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중국에서 법장 『기신론소』의 유통에 대해서=The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Fazang's Qixinlun shu in China
著者 김지연 (著)=Kim, Ji-yun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94 n.0
出版年月日2021.03
ページ61 - 88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HK연구교수
キーワード법장=法藏=Fazang; 『기신론소』=起信論疏=the Qixinlun shu; 종밀=宗密=Zongmi; 원효=元曉=Wonhyo; 중국 유통=the distribution in China; 양문회=楊文會=Yang Wenhui; 인용문헌=the quoted literature
抄録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주석서 가운데 가장 많이 인용된 문헌은 『대승기신론의기』로 잘 알려진 법장(法藏)의 『기신론소(起信論疏)』(이하 『법장소』)이다. 『법장소』의 영향으로 인해 법장 이후의 주석가들은 그와 동일한 관점으로 『대승기신론』을 이해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분명하게 말한다면, 어느 시점부터는 『법장소』를 주석한 종밀(宗密)의 『기신론소(起信論疏)』(이하 『종밀소』)를 통해 『대승기신론』을 해석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법장소』의 유통을 조금 더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 본고에서는 『법장소』와 관련된 용어들을 검색하여 『법장소』를 인용한 경우, ‘起信[論]疏’의 인용문이 『종밀소』의 문장인 경우, ‘賢首’ 등으로 분명하게 『법장소』를 지시하지만 『종밀소』를 인용한 경우로 정리하였다. 이들을 다시 시대별로 『법장소』만 존재하던 시대, 『법장소』와 『종밀소』가 공존하던 시대, 『법장소』가 사라진 시대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법장소』가 언제까지 유통되었는지, 시대별로 사람들의 『법장소』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고찰하였다. 『법장소』는 시대상으로는 원대까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이고, 명대부터는 『법장소』가 인용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물론 명․청대에 『법장소』의 문장을 인용하는 용례도 나타나지만, 이 경우는 『종밀소』의 문장과 동일하여 『법장소』의 존재를 증명하기 어렵다. 청대에 『법장소』가 부재한 사실은 양문회가 난죠분유를 통해서 중국에서 산실된 불서들을 유입할 때 『법장소』가 포함되어 있었다는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인용하는 형식을 보면, 『법장소』와 『종밀소』를 지시하는 용어에는 동일하게 ‘起信[論]疏’나 ‘賢首’가 포함되어 있다. ‘起信論疏’로 『종밀소』의 문장을 제시하는 경우는 인용자가 이 문헌을 『법장소』와 『종밀소』 중 어느 것으로 인식하고 본 것인지 불분명하다. 그러나 ‘賢首’ 등으로 분명하게 『법장소』임을 나타내었는데 그 문장이 『종밀소』인 경우는 『종밀소』가 ‘법장소’로 오인되어 유통되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법장소』가 사라진 명․청대에서는 이런 용례가 더 많이 확인되어 『법장소』의 자리를 『종밀소』가 대체하는 현상이 더욱 두드러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Among the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大乘起信論, the Qixinlun shu (another title is the Dasheng qixinlun yiji 大乘起信論義記, abbreviated “Fazangshu”) of Fazang 法藏 is the most cited document in later studi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Fazangshu, the subsequent analysts can understand the book from the same perspective as his interpretation. However, from some point on, the Fazangshu analysis wa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Zongmi 宗密.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azangshu and Zongmi's Dasheng qixinlunshu 大乘起信論疏 (abbreviated Zongmishu),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distribution of the Fazangshu in China. By searching for terms related to the Fazangshu and checking the literature quoted, this research divides the results into three sections: the quotation of the Fazangshu, the quotation of the Zongmishu including the word “qixinlunshu”, and the quotation of the Zongmishu misrepresented as the Fazangshu. The results are also classified by age, including: the time when only the Fazangshu existed, the time the Fazangshu and the Zongmishu coexisted, and the time when the Fazangshu had disappeared.
The Fazangshu appears to have been extant in the Yuan Dynasty, but it cannot be found in the Ming Dynasty. The fact, the Fazangshu was included when Yang Wenhui took the books from Japan that had been scattered and lost in China, shows that it was absent during the Qing Dynasty. There are two types of quotation: those starting with the word “qixinlunshu” 起信[論]疏, and words that expresses Fazang as “Xianshou” 賢首. However, the sentence is quoted from the Zongmishu, although it is said that this is Fazang's word. This indicates that the Zongmishu was incorrectly used as the Fazangshu.
目次I. 시작하는 말 63
II. 『법장소』 단독의 시대 64
III. 『법장소』와 『종밀소』의 공존시대 66
1. 『종경록』에서의 『법장소』 66
2. 『법장소』와 『종밀소』의 동시성 69
3. ‘기신론소’의 정체: 『종밀소』 72
4. 『법장소』로 오인된 『종밀소』74
IV. 『법장소』가 『종밀소』로 대체된 시대 77
V. 매듭짓는 말 83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21.3.94.61
ヒット数28
作成日2022.08.10
更新日期2022.08.10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7135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