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華嚴經』의 禪觀 小考=A Study on the Philosphy of Zen in the Avatamska Sutra
著者 신명희 (著)=Sin, Myung-hee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32 n.0
出版年月日2012.08.30
ページ39 - 66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 강사
キーワード華嚴經=『the Avatamska Sutra』; 性起=Sunggi; 唯心=Eusim; 法界緣起=Beopgyeyeongi; 禪=zen
抄録『화엄경』은 대승 초기경전으로 信解行證의 긴밀한 구조로 짜여 있으며, 이론과 수행의 실제를 여실히 보여주는 경전이다. 곧 『화엄경』의 性起․唯心․法界緣起 思想은 인간이 깨달음을 이룰 수행체계와 가능성을 설하고 있다.
性起란 중생 누구나 깨달음의 본성을 갖추고 있는 본성인 體가 衆生心에 內在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는 수행에 의해 부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중생 그대로 본래 부처인 것이다. 이렇게 부처와 본질이 같기 때문에 모든 중생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성불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다음 唯心思想이다. 이 세상 모든 만물이 마음을 따라 생겨나고, 사라진다. 그런데 이 마음은 고정불변한 마음이 아니다. 청정한 본성이지만 緣起하는 성품을 가지고 있다. 곧 본래성에 있어서 空이며 서로 다른 것과 의지함으로서 生하여 연기하는 마음인 것이다. 法界緣起는 『화엄경』의 세계관이자, 깨달음의 세계를 이론화하는 근거이다. 우주 법계의 모든 만물은 홀로 존재할 수 없으며, 각기 서로 因이 되고, 緣이 되어 因果 관계를 맺고 있는데, 바로 重重無盡한 緣起이다. 이 법계연기는 四種法界(理․事․理事無碍․事事無碍)로 전개된다.
이와 같이 화엄의 세계관은 무한한 시간과 공간이 펼쳐진 장엄함이 전개되는데, 이는 바로 깨달음의 세계를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이 正覺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화엄경』의 禪觀(性起․唯心․法界緣起)은 禪師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곧 선사상의 근거가 된다.

『the Avatamska Sutra』, the Mahyna early buddhism, is a scripture showing clearly the reality of theory and practice with its close structure of Faith, Interpretation, Performance, and Evidence. In other words, the philosophies of Sunggi, Eusim, and Beopgyeyeongi in 『the Avatamska Sutra』 teach the possibility of people to achieve enlightenment and the practice system for it.
Sunggi means that a body, which is the nature of enlightenment, is inherent in people's mind. This means that people are a buddha as they are, not that people become a buddha through practice. People are the same as buddha essentially and, therefore, each person has the possibility to attain buddhahood.
Next philosophy is Eusim. Everything in the world appears and disappears following its heart. And this hear is not cast in stone. It is a pure nature but has the character of Paticcasamuppāda. That means it was an ‘emptiness’ originally, but it comes to exist by depending on other thing each other and keeps going continuously. ‘Beopgyeyeongi’ is the worldview of 『the Avatamska Sutra』and the foundation of theorizing the world of enlightenment. All things in the universe cannot exist alone, but they become a cause and a connection for each other. And this causality is the Paticcasamuppāda. overlapped one upon another. This Beopgyeyeongi unfolds with the thought of four kinds of world.
The abhisambodhi Like this, the worldview of Avatamska spreads as a grandeur with limitless time and space and this grandeur means the very world of enlightenment. The philosophy of Zen(Sunggi, Eusim, and Beopgyeyeongi) in 『the Avatamska Sutra』based on the worldview of abhisambodhi(enlightenment) has affected Zen monks and became the foundation of Zen thoughts.
目次국문요약문 39
Ⅰ. 들어가면서 41
Ⅱ. 『華嚴經』해제 및 禪學史的위치 42
1. 『華嚴經』의 의의 및 역경 42
2. 禪思想的 위치에서 바라본 『華嚴經』 43
Ⅲ.『華嚴經』의 禪觀 思想 45
1. 性起 思想 45
2. 唯心 思想 51
3. 法界緣起 54
Ⅳ. 禪과 華嚴思想 58
1. 華嚴宗과 禪 58
2. 禪宗과 華嚴思想 59
Ⅴ. 나오면서 62
Abstract 64
참고문헌 66
ISSN15980588 (P)
ヒット数58
作成日2022.04.19
更新日期2022.04.1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811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