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삼론종의 변증법적 중도 사상 -- 법랑(法朗)과 중가사(中假師)의 논쟁을 중심으로=The Dialectical Thought of Middle Way in Sanlun School: Focusing on the Debate between Falang and Zhongjiashi
著者 조윤경 (著)=Cho, Yoon-Kyung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58 n.0
出版年月日2021.04.30
ページ157 - 185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안동대학교 동양철학과
キーワード삼론종=三論宗=Sanlun School; 중도=中道=Middle Way; 법랑=法朗=Falang; 중가사=中假師=Zhongjiashi; 혜용=慧勇=Huiyong; 지변=智辯=hibian; 불이중도=不二中道; Non-duality=不二
抄録삼론종 문헌에서 중가사(中假師)에 대한 비판이 등장하는데, 중가사는 승전의 네 제자가운데 혜용과 지변을 중심으로 하여 그들과 견해를 같이 했던 자들을 통칭한다. 법랑이 자신의 동학이었던 혜용, 지변과 무엇 때문에 사상적으로 격렬히 대립했던 것인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대승사론현의기』 「초장중가의(初章中假義)」에는 법랑과 중가사의 사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존재한다. 혜균은 이곳에서 중도의 정의에 관해 법랑과 중가사 간에 큰논쟁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들 간에 이루어진 논쟁을 재구성해 보면, 법랑의변증법적 중도 사상이 보다 선명하게 드러난다. 중가사는 법랑이 중도를 ‘유도 아니고무도 아님[非有非無]’만이 아니라 유무의 ‘둘이 아님[不二]’으로 정의했던 것에 대해 비판하지만, 법랑은 중가사가 중도와 가명의 언어형식에 천착하여 중도의 본질을 잃어버렸다고 비판한다. 법랑에게 중도란, 가명과 상즉하여 양변의 대립을 동시에 초월하는불이중도(不二中道)다.
또한, 법랑은 중도가 곧 가명임을 드러내기 위해 주로 사구 논법 및 사중(四中)과 사가(四假)의 언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층위의 의미를 개진하였다. 그리고 이는 다시 그의 제자인 길장과 혜균의 ‘양변의 동시 지양과 융합’을 구현하는 변증 논법에 영향을 주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bate between Falang and Zhongjiashi(中假師), interpreting the dialectical middle way thought of Falnag. Zhongjiashi, a collective name for people sharing their views with Huiyong and Zhibian, often became a target of criticism in the literature of Sanlun School. It has not been known what caused Falang to confront Huiyong and Zhibian, two of the four representative disciples of Sengquan.
Chojangjoungga'ui, Daeseungsalonhyun'uigi Vol. 1. serves as the critical record that reveals the thoughts of Falang and Zhongjiashi. According to Hyegyun, the author of this book, Falang and Zhongjiashi debated about the definition of middle way. Zhongjiashi criticized that Falang used not only the phrase “neither existent nor inexistent”(非有非無) but also the expression of “non-duality”(不二) to define middle way. Meanwhile, Falang accused Zhongjiashi of being obsessed with linguistic forms to the extant of losing the essential meaning of middle way. Falang interpreted that middle way should be non-duality(不二中道) to transcend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sides at the same time.
Falang usually used cātuskotika, four middle ways(四中) and four false names(四假) to reveal that middle way is none other than the false names. This dialectical thought influenced the dialectic of his disciples, Jizang and Hyegyun, which embodies the transcendence and convergence of the two opposite sides.
目次국문 초록 157
I. 들어가며 158
II. 법랑과 중가사의 사상적 충돌 160
1. 중가사는 누구인가? 160
2. 법랑과 혜용이 중도를 해석하는 여섯 가지 방법 163
III. 논쟁을 통해 본 법랑의 중도 사상 168
1. 중도의 정의와 관련하여 168
2. 가명의 언급과 관련하여 171
3. ‘둘이 아님[不二]’으로 중도를 정의하는 것과 관련하여 173
IV. 중도 사상에서 법랑의 언어형식적 전회 177
1. 법랑의 사구 논법 177
2. 법랑의 사중(四中)과 사가(四假) 178
V. 마치며 180
참고문헌 182
Abstract 184
ISSN15980588 (P)
ヒット数75
作成日2022.06.05
更新日期2022.06.0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179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