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누가 경전을 지었는가? -- 법상(法上, 490~580) 찬 「교적의(敎迹義)」의 경전관(觀)=Who “edited” the Sūtras? : A Perspective on the Pan-jiao(敎判) of the Dilun Master Fashang(490~580) |
|
|
|
著者 |
이상민 (著)=Lee, Sang-min (au.)
|
掲載誌 |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
巻号 | v.27 n.0 |
出版年月日 | 2019.12 |
ページ | 79 - 122 |
出版者 | 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
出版サイト |
http://seonli.or.kr/
|
出版地 | Seoul, Korea [首爾,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고려대학교 강사 |
キーワード | 법상=法上; 지론종; 5시교판=Five Periods Classification of Doctrine; 돈점교=頓漸敎=The Sudden and Gradual Teaching; 일음교=一音敎=The One-sound Teaching; 반만교=半滿敎; 이장설=二藏說=Two Pitakas Theory; 보리유지=Bodhiruci; Fashang=法上; Dilun School=地論宗 |
抄録 | 본고는 6세기 지론학파의 학장인 법상 「교적의」를 중심으로 6세기 북조에서일어난 경전의 해석학적 관점의 변화와 그 논리를 살펴보았다. 법상은 기존의 시간적 경전관을 비판하면서 붓다의 설법이 완전하며 비시간적임을 인정하는 동시에 경전간의 내용적 차이 또한 수용하기 위해 경전의 관점을화자인 붓다 자신에게서 그것을 수용하는 청자, 나아가 청자가 수용케 하기 위해경전을 편집하였던 성제자들로 이동시킨다. 경전의 작성 주체는 원음을 설하는 붓다가 아니라 그러한 설법을 보살을 위한 경전과 성문을 위한 경전으로 편집하였던 성제자들이다. 이러한 해석을 통해서 더 이상 불전은 붓다의 생애와 대응시킬 필요가 없게 되었고 ‘편집된 텍스트’로서 그 안에 담긴 내용만이 경전을 나누는 기준이 된다. 법상의 교판론에 입각하여 모든 불전은 다시 보살장과 성문장이라는 두 가지의 장(藏, pitaka)로 이해되었다. 또한 법상은 결정성문(決定聲聞)이라는, 대승으로 나아가지 않고 오직 소승에만 머무는 중생을 설정하여 성문장의 존재 이유를증명하였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불교는 소승과 대승으로 대별되는 경전관을 가지게 되었으며 동아시아 불교의 교판론은 단순히 불전의 분류법이 아닌 철학적해석학의 면모를 띄게 된다.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how the viewpoint on the Sūtras had been changed in 6th Century Northern Wei Buddhism through the Dilun master Fashang(法上, 490~580)‘s “Jiaoji - yi(敎迹義, ”The Analysis of the Buddha’s Teaching“) by examining his textual taxonomy / classification(Pan - jiao, 敎判) Before the 6th Century, the East Asian Buddhists considered the Sūtras as the direct records of the Buddha, each of which holds a certain moment of the Buddha’s lifetime. Fashang declares that the understangins of that time has no validity since the preaching of Buddha contains every teaching in a whole scale at all time. Moreover, he points out the actual agent of Sūtras is the not the Buddha himself but his disciples who have authority in making and ‘editing’ the manuscripts. Instead of the chronological view on the Sūtras, Fashang suggests that the Buddha’s teaching was established into two baskets, namely, the Bodhisattvapitaka(菩薩藏) and the Śrāvakapiṭaka(聲聞藏) which has the textual reference in the Bodhisattva - bhūmi. Fashang’s textual taxonomy gave a heavy impact on the doctrinal thoughts of East Asian Buddhists. Thenceforth East Asian Buddhists started to consider Buddhist teachings with the dichotomy of Mahāyāna and Hinayāna. As a result, the Pan - jiao system could be refined into a more hermeneutically developed form.
|
目次 | Ⅰ. 들어가며 81 Ⅱ. 법상 「교적의」에 나타난 기존의 교판론 85 Ⅲ. 기존 교판론에 대한 법상 「교적의」의 비판 90 1. 돈·점에 대한 재해석 91 2. 시간적 경전관에 대한 비판 94 Ⅳ. 법상 「교적의」의 이장설(二藏說) 104 1. 이장설과 반만교 105 2. 이장설의 의의와 특징 111 Ⅴ. 나가며: 동아시아 경전관의 전환점 116 |
ISSN | 1975857X (P); 26715708 (E) |
DOI | 10.24956/SSC.27.3 |
ヒット数 | 88 |
作成日 | 2022.07.24 |
更新日期 | 2022.07.25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