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동아시아의 출가와 한국불교의 특징=Buddhist Ordination in East As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著者 장미란 (著)=Chang, Mi-ran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50 n.0
出版年月日2018.08.30
ページ41 - 75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강의초빙교수
キーワード출가=Ordination of Buddhist monk; 도첩제=monk licence; 도승; 체발=shaving of new monks; 동행=童行; pre-ordained monk; state-certified monk
抄録동아시아 문화권은 인도문화권의 불교와 달리 절대왕권과의 관계성 속에서 동아시아불교만의 출가문화를 정착시킨다. 중국은 서역이나 인도에서 온 외국인 승려들의 주도로 시작되고, 한국은 중국불교화되는 과정의 것을 받아들인다. 도승(度僧)과 승단의 운용은 독자적인 자율에 의한 것이 아닌 국가관리하에서 이루어진다. 중국은 한인의 출가, 체발, 승려의 자격(도첩)을 국가로부터 공인받아야 했다. 한국은 불교공인 후, 많은 출가자가 배출되고, 승단이 정비된다. 숭불시대인 고려는 승과제도와 승계, 승록사, 왕사와 국사제도를 통해 승려의 정치적·사회적 위상이 높았다. 반면에 억불시대인 조선은 고려의 모든 불교정책이 철저히 통제되고 폐지되기도 하여 그 존립의 위기마저 겪으며 승직(僧職) 등으로 명맥을 유지한다. 이러한 출가와 관련된 모든 것들은 동아시아불교에서 출가문화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승단은 식민지화되고, 승려들의 대처식육의 만연은 한국의 전통불교를 변질시킨다. 이 때 한국불교는 그 역사적 흐름에서 정착된 특성이 근현대기에 전통성을 지키고 정체성을 재확립하려는 한국불교계의 노력에 의해 더욱 확고하게 재발현된다. 한국불교계는 한국불교의 전통성을 드높이며 정화에 대한 자각의 목소리가 생겨났고 계율 중시의 선종 중심 독신출가승으로서의 정체성을 재확립함으로써 한국불교가 나아갈 길을 재확인하고 되찾은 것이다. 선종 중심의 조계종 성립과 정화운동을 펼치는 한편, 엄격하고 철저한 계율 실천에 전력하여 출가승가로서의 한국전통불교의 기강과 정체성을 확립한다. 이상으로 동아시아문화권에서 변용된 출가문화를 역사적 흐름에 따라 살펴봄으로써 동아시아불교권의 출가문화의 특징 및 한국 전통불교의 특성과 정체성을 찾아보았다.

Buddhist ordination in East Asia started in China, and Korea adopted Sinicized customs. Ordination of monks and management of the sangha was not autonomous but state-controlled. In China, ordaining the Han people, shaving new monk’s head, and certifying a monk license had to be approved by the government. After the official recognition of Buddhism in Korea, many monks were ordained and the monastic order was systemized.
The Goryeo dynasty politically and socially guaranteed the status of Buddhist monks through systemization of state certifying examination of monkhood, rank of monks, central Buddhist registry, royal preceptor and national preceptor. On the other hand, the Chosun dynasty controlled and abolished every Buddhist policy of its predecessor, and the Korean sangha barely survived with the existential threa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Korean sangha was also colonialized and the Buddhist monks were encouraged to get married and eat meat. To fight against this wide-spread corruption, the Korean sangha founded Jogye Order of Zen sect and carried on the purification movement. They were devoted to tighten the discipline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n ordained monkhood of traditional Korean sangha by undertaking the precepts strictly and thoroughly.
目次국문 초록 41
Ⅰ. 서론 42
Ⅱ. 중국의 출가 43
1. 출가자에 대한 수용과 이해 43
2. 출가문화 형성과 확립 45
Ⅲ. 한국의 출가 52
1. 불교 공인과 출가교단 정비 52
2. 숭불억불시대의 도승·승단관련 제도와 그 위상 55
3. 일제강점기의 승가 세속화와 한국전통불교의 정체성 확립으로의 노력 63
Ⅳ. 결론 70
참고문헌 72
Abstract 74
ISSN15980588 (P)
DOI10.22253/JSS.2018.8.50.41
ヒット数160
作成日2022.06.03
更新日期2022.06.0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173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