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懶翁惠勤의 강남유학에서의 행적과 그 영향=Naonghyegeun’s Study in Gangnam and Its Influence
著者 정영식 (著)=Jeong, Yeong-shik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37 n.0
出版年月日2014.04.30
ページ31 - 58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キーワード나옹혜근=Naonghyegeun; 천암원장=QianYan-YuanZhang; 설창오광=XueChuang-WuGuang; 입문삼구=Immunsamgu; 삼전어=Samjeoneo
抄録懶翁惠勤(1320~1376)은 1347년~1358년의 중국 유학기간 중 1350~1353년의 3년간 杭州를 비롯한 江南지방에서 공부하였다. 3년간의 강남유학 중 그는 平山處林·雪窓悟光·千巖元長·枯木榮·無相和尙·了堂和尙·泊庵和尙 등을 만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들의생애와 혜근과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해명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생애와 혜근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혜근의 사상과 천암원장의 사상을 비교해 보았다.
우선 『懶翁行狀』에는 설창오광이 혜근을 처음 만났을 때 읊은 시구 가운데 ‘昭陽見靈樹’라는 구절이 있다. 그런데 이 말은 원래 ‘智聖禪師가 雲門文偃이 자신의 제자가 될 것을 미리 알고 기다린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설창오광이 혜근이 자신의 제자가 될 것을 예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필자는 『千巖元長語錄』 속에서 천암이 혜근에게 보낸 ‘勤禪人’이라는 詩를 발견하였다. 간화선 사상에 있어서는 천암이 정통적인 간화선자의 모습을 보인 반면, 혜근은 간화선을 권장하면서도 ‘自性을 깨칠 것’을 강조하는 臨濟正宗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였다. 구체적인 화두참구에 있어서도 혜근은 無字公案을 강조하는 반면, 천암은 萬法歸一 화두를 강조하고 있다. 한편 혜근은 수행자들을 지도하고 시험할 때 入門三句와 三轉語를 많이 사용하는데, 입문삼구는 원래 汾陽善昭(947~1024)의 汾陽五門句에서 유래하는 것임이 밝혀졌다. 삼전어도 각각 그 유래가 있는 것이 밝혀졌는데, 그것을 제자를 지도하는 방편으로서 사용한 것은 혜근의 독창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Naonghyegeun(懶翁惠勤, 1320~1376) studied in the Gangnam(江南) region includingHangzhou for three years between 1350 and 1353 during his study in China between 1347 and 1358. During his three-year study in Gangnam, he met PingShan-ChuLin(平山處林), XueChuang-WuGuang(雪窓悟光), QianYan-YuanZhang(千巖元長), KuMu-Rong(枯木榮), Master Wushang(無相和尙), Master Liao-Tang(了堂和尙), and Master BoAn(泊庵和尙). Thus far, their lives and relationships with Hyegeun have not been explained in detail. This study clarified their lives and relationships with Hyegeun, and compared the ideas of Hyegeun and QianYan-YuanZhang.
First, 『Naonghaengjang(懶翁行狀)』 has the line “Soyanggyeonyeongsu(昭陽見靈樹)” among the lines that XueChuang-WuGuang recited when he first metHyegeun. Meanwhile, this word originated from the “event in which MasterZhiSheng(智聖禪師) had already known that YunMen-WenYuan(雲門文偃) wouldbecome his disciple and waited”. This implies that XueChuang-WuGuangpredicted that Hyegeun would become his disciple. In addition, the authordiscovered the poem called “Geunseonin(勤禪人)” within 『The Record of QianYan-YuanZhang(千巖元長語錄)』, which QianYan sent Hyegeun.
In terms of the idea of Ganhwaseon, QianYan also showed himself as aclassical advocate for Ganhwaseon. However, while Hyegeun supportedGanhwaseon, he also argued the return to Imjajeongjong(臨濟正宗) that emphasized“realizing self-nature(自性)”. In the detailed meditation of Hwadu,Hyegeun also emphasized Mujagongan(無字公案), whereas QianYan stressedthe Hwadu of Manbeopguiil(萬法歸一).
On the other hand, when instructing and testing trainees, Hyegeun frequentlyused Immunsamgu (入門三句) and Samjeoneo(三轉語), and Immunsamgu was revealedto have originated from Bunyangomungu (汾陽五門句) of FenYang-ShanZhao(汾陽善昭, 947~1024). Samjeoneo was also known to have its each origin.
Using it as the method of instructing his disciples may also have been thecreativity of Hyegeun.
目次국문 초록 32
Ⅰ. 서론 33
Ⅱ. 본론 34
1. 혜근이 강남에서 교류한 선승 34
2. 혜근의 선사상과 강남선승들 42
1) 원대 강남선종계의 동향 42
2) 혜근의 선사상과 강남승 43
(1) 臨濟正宗의 고취 44
(2) 간화선사상 47
(3) 入門三句와 三轉語 50
Ⅲ. 결론 54
참고문헌 56
Abstract 57

ISSN15980588 (P)
ヒット数47
作成日2022.05.06
更新日期2022.05.06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39572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