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양 무제의 정교결합과 대승사상 -- 「주해대품서」와 『출가인수보살계법』을 중심으로=Liang Wudi’s Unific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and his Mahayana Thoughts: Focused on Zhujiedapinshu and Chujiarenshoupusajiefa
著者 조윤경 (著)=Cho, Yoon-Kyung (au.)
掲載誌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巻号v.22 n.0 개원10주년 특집
出版年月日2017.06
ページ43 - 82
出版者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出版サイト http://seonl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연구교수
キーワード양(梁) 무제(武帝)=Liang(梁) Wudi(武帝); 정교결합=Unific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政敎結合; 「주해대품서」=注解大品序=Zhujiedapinshu; 출가인수보살계법=出家人受菩薩戒法=Chujiarenshoupusajiefa
抄録이 논문은 양(梁) 무제(武帝) 집권 초기인 천감(天監) 연간(502~519)에 쓰여진「주해대품서(注解大品序)」와 출가인수보살계법(出家人受菩薩戒法)에 나타난 그의 대승사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특히 ‘평등’과 ‘무애’ 두 가지 이념이 정교결합을 위한 사상적 근간이 되었음을 고찰한다. 양 무제는 남조의 독자적인 교단 세력과의 알력 속에서 전륜성왕이라는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집권 초기에는 의학(義學)연구 사업에 주력하여 사상적 기반을 다진다.
「주해대품서」를 살펴보면, 양 무제가 삼론종의 평등한 경전관을 수용하고, 이를 통해 당시 교판으로 자신의 사상을 체계화했던 기존 교단 질서에 의문을 제기하였음을 알 수 있다. 평등한 시각은 수직적으로 차별되어진 질서를 해체하는 힘을 지니는데, 양 무제는 대승의 평등사상을 통해 새로운 이념으로 전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나아가, 출가인수보살계법에 나타난 양 무제의 보살계는 보살의 평등관과 무애용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으로서 성문계에 대해서는 배타적인 태도를 취한다. 이는 양 무제의 정교결합의 통치이념으로서의 대승사상이 대외적으로는 포용성과 개방성을 주장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기존 교단 세력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있었음을 반영한다.

This article mainly examines Liang(梁) Wudi(武帝)’s Mahayana thoughts on Zhujiedapinshu(注解大品序) and Chujiarenshoupusajiefa(出家人受菩薩戒法), written in the Tianjian(天監: 502~519) period, the early days of his reign. Especially, ‘Equality(平等)’ and ‘Unhindered Way(無碍)’ had become the ideological basis for his unific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In the initial years of his reign where independent monastic powers were influential in the Southern Dynasty, Liang Wudi endeavored to encourage studies of Buddhist teachings as part of the way to put his political goal of becoming Cakravartin in practice.
Zhujiedapinshu shows us that Liang Wudi has accepted the notion of Sanlun School, all sutras are equal, and through it he raised a question about the monastic orders, which was based on the Panjiao system. The principle of equality itself has the power to break up the order that is vertically differentiated. Liang Wudi taked the equality of the Mahayana thought, and this gave him an opportunity to establish a new political ideology.
Furthermore, his Bodhisattva precept in Chujiarenshoupusajiefa is the practice of the Bodhisattva's equal and unhindered way, he, moreover, considered the Bodhisattva precept the superior one excluding the Shravaka precept. This reflects that Liang Wudi's Mahayana thoughts as the ideological basis for the unific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claimed inclusiveness and openness on the surface, while his intention was to keep the existing monastic forces in check.
目次Ⅰ. 들어가며 44
Ⅱ. 양 무제의 「주해대품서」에 보이는 삼론종의 경전관 48
Ⅲ. 양 무제의 『출가인수보살계법』에 나타난 보살계법 61
Ⅳ. 나오며 - 정교결합의 이념 축으로서 ‘평등’과 ‘무애’ 76
ISSN1975857X (P); 26715708 (E)
ヒット数36
作成日2022.07.24
更新日期2022.07.2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609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