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사찰경영의 성공적 사례와 불교교단적 함의=The Successful Cases of Temple Management and the Implicature of Buddhist Order
著者 조기룡 (著)=Cho, Ki-ryong (au.)
掲載誌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巻号v.7 n.0
出版年月日2009.12
ページ85 - 125
出版者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出版サイト http://seonl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조교수
キーワード사찰경영=temple management; 포교; 사찰=temple; 주지=abbot; 신도=believer; missionary activities
抄録수행을 본분사로 하는 출가자에게 사찰의 경영은 원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낯설고도 어려운 일이다. 현재 사찰경영과 관련해서는 교육을 제대로 받을 수도 없기 때문에 출가자의 대부분은 지인들로부터 사찰경영에 대한 노하우(know-how)를 듣는 수준에 그칠 수밖에 없다. 이에 필자는 사찰경영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사찰 중 양적 기준과 질적 기준을 충족하는 표본사찰을 선정하여, 그 성공과정과 성공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불교교단적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선정된 표본사찰은 능인선원(서울), 한마음선원(안양), 석왕사(부천), 한국불교대학 大관음사(대구), 구룡사(서울)였다. 표본사찰들은 사찰별로 특성 있는 경영을 하여 성공적으로 양적·질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그런데 각각의 표본사찰들이 특성 있는 경영을 하고 있는 가운데서도, 공히 ‘신도를 교육하여 체계적으로 조직한 후 대내적으로는 사찰의 일에 동참시키고, 대외적으로는 봉사활동을 통하
여 지역사회에 기여하게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혹자들은 흔히 신도의 수를 증가시키고 사찰의 규모를 확장하는 것을 사찰경영의 성공적 사례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사찰경영의 궁극적 목적은 대형사찰로의 성장이 아니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전하여 중생을 제도하는 것이다. 이에 사찰의 크고 작음이 아닌 사찰의 가치가 무엇이며, 포교란 어떤 의미인가에 대한 불교적 성찰을 통하여 목표가 성취되어가는 사찰이 만들어져야 한다. 또한 불법(佛法)의 홍포(弘布)를 위하여 포교당의 창건이 특정지역에 편중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현재의 대형포교당들이 막대한 지원을 하여 분원·지원을 개원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기존 중소형사찰들을 생존의 위기로 몰아넣을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The management of temple is an unfamiliar and difficult matter to the monk to be absorbed in the ascetic exercises. Because the monks have had little formal schooling about the management of temple, their learning for management of temple is degree of listening courteously the know-how from an acquaintance. On this, I select sample temples which are sufficient fo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andards, analyze the process and the primary factor of success, and show the social implications.
The selected sample temples are Nungin Sunwon(Seoul), Hanmaum Seonwon(Anyang), Seokwangsa(Bucheon), Korea Buddhist University·Great Kwaneum Temple(Daegu), and Guryongsa(Seoul). These temples have successfully grown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by the management to be able to project their own personality. But among the each personality management, we can find that "after training and organizing believers, all sample temples have believers join in affairs of temple internally and have them contribute to society externally by the voluntary activities.
A certain person often considers successful management of temple as the quantitative growth. But a final object of temple management is not growth to big temple but salvation of mankind. On this, we must manage temple from the viewpoint of missionary activities. With this view, an establishment of temple has not to lean upon the specified region to gather believers easily. And also we must give attention to the branches to be established by the huge support of big temple because the branches can drive existing small temples to the ruin.
目次Ⅰ. 머리말 86
Ⅱ. 표본사찰의 현황 및 경영성공 과정 88
1. 능인선원 88
2. 한마음선원 90
3. 석왕사 91
4. 한국불교대학 大관음사 93
5. 구룡사 95
Ⅲ. 표본사찰의 경영성공요인 분석 96
1. 사찰별 분석 97
2. 종합 분석 108
Ⅳ. 불교교단적 함의 117
1. 양적 성장에 대한 포교적 성찰의 필요 117
2. 포교당의 지역적 균형 성장 추구 118
3. 분원·지원의 종교상업주의 현상의 배제 119
Ⅴ. 맺음말 121
ISSN1975857X (P); 26715708 (E)
ヒット数60
作成日2022.06.22
更新日期2022.06.2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373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