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우담홍기의 『선문증정록』에 보이는 선리비판 고찰=A Study on the zen-doctrine polemic in the Seonmunjeungjeongrok of Udam - Hongki
著者 김호귀 (著)=Kim, Ho-gui (au.)
掲載誌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巻号v.29 n.0
出版年月日2020.12.31
ページ195 - 226
出版者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出版サイト http://seonl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
キーワード선문증정=zen-doctrine polemic; 선문강요집; 선문수경; 임제록; 백파긍선=Backpa-Geunsun; 초의의순; 우담홍기=Udam-Hongki; Seonmunjeungjeongrok; convey one's mind in three places; tathagatazen and patriarch-zen; theory-zen and extraordinary-zen; a sword that kills people and a sword to save people; three kinds of teachings and single teaching
抄録한국선리논쟁의 연원은 멀리 '임제록'으로부터 비롯된 임제삼구의 해석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다. 임제삼구에 대하여 고려시대 천책의 '선문강요집'에서는 구체적으로 그 의미에 대하여 설명을 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삼구 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이후로 '선문염송' 및 '염송설화'에서도 그와 관련하여 언급된 대목이 간간이 드러났다. 그러나 본격적인 선리의 논쟁은 조선 후기 백파긍선의 '선문수경'을 통해서 많은 견해가 제시됨으로써 그에 대한 초의의순의 '선문사변만어'가 출현함으로써 비롯되었다.
초의는 삼종선의 분류, 삼종선과 임제삼구의 배대, 선문오종의 배열, 조사선과 여래선의 분별, 격외선과 의리선의 분별, 살인도와 활인검에 대한 분별, 진공과 묘유의 분별 등의 주제에 대하여 비판을 가하였다.
우담홍기는 '선문증정록'에서 총론적인 비판의 대목에서 백파노인이 달마의 초전인 제연단부문답(諸緣斷否問答) 및 여래의 초전인 분반좌의 제일구인 살인도로써 임제삼구 가운데 제이구를 삼았으며, 또한 여래선으로써 격외선을 삼아 여래선으로써 명·의(名·義)를 천착하였는데, 그것에 대하여 여래가 증득한 그대로 설법한 것이 아니라 화엄일승교의 선이라고 진단하였다.
이것은 단순히 백파의 선리를 비판만 한 것이 아니라 기존의 선문헌에 근거한 근본적인 단서에 관심을 보여줌으로써 고려의 '선문강요집'으로부터 시작된 한국선의 선리논쟁에 대한 모범을 제시해주었다. 이와 같은 비판의 자세는 이후 전개된 설두유형의 '선원소류' 및 축원진하의 '선문재정록(禪文再正錄)'에서도 그 모습을 찾아볼 수가 있다. 그러나 우담홍기는 백파의 선리에 대하여 비판을 가하면서도 초의와는 전혀 다른 측면에서 비판을 가하였다. 그 주제는 크게 삼처전심과 조사선·여래선의 배대, 조사선여래선 및 의리선·격외선의 분별, 살인도와 활인검의 분별, 삼구와 일구의 관계 등 네 가지에 걸쳐 있다.

The origin of zen - doctrine polimic of Korea is closely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three phrases of Linjie(臨濟三句). Chunchack(天頙) of the Goryeo Dynasty were explained in detail about the meaning of the three phrases of Linjie in the book of Seonmungangjip (禪門綱要集),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phrases of Linjie.
Later, the three phases of Linjie also mentioned in Seonmunyoumsong(禪門拈 頌) and Youmsongseolhwa(拈頌說話).
However, the full-scale zen - doctrine polimic began in the late Joseon period when Choui - Uisun(草衣意恂) criticized the Seonmunsabyunmanoe(禪門四辨漫語) Backpa - Geunsun's Seonmunsoogyung(禪文手鏡).
Udam-Hongki(優曇洪基) generally criticizes four things about Backpa-Geunsun (白坡亙璇)'s views in the Seonmunjeungjeongrok(禪門證正錄).
The first is a criticism of the distinction of convey one's mind in three places.
Second, it is a criticism of the distribution of Tathagata-zen and patriarch- zen, theory - zen and extraordinary - zen. The third is to lead a Zen trainee with perfect freedom, I.e. a sword that kills people and a sword to save people.
Fourth is the criticism of the relationship of three kinds of teachings and single teaching.
Udam - Hongki's criticism of Backpa - Geunsun's views is not an advocacy for what Choui - Uisun criticized. Udam - Hongki criticized Backpa - Geunsun's view from an independent point of view. Udam - Hongki did not just criticize Backpa - Geunsun's theory, but presented the basis through the existing pre-written literature.
Udam - Hongki's criticism has since set an example for Sunni's argument. For example, Seonwonsoryu (禪源遡流) of Suldu - Yuhyung(雪竇有炯) and Seonmunjaejungrok (禪文再正錄) of Chuk-Jinha(竺源震河).

目次Ⅰ. 서언 197
Ⅱ. 『선문증정록』의 구성 199
Ⅲ. 삼처전심의 구별에 대한 비판 201
Ⅳ. 여래선·조사선 및 의리선·격외선의 배대에 대한 비판 207
Ⅴ. 살인도와 활인검의 적용에 대한 비판 210
Ⅵ. 삼구와 일구의 관계에 대한 비판 214
Ⅶ. 결어 219
ISSN1975857X (P); 26715708 (E)
DOI10.24956/SSC.29.6
ヒット数45
作成日2022.07.25
更新日期2022.07.2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616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