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성철 선사의 간화선법 일고=A study on the Seong-cheol’s Ganhwa Seon
著者 오용석 (著)=Oh, Yong-suk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51 n.0
出版年月日2018.12.30
ページ33 - 62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
キーワード성철=性徹=Seong-cheol; 간화선=看話禪=Ganhwa ‌Seon; 돈오돈수=頓悟頓修=the ‌sudden ‌realization ‌of ‌enlightenment; 공부삼단=功夫三段=the practice of ‌three ‌steps; 대혜종고=大慧宗杲=Dahui-Zonggao; 활구=活句=a ‌living phrase ‌beyond ‌discriminating ‌mind
抄録본 연구에서는 성철 선사의 간화선이 가진 특징을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성철은 중도와 무념의 입장에서 깨달음을 본질로 보았고 이러한 중도의 깨달음을 직접적으로 체득하는 방법으로 간화선을 제시하였다. 둘째, 성철의 간화선을 ‘활구’와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우선 성철은 활구의 화두를 참구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피해야 할 것(돈, 이성, 명예)’, ‘수좌 5계’ 등의 계율을 지킬 것을 강조하였다. 특히 그는 화두를 참구할 때 전제참구(全提參句)의 방식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불성의 유무를 묻는 방식이 아닌 조주의 뜻을 직접 묻는 방식으로 의정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러한 성철의 ‘오직 화두’만을 들 것을 강조하는 간화선법은 대혜와 유사하면서도 다른 점을 보인다. 대혜는 단제참구(單提參句)를 중시하고 더 나아가 회광반조를 함께 제시하였다. 셋째는 성철이 제시한 공부삼단(功夫三段)을 견성즉불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성철의 공부삼단은 화엄의 십지설, 유식의 심식설, 『기신론』 등의 설을 절묘하게 결합시켜 제시한 것이다. 특히 그는 구경각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아뢰야식을 영절(永絶)하고 순무심의 멸진정에 도달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 밖에 지주(持呪), 절 등을 보조적으로 사용한 것도 간화선의 주창자인 대혜종고와 다른 점이다. 특히 대혜는 돈오점수와 돈오돈수를 근기에 따라 제시하였으나 성철은 간화선을 통해서 돈오돈수의 구경각에 이를 것을 강조하였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eong-cheol’s Ganhwa Seon were examined fromthree viewpoints.First,Seong-cheolregarded enlightenment as the essence in the Middle Way and Non-mind, and suggested Ganhwa Seon as a way to directly realize the enlightenment of Middle Way. Secondly, I reviewed the Ganhwa Seon of Seong-cheol in relation to the ‘A living phrase beyond discriminating mind’. First of all, Seong-cheol emphasized to obey the rules such as ‘The three things to avoid (money, the apposite sex, honor)’, ‘The five precepts of Seon practitioner’. In particular, he suggested a method of prepositions when practicing the Hwadu, which is not a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Buddha-nature or not, but a way of asking the meaning of Zhao-zhou directly. Seong-cheol’s Ganhwa Seon emphasizing only the ‘Hwadu’ shows differences with Dahui-Zonggao focused on the direct to raise Hwadu and to withdraw and reflect on one’s original nature. Third, I discussed the practice of three steps proposed by Seong-cheol from the point of view to penetrate one’s mind is to become enlightened. Seong-cheol’s practice of three steps is an exquisite combination of the ten stage of theory of Huayan,the theory of consciousness of Consciousness-Only School, the thought of Mahayana sutra. In particular, he emphasized to destroy forever alayavijnana and to attain the nirodhasampatti of perfect non-mind. In addition, it is different from Dahui-Zonggao and Seong-cheol that Seong-cheol used the Mantra and the bow practice as an adjunct for practice Ganhwa Seon. In particular, Dahui-Zonggao presented sudden or gradual realizations of enlightenment according to a person, but Seong-cheol emphasized only the sudden realization of enlightenment.
目次국문 초록 33
Ⅰ. 들어가는 말 34
Ⅱ. 중도와 무념 35
Ⅲ. 성철 선사의 활구선 39
Ⅳ. 화두의 공부삼단(工夫三段)과 견성즉불 47
Ⅴ. 나가는 말 56
참고문헌 59
Abstract 61
ISSN15980588 (P)
ヒット数31
作成日2022.06.03
更新日期2022.06.0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174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