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청화 선사상에 나타난 원통불교적 성격=A Study on Perfectly Penetrating Buddhism of Cheonghwa’s Seon Thought
著者 이병욱 (著)=Lee, Byung-wook (au.)
掲載誌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巻号v.60 n.0
出版年月日2021.12.30
ページ55 - 86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サイト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고려대 철학과 강사
キーワード공안선(화두선)=public case seon; 묵조선=silent illumination seon; 염불선=chanting seon; 실상염불의 맥락=the context of chanting reality; 10가지 번뇌=ten kind of kleśa
抄録이 글에서는 청화 선사상을 원통불교(圓通佛敎)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원통불교는 불교 안의 여러 흐름을 조화시키는 것이다(Ⅱ장). 청화의 원통불교의 관점은 공안선(화두선), 묵 조선, 염불선의 조화를 추구하는 대목에서 잘 나타난다(Ⅲ장). 청화는 이 3가지 선(禪)이 각기 장점이 있다고 인정하고 수용한다. 다만 3가지 선(禪) 가운데 염불선이 기본이 되 는 것이고, 그 바탕 위에 공안선(화두선)과 묵조선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청화 는 공안선(화두선) 수행에는 몇 가지 문제점 내지 불편한 점이 있을 수 있고, 묵조선 수행 에는 수행자가 싫증을 낼 우려가 있다고 지적한다. 그에 비해 염불선은 생활불교의 측 면에서 강점이 있고, 지적인 측면, 정서적 측면, 의지적 측면을 모두 갖춘 것이라고 평 가한다. 또 청화가 제시하는 염불선은 실상염불(實相念佛)의 맥락을 가지고 있는 것이지 만, 불교인이 수행하기 편리하도록 칭명염불의 수행도 포괄하는 것이다. 또 청화의 선 교일치의 특색은 ‘교학의 개념’을 선종의 수행에 활용하는 데 있다(Ⅳ장). 청화는 『구사 론』에서 말하는 ‘10가지 번뇌’를 참선의 장애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수용하고, 이것을 돈오점수의 수행에 맞추어 설명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will study on perfectly penetrating buddhism of Cheonghwa’s seon thought. Perfectly penetrating buddhism is to reconcile a number flow of buddhism. The viewpoint of Cheonghwa’s perfectly penetrating buddhism is connected to reconcile public case seon, silent illumination seon and chanting seon. Cheonghwa accepts that each of these three seon has the advantages. But Cheonghwa insists that among three seon, chanting seon is the basic thing and there are public case seon and silent illumination seon on the ground. Also chanting seon that Cheonghwa presents, has the context of chanting reality, but chanting seon encopasses chanting a buddha’s name to be convenient for buddhists to perform. Also Cheonghwa’s unity of seon and doctrinal schools has the characteristic to utilize the concept of doctrinal school for performance of seon school. Cheonghwa accepts ten kind of kleśa in Abhidharmakośa-bhāṣya as the concept to explain the obstacle of meditation, which explains to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目次국문초록 55
Ⅰ. 서론 56
Ⅱ. 청화의 원통불교의 사상: 사상적 기점 57
Ⅲ. 청화의 공안선(화두선), 묵조선, 염불선에 대한 관점: 3가지 수행법의 인정 59
1. 선(禪)의 방법: 공안선(화두선), 묵조선, 염불선 60
2. 공안선(화두선), 묵조선의 수용과 염불선의 강조 71
Ⅳ. 청화의 선교일치 관점의 특색: 교학의 관점을 참선에 적용 77
Ⅴ. 결론 81
참고문헌 84
Abstract 86
ISSN15980588 (P)
ヒット数41
作成日2022.06.05
更新日期2022.06.0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180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