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만해 한용운의 자아(自我) 개념과 선(禪)=Manhae Han Yongun's Concept of Self(自我) and Zen(禪) Philosophy
著者 정영식 (著)=Jeong, Young-sik (au.)
掲載誌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巻号v.24 n.0 개원10주년 특집
出版年月日2018.06
ページ59 - 91
出版者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出版サイト http://seonl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고려대장경연구소 연구원
キーワード한용운=Han Yongun; 자아=concept of Self; 무한아=muhana=無限我; 절대아=jeoldaea=絶對我; 선=Zen
抄録19세기말~20세기 초에 걸친 우리나라의 근대에 있어서는 서양근대철학의 영향으로 ‘自我’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였다. 한용운(韓龍雲, 1879~1944)도 이와 마찬가지로 자아에 대해 논하였는데, 특히 자아를 확장하여 ‘가족·사회 내지는 전우주까지도 자아이다’고 하는 무한아(無限我)·절대아(絶對我) 개념을 주창하였다. 무한아·절대아가 나온 배경으로서는 1. 칸트철학 2. 선(禪)의 초목성불설(草 木成佛說) 3. 유교의 인(仁)사상의 3가지 영향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무한아·절대아의 생성에는 선사상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만해는 무한아·절대아의 근거로서 ‘마음이 바로 자아이기 때문이다’고 주장하였기 때문이다. 선에서의 마음[心]이란 ‘만물을 만들어내는 주체’이므로, 만물 가운데 마음이 아닌 것이 없다. 만해의 무한아·절대아의 특징으로서는 우선 그것은 ‘同體大悲的 自我’이다. 무한아·절대아는 모든 만물을 자아로여기기 때문에, 당연히 만물에 대한 동체대비적 사랑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또 무한아·절대아는 ‘脫民族的 自我’이다. 무한아·절대아는 신채호(申采浩, 1880~1936)의 자아가 민족을 단위로 하고, 또 타민족과의 투쟁을 지지하는 민족적 자아인데 반해, 세계주의(世界主義)·사해동포주의(四海同胞主義)를 주장하는 ‘탈민족적 자아’이다.

During the modern era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self(自我)' was a popular subject of discussions due to the influence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Han Yongun(韓龍雲, 1879~1944) also discussed the subject of ‘self’, and particularly, he purported the concept of muhana(無限我; boundless self) and jeoldaea(絶對我; absolute self). Presumably, three ideas affected this concept: philosophy of Kant, theory of chomokseongbulseol(草木成佛說) in Zen(禪) philosophy, and the idea of benevolence in Confucianism.
Among these, Zen philosophy probabl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forming the concept of muhana and jeoldaea. The reason is because, regarding the basis of the concept, Manhae claimed that ‘one's mind is one's self.’ In Zen philosophy, ‘mind(心) is a principal agent that creates everything,’ and thus all things are mind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anhae's idea of muhana and jeoldaea is ‘self of universal compassion(同體大悲的).’ Since the concept regards everything as self, it naturally comes to universal compassion for everything. Another idea of muhana and jeoldaea is ‘trans - ethnic(脫民族的) self.’ While an ethnic self of Shin Chaeho(申采浩, 1880~1936) is based on an ethnic group, and advocates strife with other ethnic groups, Manhae's ‘trans - ethnic self’ advocates cosmopolitanism(世界主義) and universal brotherhood(四海同胞主義).

目次Ⅰ. 서론 60
Ⅱ. 본론 62
1. 임제선풍의 계승 63
2. 새로운 시대의 선 - 생활선·선외선(禪外禪) 65
3. 무한아·절대아 개념의 형성배경 66
4. 무한아·절대아의 성격 79
Ⅲ. 결론 86
ISSN1975857X (P); 26715708 (E)
ヒット数46
作成日2022.07.24
更新日期2022.07.2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6118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