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部派佛敎의 佛身에 대한 논쟁과 龍樹의 佛身觀 성립에 대한 一考=A Study on the Debate of the Buddhakāya in School Buddhism and the Establishment of Nāgārjuna's Buddhakāya
著者 원필성 (著)=Won, Pil-sung (au.)
掲載誌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巻号v.31 n.0
出版年月日2009.08.30
ページ37 - 73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サイト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위덕대 밀교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キーワード佛身觀=Bodies of the Buddha; 부파불교의 佛身觀; 肉身에 대한 논쟁; 精神에 대한 논쟁; 龍樹의 法身觀; 龍樹의 生身觀; 龍樹의 法性身觀; the debate of the Buddhakāya in School Buddhism; dharmakāya; the physical body; Nāgārjuna's Buddhakāya
抄録석존입멸 후, 불교는 점점 교화의 영역을 확대하여 인도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달되었으며, 또 이러한 과정 속에서 몇 가지 본질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가운데에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초기불교부터 佛陀觀 내지 佛身觀에 있어서 붓다를 점점 신화적 인물로 만들려는 경향이 있었다는 것이다. 즉 석존이 열반하고 나서 시간이 점점 흘러감에 따라서 석존의 인격에 대한 생각도 점점 불확실해지게 되었으며, 석존과 관련 있는 몇 가지 신비적인 전설은 급속도로 퍼지게 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석존이 神으로서 세상에 내려왔다고 생각하여 각종 신비한 이야기들을 조금씩 첨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에 반대하는 이들은 석존의 위대성이 신통력에 있는 것이 아니라 충만한 지혜와 자비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부파불교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북방과 남방이 서로 다른 이야기를 전하고 있지만 이들의 전설 속에서 다음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즉 석존의 가르침에 대해 불교교단에서 진보적 경향과 보수적 경향을 가진 세력이 서로 다른 해석으로 인해 충돌이 있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부파들 사이에 발생한 충돌은 비단 교법과 계율의 문제뿐만 아니라, ‘열반 후 더 이상 눈앞에 존재하지 않는 석가모니 부처의 존재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라는 불신관에 대한 문제도 중요한 분열 원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說一切有部(Sarvāstivādin)와 大衆部(Mahāsaṇghika) 사이에서 위와 같은 견해 차이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 서로 견해가 나타나는 가장 근본원인은 이 두 분류의 사상적 경향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유부는 전통을 중시하였기에 시종일관 인간적 불타에 그 초점을 맞추는 보수적 경향을 유지하려 하였다. 따라서 불타라 하더라도 식사와 수면 등의 육체적인 활동이 일반 범부와 다를 수 없다고 보았으며, 정신적인 면에서도 어느 정도의 제한이 불가피하다고 본 것이다. 그러나 대중부는 시종일관 이상화 혹은 신앙적으로 승화된 불타에 그 초점을 맞추는 진보적 경향을 유지하려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진보적 경향이 결국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모든 것을 알고 모든 공간에 존재하며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초인격적인 神과 같은 절대적 존재로 불타를 승화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이러한 두 가지 서로 다른 경향에서 출발하여 돌출된 불신관이 불교교단이 분열의 길로 걸어가게 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음은 분명하다.
그리고 부파불교에서의 불신에 대한 논쟁은 이후 대승불교의 흥기의 문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며, 특히 용수는 『대지도론』에서 부파불교의 대중부와 유부의 위와 같은 논쟁에서 얻어지는 불신관을 흡수하여 자신의 법신관과 생신관을 전개하였다. 이것은 불신관에 대한 부파불교의 논쟁이 용수의 『대지도론』에서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파불교의 불신관의 논쟁에 이어서 용수가 시도하고자하는 새로운 방향의 불신관이 어떤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의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은 불신관 전체의 전개방향을 파악하는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다.

After the demise of the Buddha, Buddhism has spread from the India to the other countries and the spread of Buddhism, it has brought a few of fundamentals changes of views on the bodies of the Buddha. In these changes, we have to consider a tendency which is that deification of the Buddha since the Buddhist communities were established by Śākyamuni's grieving followers. After that time, the view of the Buddha has been getting as well as uncertain because of the Buddha's death and at the same time many of mysterious story of Śākyamuni Buddha have been spread rapidly. According to this influence people who is member of one of the Buddhist communities believed that Śākyamuni Buddha has came to people as God and they also made other mysterious stories. However, people who is not agree this view of Śākyamuni Buddha as God, they believed that Śākyamuni's greatness is not transcendental power but the wisdom and the compassion.
There is a common sense of the cause of the School Buddhism, even though Northern and Southern Buddhism does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on the cause of the School Buddhism. In the centuries after the death of the Buddha there arose a number of schools, often their own view on the bodies of the Buddha. In other words, it is true that there is the conflict between conservative trends and progressive trends on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n Buddhist schools. Futhermore, this conflict does not only concern the teaching of the dharma and the discipline but also the issue is that how to interpret the Buddha, Śākyamuni Buddha, since there is no human being after the Nirvāṇa of the Buddha. This issue is one of the main cause of Buddhist schism in the historical event. There do differ, and their difference indicate past schism and form fruitful fields of minute comparison for modern scholar. Therefore, I will focus on the essential nature of the Buddha, the view of on the bodies of the Buddha, through both Sarvātsivādin and Mahāsaṇghika as well.
In School Buddhism, the debate of Buddhakāya, the view of on the bodies of the Buddha, has been closed the arose of Mahāyāna Buddhism. One of the famous Buddhist scholar, Nāgārjuna has developed both dharmakāya theory and Sambhogikakāya theory in Mahāprajñapāramitā śastra, one of the important śastra in Mahāyāna Buddhism, because he has used the view of on the bodies of the Buddha which is the debate between Sarvāstivādin and Mahāsaṇghika. It means
目次Ⅰ. 머리말 40
Ⅱ. 부파불교의 佛身에 대한 논쟁 41
1. 佛陀의 肉身에 대한 논쟁 41
2. 佛陀의 精神에 대한 논쟁 48
Ⅲ. 龍樹의 佛身觀 55
1. 법신 56
2. 生身 58
3. 法性身 62
Ⅳ. 맺음말 67
ISSN12253154 (P)
ヒット数53
作成日2022.01.23
更新日期2022.01.2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3301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