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운봉선사 심성론』의 사상적 특징=The Characteristic of Woonbong seonsa shimseongnon(雲峯禪師心性論)'s Thought
著者 이병욱 (著)=Lee, Byung-wook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24 n.0
出版年月日2009.12.30
ページ131 - 164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고려대학교
キーワード돈수판사=頓修辦事=tun-hsiu pan-shih; 『대승기신론』=Ta-sheng ch'i-hsin lun=大乘起信論; 불교우월론=the superiority of buddhism; 지눌=Chinul=知訥; 『유석질의론』=Yuseokjil-euiron=儒釋質疑論=the recording of a question between Buddhist and Confucian
抄録이 논문에서는 『운봉선사 심성론』을 ‘유불일치’와 ‘선교일치’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운봉은 『유석질의론』을 인용하면서 유불일치를 주장하지만 제한적으로 ‘불교우월론’을 제기한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보자면 논의의 흐름은 유불일치에 있다.
운봉은 선교일치의 단서로 3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심지(心地)와 불성, 여래장이 같다고 주장하는데, ‘심지’는 선종에서 사용하는 개념이고, ‘불성’과 ‘여래장’은 교종에서 사용하는 개념이므로 선교일치의 단서를 발견할 수 있다. 둘째, 『대승기신론』의 시각(始覺)에서 돈오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이는 교종의 논서인 『대승기신론』에서 선종의 돈오를 이끌어내는 것이므로 선교일치의 단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성품이 개개인에게 원만하게 갖추어져 있다는 점은 선종과 교종이 같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선교일치의 단서를 읽을 수 있다.
운봉의 교학사상의 특징은 개개인이 각각 원만한 성품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하였다는 점이다. 운봉은 이 관점에 서서 성품(법신)이 하나라는 주장에 반론을 제기한다. 그렇지만 마음과 성품을 구분해서 성품에서는 각각 다르지만, 마음에서는 하나라고 주장해서 성품이 한 가지라는 주장에 대해 일정 부분 의미를 부여한다. 운봉의 선사상에서는 지눌의 영향이 많지만, 완전히 지눌을 추종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돈수판사(頓修辦事)를 말하는 대목에서는 자신의 주장이 들어있다.

In this paper, I will approach Woonbong seonsa shimseongnon(雲峯禪師心性論) the viewpoint of ru-fo i-chih(儒佛一致) and ch'an-chiao i-chih(禪敎一致). Woonbong says ru-fo i-chih(儒佛一致) through the quotation of Yuseokjil-euiron(儒釋質疑論 the recording of a question between Buddhist and Confucian), but he introduces the superiority of buddhism restrictively. But on the whole ru-fo i-chih(儒佛一致) is a point. Woonbong presents three kind as the clue of ch'an-chiao i-chih(禪敎一致). Firstly, he says that hsin-ti(心地), fo-hsing(佛性) and ju-lai-tsang(如來藏) are the same. We can see the clue of ch'an-chiao i-chih(禪敎一致) because hsin-ti(心地) is the conception of ch'an-tsung(禪宗) and fo-hsing(佛性), ju-lai-tsang(如來藏) are the conception of chiao-tsung(敎宗). Secondly, he presents tun-wu(頓悟) through shih-chüeh(始覺) of Ta-sheng ch'i-hsin lun(大乘起信論). This is the clue of ch'an-chiao i-chih(禪敎一致) because he presents tun-wu(頓悟) of ch'an-tsung(禪宗) through Ta-sheng ch'i-hsin lun(大乘起信論) of chiao-tsung(敎宗). Thirdly, ch'an-tsung(禪宗) and chiao-tsung(敎宗) are the same in that everyone have perfect hsing(性) individually. In this point, we see the clue of ch'an-chiao i-chih(禪敎一致).
The characteristic of Woonbong's chiao-hsüeh(敎學) is in that everyone have perfect hsing(性) individually. Thus he refutes the view that hsing(性) is one. But he divides hsin(心) and hsing(性). And he says that hsing is different individually, but hsin is one. This admit the view that hsing is one restrictively. Woonbong's zen thought is influenced by Chinul(知訥)'s thought, but he does not follow Chinul(知訥)'s thought wholly. In tun-hsiu pan-shih(頓修辦事), he have a individuality.
目次서론 131
유불일치의 특징 134
선교일치의 특징 139
선교일치의 방식 140
선사상의 관점 149
결론 154
ISSN15980588 (P)
ヒット数39
作成日2022.03.22
更新日期2022.03.2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658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