金剛界法과 大乘諸敎學 158
Ⅴ. 諸陀羅尼와 土俗信仰 161
Ⅵ. 금강계 5불과 儀禮 163
Ⅶ. 나가는 글 166
ISSN12253154 (P)
ヒット数48
作成日2022.01.17
更新日期2022.01.1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288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